본문 바로가기

mVoIP

mVoIP 전면 개방을 외친 LG유플러스, 결국 주어가 빠진 속 빈 강정으로 끝나 mVoIP 전면 개방을 외친 LG유플러스, 결국 주어가 빠진 속 빈 강정으로 끝나 LG유플러스 이상철 부회장이 지난 7일 070인터넷전화 기자간담회를 통해 m-VoIP를 전면 개방하기로 결정했다는 소식이 공개된 지 29일이 됐다. 카카오도 카카오톡 공지사항을 통해 m-VoIP를 전면 개방한 LG유플러스를 의식한 듯 "통신사 분들께 항상 감사하는 카카오팀 드림(사랑해요~ LG)"라는 문구를 넣으며, 이 같은 행보를 적극 지지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LG유플러스는 mVoIP 전면 개방에 대해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며, 차일피일 미루다 일주일 뒤 열린 망중립성 토론회에 참석한 이석우 카카오 공동대표가 이를 언급하자 LG유플러스는 곧바로 "전면개방 내용이 포함된 약관신고가 선행되지 않아 mVoIP 통신망 개방.. 더보기
이동통신사 주장한 카카오 보이스톡 데이터 폭증 유발, 그 진실은? "이동통신사 주장한 카카오 보이스톡 데이터 폭증 유발, 그 진실은?" 이동통신사는 카카오 보이스톡과 같은 mVoIP(모바일 인터넷 전화) 서비스가 데이터 폭증을 유발한다고 강력하게 보이콧하고 있고, 국내 언론은 연신 이를 보도하며, 수 많은 이슈를 양산하고 있다. 그런데 이미 작성한 카카오 보이스톡 서비스 논란은 이동통신사의 꼼수(http://dtalker.tistory.com/2962)라는 글에서도 알 수 있듯이 카카오 보이스톡처럼 mVoIP(모바일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이슈화시켜 망중립성 논란을 이끌어내 방통위로부터 이동통신사가 좀 더 많은 이득을 끌어내려고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동통신사가 지속적으로 주장하고 있는 카카오 보이스톡처럼 mVoIP(모바일 인터넷 전화) 서비스가 얼마나 데이터 폭.. 더보기
카카오 보이스톡 서비스 논란은 이동통신사의 꼼수 카카오 보이스톡 서비스 논란은 이동통신사의 꼼수 카카오톡을 만든 카카오가 200여개국을 중심으로 제공해온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 '카카오 보이스톡'을 국내 서비스를 단행했다. 그 동안 카카오는 카카오 보이스톡을 선보이며, 이동통신사와 마찰을 빚어온 한국을 서비스 대상 지역에서 제외했다. 그런데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이 언급한 연내 서비스 제공 발언이 나온 지 일주일도 안돼 보이스톡 국내 서비스를 전격 개시했다. 이 때문에 언론은 '카카오 보이스톡 드디어 국내 상륙'이라는 타이틀을 앞세워 이동통신사들의 수익성이 나빠질 것이라는 추측성 보도를 내보내고 있다. 카카오 보이스톡이 어떤 서비스고, 어떤 영향을 미치길래 이런 반응이 나오는 것 일까? 도대체 카카오 보이스톡이 뭐야? 카카오 보이스톡이란,.. 더보기
방통위 mVoIP TF 구성, 유료화로 전환될까? 데이터무제한 요금제 사용으로 인해 전례에 없던 사태가 촉발됐다. 카카오톡 가입자가 1000만명을 돌파하면서 이동통신사의 망 과부하 논란이 벌어지게 된 것. 이동통신사와 카카오톡의 분위기는 망 차단설이 나돌면서 극대화됐다.(편집자주-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과도한 트래픽을 유발하는 카카오톡을 차단하겠다는 소문이 급속도로 확산됐다.) 특히, 카카오톡 사용자들이 문자 및 멀티미디어콘텐츠(사진, 동영상)를 와이파이(WiFi)망이 아닌 3G를 통해 전송하기 시작하면서 망부하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다고 이동통신사들이 이의를 제기하면서 분위기가 급속 냉각됐다. 국내 IT언론을 통해 이슈가 집중되면서 망부하를 줄일 수 있는 기술적 방안 모색과 함께 일단락되는 분위기다. 그런데, 방송통신위원회가 방통위 관계자, 통신사업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