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es2011

국내에 소개되지 않은 위탭(WeTab) 11인치와 10인치 제품을 만나다 이 콘텐츠는 컨슈머리포트 사이트를 꿈꾸는 팀블로그 사이트 Dtalker.net에 기고 됩니다. http://www.dtalker.net/www/Exhibit/ExhibitView.php?p_seq=235&p_grpcode=E&p_brdcode=02 참여하고 싶으신 분들은 press@dtalker.net으로 연락주세요. 이 글을 읽으시기 전에 View On 클릭 부탁드립니다 컴퓨텍스2011 사진을 정리하던 중 위패드(WePad)라고 불렸던 위탭(WeTab)이 있어 사진을 공개할까 합니다. 네이버에서 검색을 해보니 위탭(WeTab)에 대한 사진과 기사가 별로 없다는 점이 지금 글을 쓰고 있는 가장 큰 원인이 아닐까 싶네요. 국내 언론도 위탭(WeTab)이 CES2011에서 공개되었기 때문에 그냥 지나간 듯 .. 더보기
삼성 태블릿 슬라이딩 PC7 시리즈 4월 중 출시한다! 삼성 태블릿 슬라이딩 PC7 시리즈 4월 중 출시한다! 삼성전자는 지난 1월 CES2011을 통해 공개한바 있는 슬라이딩 PC7(코드명 : 글로리아)을 4월 중 국내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름 그대로 슬라이딩 방식의 키보드를 내장한 이 제품은 CES2011 공개 당시 상당한 관심을 이끈 제품이기도 하다. 23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에서 열린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파워 컨퍼런스를 통해 윈도7 운영체제를 내장한 태블릿을 공개했고 이 자리에 10.1인치 글로리아가 올 4월 국내 출시될 것이라는 정보가 알려졌다. 이외 아수스 EeeSlate와 델 로즈마운트(RoseMount) 등도 국내 5월 중 출시할 것이라고 공개했다. 노트북과 태블릿 두가지 모두의 장점을 담은 글로리아는 10.1인치 HD LED 디스플레이(해.. 더보기
[MWC2011] 삼성 갤럭시S WIFI 5.0 vs 삼성 갤럭시S WIFI 4.0 삼성전자는 갤럭시S2와 갤럭시탭 10.1, 갤럭시S WIFI 4.0/5.0 모델을 공개했다. 삼성은 CES2011을 통해 안드로이드 MP3 갤럭시 플레이어(이하 갤럭시S WIFI 4.0)를 선보인데 이어 5인치 디스플레이를 담은 갤럭시S WIFI 5.0을 선보였다. 갤럭시S WiFi 5.0과 WiFi 4.0 모델 비교 동영상 출처 : MWC2011 주요기사 보러 가기(클릭) 더보기
[MWC2011] NOVA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옵티머스 블랙’ CES2011을 통해 선보였던 옵티머스 블랙(Optimus Black)이 MWC2011을 통해 다시 등장했다. 옵티머스 블랙은 측면 최소 6mm에서 최대 9.2mm 두께, 109g 무게 등 초슬림한 디자인을 채용한 스마트폰으로 업계 최초로 700nit 화질을 제공하는 4인치 노바(NOVA) LCD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고 있다. 옵티머스 블랙이 담고 있는 노바 디스플레이는 기존 IPS LCD 패널 대비 더욱 작은 격자무늬를 적용하여 더 많은 빛을 통과하면서도 전력 소모량은 오히려 50% 가량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 배터리 효율은 더욱 높아져 제조사 기준 1500mAh 배터리로 최대 8시간 통화가 가능하다. 또한,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라는 새로운 기능이 적용되어 블루.. 더보기
삼성전자와 LG전자가 MWC2011에서 선보일 태블릿 제품은? 세계 최대 통신 전시회인 MWC(Mobile World Congress) 2011의 개막이 몇일 남지 않은 가운데, 모바일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오는 2011년 2월 14일부터 17일까지 스페인 바로셀로나에서 개최되는 MWC2011에 참가하는 국내 기업 중 대표적인 기업은 삼성전자와 LG전자를 떠올릴 수 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이번 MWC2011를 통해 글로벌 모바일 및 스마트폰 시장을 주도하겠다는 전략을 수립하고 기선제압에 나섰다. 먼저 LG전자는 CES2011에서 공개한 지-슬레이트(G-Slate)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지-슬레이트는 옵티머스 패드(Optimus Pad)의 북미향 제품으로 올 3월 T-모바일을 통해 출시될 예정이다. 태블릿 전용 운영체제인 허니.. 더보기
올해 스마트폰에 담길 기술은 3D이다? 올해 스마트폰에 담길 기술은 3D이다? 휴대폰, 스마트폰은 매년 새로운 기술을 담아냈다. 카메라, MP3, 지상파 DMB 등등 이외에도 정말 다양한 기술이 접목되기 시작했고 해마다 추가되는 기술들이 제품의 판매를 좌우하는 트랜드가 되기도 했다. 그렇다면 올해는 과연 어떤 기술이 들어갈까? 더 이상 새로운 기술은 없을 것만 같았던 스마트폰에 이번에는 3D 기반의 기술력이 담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올해 듀얼 프로세서가 주를 이를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향상된 성능을 토대로 3D를 구현하는 기술력을 담아내고자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미 일본 샤프는 무안경 방식의 3D 디스플레이를 내장한 링스3D 제품을 선보여 일본내에서 1위를 달리던 갤럭시S를 밀어내고 1위를 차지한바 있다. 또한, 태블릿에도 3D 디.. 더보기
[CES2011] 강력한 출력을 자랑하는 골전도 헤드폰 등장 휴대용 음향기기 전문업체 지디텍(GD TECH)은 지난 9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11에서 뼈의 진동을 통해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최신 골전도 헤드셋을 선보였다. 이날 선보인 골전도 헤드셋들은 국내에 판매되는 모델을 비롯해 최신 모델들을 전시했다. 특히 새롭게 선보인 제품들은 국내에 판매되지 않는 미판매 모델로 이목을 끌었다. 자세한 스펙을 확인할 순 없었지만 직접 체험해 볼 수 있었다. 기존의 골전도 헤드폰이 출력이 약하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지만 지디텍(GD TECH)이 새롭게 선보인 골전도 헤드폰은 고출력으로 음악을 감상할 수 있었다. 새롭게 선보인 골전도 헤드폰은 넥밴드의 형태를 지니고 있어 등산이나 조깅 등 야외 활동 시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다. 지디텍 관계자는 "새롭게 공개.. 더보기
CES 2011에 HP 태블릿은 있었다! CES2011 관련 기사를 웹 서핑을 하던 중 흥미를 유발하는 기사를 발견했다. 시사저널에서 "이변! CES 2011에 HP 태블릿은 없었다"라는 기사였다. 관련기사 : 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54138 기사의 내용을 축약하면 CES2011에서 태블릿 시대의 한축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되던 HP가 빠졌다는 것이다. 또한 HP는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 중앙홀 2층 한켠에서 HP PC와 팜프리만을 소개했다고 전했고, HP 제품 설명회장의 익명의 한 관계자의 말을 빌어 HP 태블릿은 없다고 보도했다. 이 대목에서 눈길을 끌었던 대목은 "HP 태블릿은 없다"고 언급한 부분이다. dtalker도 1월 6일일 열린 CES2011에 참관.. 더보기
올해 출시될 태블릿을 모두 정리해보자! 1탄. 국내 태블릿 올해 출시될 태블릿을 모두 정리해보자! 1탄. 국내 이번 CES2011을 통해 공개된 태블릿은 총 100여종 이상이 된다. 가히 태블릿 전성기라고 해도 될 만큼 어마한 수의 제품이 공개되었다. 물론 이 제품들이 모두 출시 될 것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국가별 중소기업 제품 그리고 CES를 통해 공개되지 않은 제품들까지 합치면 정말 어마어마한 수의 태블릿이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올해 출시될 태블릿은 과연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하나하나 정리해보자! 삼성 삼성은 이미 출시한 갤럭시탭 이외 MWC를 통해 갤럭시탭2를 공개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CES2011을 통해서는 10.2인치 디스플레이와 인텔 1.66MHz 프로세서, 윈도7 운영체제, 2GB DDR2, 32/64GB SSD, 슬라이딩 방식.. 더보기
'스마트 태블릿' 어디까지 왔나 불과 3년전까지만 하더라도 인터넷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없었지만 요즘은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태블릿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스마트폰 관련 애플리케이션들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는가하면 애플 아이튠즈의 앱스토어는 100억 다운로드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관련 기사 : 애플 앱스토어 100억 다운로드 이벤트를 진행한다.) 또한 CES 2011에서 40여개에 달하는 스마트 태블릿들이 대거 공개되기도 했고, 애널리스트나 증권가에서는 스마트 태블릿 제조사와 SSD/메모리 업체들의 수혜가 예상되는 보고서를 작성할 정도로 스마트 태블릿에 대한 전망은 밝다. (조심스러운 전망이지만 스마트 태블릿이 넷북시장의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것이 아니라 흡수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