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oled 썸네일형 리스트형 큰 화면이 가질 수 있는 장점을 유감없이 보여준 갤럭시 노트2 큰 화면이 가질 수 있는 장점을 유감없이 보여준 갤럭시 노트2 독일에서 개최된 IFA2012에서 삼성전자 스마트폰인 갤럭시 노트2를 직접 만져보았는데, 글을 작성할 시간이 없어 묵혀두었지만 이번에 SK텔레콤용 갤럭시 노트2(SHV-E250S)를 사용하게 되면서 갤럭시 노트2에 대한 이야기를 다시 꺼내보고자 합니다. IFA2012에서 삼성전자 스마트폰인 갤럭시 노트2를 처음 본 순간 갤럭시 노트와 갤럭시S3를 떠올렸습니다. 마치 갤럭시 노트의 기능과 특징에 갤럭시S3의 디자인을 입힌 것처럼 느껴졌었던 것이죠. 현지에서 갤럭시 노트2 미디어데이를 통해 컨셉을 듣지 못했지만 그 느낌은 맞았습니다. 갤럭시 노트2의 디자인 컨셉이 갤럭시S3처럼 Nature UX를 갖고 있었기 때문이죠. 새로운 디자인을 선택한 것.. 더보기 [루머종합] 갤럭시S3 스펙 및 출시 소식 총정리 [루머종합] 갤럭시S3 스펙 및 출시 소식 총정리 MWC2012가 몇 일 남지 않은 가운데 삼성전자 갤럭시S3 스펙 및 출시 소식이 연일 쏟아지며 온라인이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디토커는 이러한 소식들을 모아보고 취합해서 몇 가지 루머에 대한 총정리를 해볼까 한다. 최근 국내언론을 통해 삼성전자가 갤럭시S3를 2월말 스페인에서 개최되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12에서 공개하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하며, 각종 루머들이 쏟아지고 있다. 그 중 가장 설득력을 얻고 있는 루머는 애플의 차세대 스마트폰 아이폰5 견제에 관한 출시시기이다. 볼거리가 풍성할 것으로 예상됐던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소비자가전전시회인 CES2012의 뚜껑이 열렸다. 그런데 모바일 관련 이슈가 쏙 빠지면서 CES에 참관한 참관.. 더보기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할 때 돋보이는 갤럭시S2 LTE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할 때 돋보이는 갤럭시S2 LTE 사실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가 2000만명을 돌파하며,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지만 스마트폰의 기능을 100% 활용하는 이는 그리 많지 않다. 소비자 조사 결과를 살펴봐도 스마트폰의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은 동영상, 인터넷, SNS, e-book, 음악, 게임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편중되어 있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더군다나 스마트폰으로 무료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빈도가 더욱 늘어나면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과 활용도가 점차 제한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하드웨어가 좋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폭넓게 사용하려는 의지가 없으면, 빛 좋은 개살구에 가깝다는 것. 이 글을 추천해주시면 좀 더 많은 .. 더보기 갤럭시S2 LTE에 탑재된 슈퍼아몰레드 플러스의 성능은? 갤럭시S2 LTE에 탑재된 슈퍼아몰레드 플러스의 성능은? 스마트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꼽을 때 디자인, 디스플레이, 배터리 사용시간, 퍼포먼스(성능) 등을 꼽는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라는 물음을 던져보지만 개인의 호불호에 따라서 편차가 심할 것이다. 혹자는 외형을 중시한 디자인을 선택할 것이고, 혹자는 눈의 피로도와 연관되는 디스플레이를 선택하고, 혹자는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 사용시간을 중시 여길 것이다. 또 다른 혹자는 최신 스펙을 갖춘 퍼포먼스가 최고라고 추켜 세울 것이다.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하고 있는 입장에서 퍼포먼스(성능), 디자인보다 디스플레이와 배터리 사용시간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 중에서도 한가지를 고르라면 디스플레이를 꼽고 싶다. 왜냐하면, 직업상 모니터를 .. 더보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LG전자 마케팅 전략 득인가, 실인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LG전자 마케팅 전략 득인가, 실인가 자극적인 마케팅을 시도하고 있는 LG전자의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LG전자의 사업이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LG전자 마케팅이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인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것. 또 아바타 열풍에 힘입어 국내외 주요 IT/가전 전시회에서 3D를 외치고 있는 LG전자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는 상황에서 LG전자 마케팅 전략이 성공을 거둘 수 있을지 살펴보자. 글로벌 시장에서 점차 위축되는 LG전자 글로벌 경기 침체와 모바일 사업 부분의 경영실적 악화가 맞물리면서 벌써부터 구조조정에 대한 루머에 휩싸이고 있다. 특히 국제신용평가사인 S&P가 LG전자 신용등급을 한 단계 내렸다는 소식(17일 Y.. 더보기 [NX200 출시] 지금은 미러리스 카메라도 2000만 화소 시대 [NX200 출시] 지금은 미러리스 카메라도 2000만 화소 시대 미러리스 카메라의 2,000만 화소 시대에 동참한 NX200이 본격적으로 출시됐다. IFA2011을 통해 공개된 NX200은 화소, 연사 능력, 개선된 AF 속도, 풀 HD 동영상 촬영 등 성능이 향상된 고성능 미러리스 디지털 카메라였다. 콤팩트 스타일로 출시됐던 전작 NX100은 렌즈 성능과 이미지 품질이 우수했음에도 불구하고 휴대성이 아쉬웠다는 평가가 뒤따랐지만 NX200은 하드웨어의 성능이 향상된 만큼 확실히 달랐다. 이 글을 읽기 전에 추천을 눌러주시면 더욱 많은 분들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dtalker.tistory.com http://www.dtalker.net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미러리스 카메라 시장의 주도권을 .. 더보기 OLED기술이 UMPC 및 노트북에 적용 된다면? [Digital News IT 컬럼니스트 오세경(붸가짱)] OLED기술이 UMPC 및 노트북에 적용 된다면? TFT-LCD(초박막 액정표시장치)를 대체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OLED 패널은 최근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고 있다. 2008년 2월 29일 소니는 OLED 사업에 약 220억엔을 투자한다고 공개하였고, 지난 6일 세계 최초로 OLED TV 'XEL-1'을 일본과 미국시장에 출시했다고 밝혔다. 또한, 레인콤에서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08에서 AMOLED를 채용한 PMP 'P20'을 선보였다. 아이리버에서는 AMOLED의 성능에 DMB를 볼 수 있는 '클릭스플러스'라는 제품을 선보여, OLED를 다양한 디지털 기기에 적용하여 사용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꿈의 디스플레이.. 더보기 MWC2011에서 갤럭시S의 후속제품 '센르(세느)' 공개 MWC2011에서 공개될 삼성전자 갤럭시S(코드명-센르[세느])의 후속제품에 대한 정보가 일부 공개됐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국내외 매체들은 갤럭시S 후속제품에 대한 소식을 긴급 뉴스로 보도했다. 먼저 가칭 센르(세느)이라 불리는 갤럭시S의 후속제품은 갤럭시S처럼 프리미엄 스마트폰을 지향하며 MWC2011(이동통신전시회)에서 공개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센르(세느)는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2.3(진저브레드) 버전을 채용했고, 모바일 프로세서 중 최고성능을 자랑하는 오리온을 탑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리고 480x800의 지원해상도를 가진 4.3인치 Super AMOLED Plus(슈퍼 아몰레드 플러스), 1GB 메모리, 오토포커스를 지원하는 800만화소의 웹카메라, 근거리무선통신(NFC)이 .. 더보기 구글 넥서스S의 핸즈온 비디오 공개 슬래쉬기어는 차세대 스마트폰 넥서스S를 입수해 핸즈온 비디오를 공개했다. 슬래쉬기어는 S-AMOLED의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 구동속도가 돋보이고 개선된 입력방식을 채용한 키보드와 복사/붙여넣기 등 편집 기능 우수하다고 평가했다. 안드로이드 2.3 진저브레드를 기본 탑재한 넥서스 S의 스펙을 먼저 살펴보면 갤럭시 S와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GHz Cortex A8 허밍버드 프로세서와 4인치 WVGA 800X480 디스플레이, 512MB RAM, 1500mAh 리튬이온 배터리, WIFI, 500만 화소 카메라 등 갤럭시 S와 유사한 모습임을 확인할 수 있다. 넥서스 S는 AMOLED에 커브드 글래스(Cuved Glass)를 채용한 제품으로 강화유리인 고릴라 글래스 3장을 3D로 가공하여 그립감.. 더보기 LG유플러스로 출시한 갤럭시U 무엇이 달라졌나? LG유플러스는 스마트폰 시장을 두고 치열한 주도권 경쟁을 벌였지만 안드로이드폰 시장에서 약세를 보이며, 스마트폰 시장에서 뒤쳐졌다. 이를 회복하기 위해 옵티머스Q를 선보였고, 스마트폰 라인업을 강화하기 위해 후속 제품으로 갤럭시U를 지난 8월 19일 출시했다. 현재까지 옵티머스Q와 갤력시U가 각각 10만명과 9만명의 가입자를 확보하며, 스마트폰 시장의 점유율을 끌어올리고 있다. 그 중 눈길을 끄는 안드로이드폰은 단연 갤럭시U다. 삼성전자가 전략폰으로 출시한 갤럭시 시리즈는 SK텔레콤향 갤럭시S와 갤럭시A, KT향 갤럭시K, LG유플러스향 갤럭시U 등 각각 통신사 별로 출시했다. 하지만 이 부분에 대해서 지난 21일 공정거래위원회 종합감사에서 통신사별 단말기 공급에 대한 불공정 행위(스펙 차별)가 벌어지고..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