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uper AMOLED

삼성 가죽 플립 커버를 내장한 바다폰 웨이브 723 삼성 가죽 플립 커버를 내장한 바다폰 웨이브 723 Super AMOLED를 내장한 웨이브(WAVE) 폰이 아닌 이보다 디스플레이 스펙이 낮아지고 대신 폰의 디스플레이를 보호해주는 가죽 플립 케이스를 폰에 내장한 독특한 컨셉의 폰 웨이브 723이 공개됐다. 웨이브 723은 삼성의 모바일 플랫폼인 바다(BADA) 1.1을 운영체제로 하고 있으며 3.2인치 LCD 디스플레이와 802.11n, WIFI, 블루투스 3.0, 500만 화소 카메라를 기본 스펙으로 하고 있다. 독특하게 가죽 플립 케이스를 폰 자체에 내장함으로써 별도 케이스 필요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웨이브 723은 9월 독일에 가장 먼저 출시될 예정이다. 더보기
삼성 태블릿 PC 갤럭시 탭 AMOLED가 아닌 TFT LCD 채용 삼성 태블릿 PC 갤럭시 탭 AMOLED가 아닌 TFT LCD 채용 애플 아이패드 국내 출시 계획이 여전히 오리무중인 가운데 아이패드 이외 이렇다 할 태블릿 PC가 국내 출시 되지 않고 있다. 그나마 가장 먼저 출시 될 것으로 예상되는 삼성의 태블릿 PC 갤럭시 탭이 다음달쯤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갤럭시 탭 스펙에 대한 다양한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그 중 AMOLED 디스플레이를 채용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갤럭시 탭이 AMOLED가 아닌 TFT-LCD를 내장하여 출시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는 대형 AMOLED 확보가 쉽지 않으며 AMOLED 수급이 현재로써는 불가능 하다는 판단 하에 내린 결정으로 보여진다. 갤럭시 S에 들어가는 소형사이즈의 AMOLED도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대.. 더보기
삼성전자 bada 플랫폼을 담은 웨이브 폰 SKT를 통해 출시. 삼성전자 bada 플랫폼을 담은 웨이브 폰 SKT를 통해 출시. 삼성전자 또 하나의 전략 폰으로 bada 플랫폼을 내장한 웨이브폰(SHW-M120S)을 SKT를 통해 출시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일명 바다폰으로도 불리는 이 웨이브폰은 삼성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bada 플랫폼을 채택, 초기 우려의 목소리가 많았지만 지난 2010 월드IT쇼(WIS)를 통해 전시 직접 만져본 이들에게서 디자인과 성능에 있어 꽤 우호적인 평가를 이끌어 냈다. 바다 플랫폼을 담은 것과 3.3인치 Super AMOLED(갤럭시 S는 안드로이드와 4.0인치 Super AMOLED 채택) 이외에 갤럭시 S과 거의 흡사한 성능을 담고 있는 웨이브폰은 가격책정 전략에 따라 일반 휴대폰과 스마트폰 사이의 피쳐폰 급의 제품으로 좋은 성과를 .. 더보기
LG U+용 삼성전자 갤럭시 L 세부 사양 및 이미지 공개 LG U+용 삼성전자 갤럭시 L 세부 사양 및 이미지 공개 LG U+를 통해 출시될 갤럭시 S의 또 다른 버전 갤럭시 L에 대한 세부 사양과 그 이미지가 공개됐다. 공개된 갤럭시 L은 갤럭시 S에서 디스플레이만 4인치에서 3.7인치로 변경되어 나올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Super AMOLED가 아닌 갤럭시 A에 내장된 AMOLED Plus 3.7인치 디스플레이가 내장되었으며 이로인해 갤럭시 S의 두께 9.9mm에서 2.5mm 약 25% 정도 늘어난 12.4mm로 출시된다. 이외 성능은 갤럭시 S와 동일하다. 사실 갤럭시 L에 Super AMOLED가 내장되지 못할 것이라는 점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었다. 삼성과 LG U+는 배터리 소모량을 줄이기 위해 4인치에서 3.7인치로 다운그레이드 했다고는 하지만.. 더보기
[루머] 삼성 갤럭시 S 2 내년 5월경 출시. 스펙, 사진 유출. [루머] 삼성 갤럭시 S 2 내년 5월경 출시. 스펙, 사진 유출. 삼성 갤럭시 S 후속모델인 갤럭시 S 2에 대한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해외 사이트를 통해 공개된 갤럭시 S 2에 대한 소식은 스펙과 디자인에 대한 내용과 출시 시기에 대한 내용 두 가지로 정확한 소식이라기 보다는 루머일 가능성이 농후한 소식이다. 우선 출시소식은 네덜란드에 있는 삼성 모바일 팬사이트 Samsung Firmware를 통해 공개된 소식으로 갤럭시 S 후속모델인 갤럭시 S 2 (가칭)가 내년 5월경에 출시 될 것이며 이 제품을 만드는데 서두르지 않고 기존에 보지 못했던 새로운 스마트폰을 선보일 것이라는 내용이 덧붙여 졌다. 출시 소식은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내용으로 보여진다. 아니면 더 늦어질 수도 있을 듯 하다. 상당히 빠.. 더보기
아이폰 3GS와 아이폰 4 디스플레이 비교 사진 아이폰 3GS와 아이폰 4 디스플레이 비교 사진 레티나 디스플레이라는 이름으로 WWDC를 통해 어메이징을 외쳤던 스티브 잡스. 그 이후 많은 매체와 전문가들은 잡스의 오버스러움이 드러난 대목이며 레티나는 HD LCD 급에 해상도를 높인 것으로 잡스가 아이폰 4의 성능을 강조하기 위해 레티나라는 이름을 붙인 것일 뿐 분명 레티나 디스플레이가 우수하기는 하지만 AMOLED 보다 우수하다라는 이야기는 과장되었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이에 일반 유저들 사이에서도 레니타 디스플레이와 펜타일 방식의 AMOLED간의 논란이 일고 있으며 결국 레티나 디스플레이를 담은 아이폰 4와 Super AMOLED를 채용한 갤럭시 S의 경쟁으로 이어지고 있다. 두 제품 모두 정식 출시되지 않은 만큼 무엇이 좋다 나쁘다를 결정하기.. 더보기
삼성 ‘슈퍼 아몰레드폰’ 개발 네이밍이 문제다? 삼성 S-AMOLED ‘슈퍼 아몰레드폰’ 개발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AMOLED 채택한 휴대폰을 출시하여 좋은 결과를 이끌어낸 삼성이 기존 아몰레드 휴대폰보다 최대 5배 이상 선명한 화질을 구현하는 슈퍼 아몰레드(Super AMOLED)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 기존 AMOLED 폰의 경우 AMOLED 디스플레이에 터치 레이어를 입힘으로써 선명도나 야외 시인성 등이 떨어질 수 밖에 없었는데 반해 이번에 세계 최초로 개발된 S-AMOLED는 정전식 터치패널을 AMOLED 바깥쪽 Glass에 넣어 일체형으로 개발해 선명도는 더욱 높아지고 색재현율이나 야외 시인성 등이 더 좋아지게 되었다. 특히 야외시인성의 경우 20%이상 개선되어 햇빛이 강한 야외에서도 이전보다 선명한 화면을 볼수 있다고 한다. 현재 이 S-A..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