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okia

노키아, 모바일 시장 탈환 나선다 노키아(Nokia)가 모바일 시장 탈환을 위한 본격적인 시동을 건다. 그동안 노키아(Nokia)는 피처폰과 보급형 모바일 단말기 생산에 주력해왔다. 하지만 급격한 트렌드 변화로 스마트폰이 휴대폰 시장의 주도권을 가져가기 시작했다. 그리고 화웨이와 ZTE같은 중국 모바일 제조사가 급성장하면서 피처폰과 같은 휴대폰 시장 지배력도 조금씩 스마트폰 제조사에게 빼앗겼다. 이처럼 모바일 시장이 점차 치열해지는 가운데 시장 지배력이 약화된 노키아(Nokia)는 특단의 조치를 내리게 된다. 바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기 위한 리더십 및 운영 구조 변화 등의 내용을 포함한 자사의 새로운 전략 방향을 지난 2011년 2월 11일 발표한 것. 새로운 전략의 주요 키워드는 스마트폰, 연구 개발(R&D), 조직 구조 개선 등 3.. 더보기
노키아 슬라이딩 키패드를 담은 스마트폰 E7 출시. 노키아 슬라이딩 키패드를 담은 스마트폰 E7 출시. 노키아(Nokia)는 심비안 3을 담은 스마트폰 E7을 출시했다. E7은 4인치 AMOLED 클리어 블랙 디스플레이와 4열 슬라이딩 방식의 쿼티키패드, 800만 화소 AF 카메라, 듀얼LED, WIFI, GPS, 블루투스, UMTS Pentaband/ GSM Quadband, 심비안3, 16GB 내장메모리, HDMI, FM 라디오 등을 담고 있다. 현재 핀란드 헬싱키 스토어를 비롯한 일부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가격은 599유로 한화로 약 90만원 정도에 책정되어 있다. 전체적인 하드웨어 스펙은 크게 무리가 없는 수준으로 판단된다. 더구나 기존 국내 출시된 노키아 제품들보다 향상된 심비안 3를 담아냈다는 점 역시 스마트폰 시장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 더보기
노키아 ‘터치&타이프’ 뮤직폰 X3 발표 노키아 ‘터치&타이프’ 뮤직폰 X3 발표 국내 KT를 통해 노키아가 출시되면서 해외 노키아 신제품 출시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저렴한 가격대비 높은 성능을 장점으로 한 노키아 제품이 국내 많지는 않지만 꾸준하게 출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해외 노키아 ‘터치&타이프’ 뮤직폰 X3를 출시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발표된 노키아 뮤직폰 X3은 슬라이드 방식의 바 타입으로 2.2인치 QVGA 터치 디스플레이(해상도 320X240)와 320만 화소 카메라, 4배 디지털 줌, 내장 46MB, 최대 16GB MicroSD 외장메모리 지원, 9.6mm 두께, 3G, 802.11n WIFI, 블루투스 2.1, 전용 뮤직 키들 포함 뮤직 플레이어, 스테레오 스피커, FM 라디오, 3.5mm 이어폰 단자 등을 기본 .. 더보기
실패한 CeBIT2010 어떻게 이런 일이? IT전시회 중 전세계적으로 주목 받는 전시회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스페인 바로셀로나에서 열리는 MWC, 독일 하노버에서 열리는 CeBIT,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리는 COMPUTEX,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IFA 등 5개 전시회로 압축해 볼 수 있다. 그런 만큼 CeBIT이 가진 전시회의 영향력은 무시할 수 없을 만큼 높은 포지션을 갖고 있다. 하지만 CeBIT2010이 지난 3월 3일부터 4일간 치뤄졌는데, 국내에서 별다른 이슈가 만들어지지 않고 이처럼 조용한 이유는 무엇일까? 2008년 상반기까지만 하더라도 IT 3대 전시회로 CES, CEBIT, COMPUTEX가 폭넓은 영향력을 행사해 대부분의 기업들이 참가하려고 노력했다. 2008년 하반기부터 기업들이 IT전시회를 참가하는 기업.. 더보기
소비자의 승리. KT 노키아 5800 업글 약속 소비자의 승리. KT 노키아 5800 업글 약속 노키아 유저들의 뿔과 한이 드디어 결실을 맺게 되었다. 【 한국만 업데이트 NO! 노키아 유저들 뿔났다. KT를 통해 출시된 노키아 5800은 약 3만 가량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이는 기존 국내 출시된 노키아 제품들과 비교했을 때 나름의 성공적인 판매고를 올린 제품으로써 노키아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제품이 아닐까 하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내외적인 이러한 평가와는 달리 해외와는 너무나 다른 차별로 인해 국내 노키아 사용자들이 불만을 토로하고 있으며 현재 노키아에 대해 서명운동을 시작 약 7000여명이 참여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사실 노키아 사용자들의 인내는 상당했다. 먼저 같은 스마트폰임에도 KT는 아이폰에만 네스팟 공짜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노키.. 더보기
노키아 N97 미니 골드 에디션 출시 ‘탐난다.’ 노키아 N97 미니 골드 에디션 출시 ‘탐난다.’ 노키아에서 출시한 N97 미니(Mini) 모델의 골드 에디션을 출시한다. N97은 3.5인치 16:9 터치 스크린과 심비안 OS, 500만 화소 카메라(칼자이쯔 렌즈와 듀얼 LED 플래시 내장), 슬라이딩 방식의 쿼티키패드, 32GB 온보드 메모리, WIFI, GPS 등 수준높은 스펙을 내장한 제품이며 N97 Mini는 이보다 사양이 다소 떨어지는 제품으로 3.2인치 터치 디스플레이와 8G 내장 메모리를 제외하고 거의 동일한 모델이다. N97 Mini 제품에 18K 도금 처리한 ‘N97 Mini 골드 에디션’은 유럽,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등 올 2분기에 출시할 예정이며 가격은 625유로 우리나라 돈으로 983,981원이다. 도금 처리해도 국내 업체 제.. 더보기
한국만 업데이트 NO! 노키아 유저들 뿔났다. 한국만 업데이트 NO! 노키아 유저들 뿔났다. KT를 통해 출시된 노키아 5800은 약 3만 가량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이는 기존 국내 출시된 노키아 제품들과 비교했을 때 나름의 성공적인 판매고를 올린 제품으로써 노키아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제품이 아닐까 하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내외적인 이러한 평가와는 달리 해외와는 너무나 다른 차별로 인해 국내 노키아 사용자들이 불만을 토로하고 있으며 현재 노키아에 대해 서명운동을 시작 약 7000여명이 참여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사실 노키아 사용자들의 인내는 상당했다. 먼저 같은 스마트폰임에도 KT는 아이폰에만 네스팟 공짜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노키아는 안된다는 정책을 펼쳤다. 결국 노키아 이용자들의 노력으로 노키아 역시 네스팟 무료 사용이 가능해졌다. .. 더보기
노키아, MWC 2008 인터넷 태블릿 'N810' 선보여 [유사UMPC News IT 컬럼니스트 오세경(붸가짱)] 노키아, MWC 2008 인터넷 태블릿 'N810' 선보여 노키아는 11일에서 14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08’에서 휴대용 인터넷 태블릿 ‘N810’을 선보였다. 이 제품은 디지로그닷컴에서도 다뤘는데 "Noika N800의 후속 제품 N810 미국시장 출시"라는 제목으로 게시물을 작성했었다. 스펙은 당시와 비교해서 바뀐 것은 없고, 다음과 같다. 모델명 N810 해상도 800 x 480 touch Screen (4.13인치) 램 OS Maemo Linux based OS 2008 Software Mozilla(브라우져), Ajax와 Adobe Flash 9지원 I/O 쿼티키보드 내장, GPS, Wi-F.. 더보기
Noika N800의 후속 제품 N810 미국시장 출시 [UMPC News 디지로그 블로거 붸가짱] 전 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열풍을 만들어 내고 있는 애플 아이팟 터치(iPod Touch)의 경쟁 제품 노키아의 휴대용 인터넷 타블렛 'N810'을 19일 미국시장에 선보였다. 노키아의 N8시리즈의 경우 휴대용 인터넷 타블렛이라고 칭하는데, UMPC에 가깝게 보여진다. 최근에 UMPC라는 단어가 포괄적인 의미로 최근에 사용되는 만큼 이 제품도 UMPC의 포괄적인 영역안에 그 의미가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N800의 후속제품인 N810에서는 이전보다 많은 기능을 내장하면서 더 나은 확장성을 제공한다. 아래의 표는 현재까지 외부에 공개된 스펙이다. N800 N810 해상도 800 x 480 touch screen 800 x 480 touch Screen (4.13인.. 더보기
Nokia N800 Internet Tablet -2부- 안녕하십니까~! 붸가짱입니다. 지난 편에서는 CES2007에서 선보였던 Nokia의 N800 Internet Tablet 이라는 제품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국내에서 인기가 시들한 이유가 확장성과 Internet 을 위한 전용 Tablet 제품의 컨셉을 가지고 있는 부분이 큰 몫을 하였습니다. 국내 유져들의 높은 스펙사양을 요구하는 부분을 채워주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이 제품이 보편화가 되려면 몇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첫째는 PDA 인프라 확충, 둘째는 인터넷 인프라의 시설 확충, 셋째는 통신요금의 가격인하 위의 세가지 요소를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인터넷 통신 모듈 제품이 출시가 되었기 때문에 Wibro, HSDPA등 통신 모듈이 내장이 되거나 외장으로 연결하여 사용을 할 수 있지만 아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