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GU+

LG전자 아이스크림폰3(LG-LU2700)가 출시된다! LG전자 아이스크림폰3(LG-LU2700)가 출시된다! LG전자는 3번째 아이스크림폰 LG-LU2700을 출시한다. 출시 때마다 좋은 반응과 많은 판매고를 이끌어낸 LG전자 아이스크림폰이 그 세번째 모델을 선보인다. 스마트폰과 풀터치폰이 대부분인 요즘 기존 아이스크림 폴더 방식을 그대로 채용한 디자인으로 출시된다. LGU+ 전용폰인 아이스크림 3은 3.0인치 WQVGA TFT LCD와 300만화소 카메라, 지상파 DMB, WIFI, MicroSD 슬롯, CDMA EV-DO Rev.A 지원, 인터넷전화 서비스 등을 담고 있다. 아이스크림 3는 학생 또는 복잡한 것을 싫어하는 유저들을 대상으로 한 제품이다. 다만 기존 아이스크림폰과는 다른 디자인으로 사진만을 보고 판단하기는 어렵겠지만 기존 부드럽고 큐티한 .. 더보기
LG유플러스, IPTV U+TV를 통해 CJ 미디어 컨텐츠 공급! LG유플러스, IPTV U+TV를 통해 CJ 미디어 컨텐츠 공급! IPTV 보급률이 빠르지는 않지만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컨텐츠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만큼 각 IPTV사업자는 컨텐츠 확보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LG유플러스는 자사의 IPTV 서비스인 U+TV를 통해 복수채널사용사업자인 CJ미디어 컨텐츠를 가장 먼저 공급하기로 결정했다는 소식을 발표했다. 사실 LG유플러스가 CJ미디어와 같은 컨텐츠 사업자와 가장 먼저 공급체결을 진행한 것은 업계에서는 이례적인 일이다. 항상 IPTV 1위 업체인 KT가 먼저 협상을 마치면 2, 3위 IPTV 사업자들이 따라가는 형식으로 가격협상도 KT에 맞춰 진행해왔다. 하지만 이번에는 LG유플러스가 가장 먼저 체결하여 C.. 더보기
삼성 레퍼런스 폰 넥서스S 국내 출시될까? 삼성 레퍼런스 폰 넥서스S 국내 출시될까? 삼성은 구글 레퍼런스폰 넥서스S를 출시했다. KT를 통해 구글 넥서스원이 출시된 만큼 넥서스 S도 곧 국내 시장에 출시될 것이다라는 추측이 흘러나왔다. 하지만 넥서스S가 정말 출시될 수 있을까? 결론적으로 말하면 넥서스S 출시는 부정적이다. 일각에서는 SKT를 통해 현재 검토중이라는 소식도 흘러나오지만 넥서스S에 대해 조금만 들여다 보면 그 가능성은 상당히 낮다고 보여진다. (아이폰만 보더라도 SKT가 검토만 참 잘하는 업체이기도 하다.) 그 첫번째 이유는 넥서스S가 레퍼런스폰이기 때문이다. 모든 단말기에는 이동통신사화된 서비스들이 들어간다. 예를 들면 SKT 폰에 들어가는 T스토어나 T맵, 멜론등이 대표적이다. 커스톰화된 서비스를 출시 단말기에 담아냄으로써 통.. 더보기
아이스테이션과 LGU+가 손을 잡다! 애듀탭(EduTAB) 아이스테이션과 LGU+가 손을 잡다! 애듀탭(EduTAB) LGU+는 삼성전자 태블릿 갤럭시탭 출시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또 하나의 태블릿 아이스테이션애듀탭을 출시한다는 소식을 전했다. 애듀탭은 교육용 콘텐츠에 특화된 제품으로 텔레칩스 8900 720MHz 프로세서와 7인치 WVGA 디스플레이(해상도 800x480), 16GB, 안드로이드 2.1 운영체제, 256MB DDR2 RAM, 블루투스 2.0, HDMI, 802.11b/g WIFI 스펙을 지니고 있다. 크기는 190X124X13.8mm이며 가격대는 40만원대이다. 여기에 EBS 수능강의 앱과 유/무료 학습앱을 모아놓은 애듀앱스 등을 담아 학생이나, 어학공부를 필요로 하는 직장인들에게 포커싱을 맞췄다. 또한, 온라인 인터넷 교육업체에서 제공하는 .. 더보기
갤럭시탭 SKT보다 LGU+로 사는 게 더 쌀까? 갤럭시탭 SKT보다 LGU+로 사는 게 더 쌀까? LG U+를 통해서도 갤럭시탭(SHW-180L)이 출시된다. 정확히 22일 수요일부터 판매를 시작하는 LGU+ 갤럭시탭은 SKT를 통해 판매되는 갤럭시탭 구매를 다소 부담스럽게 느꼈던 이들이라면 한번쯤 고려해도 될만하다. LGU+를 통해 출시되는 갤럭시탭은 두가지 요금제로 출시된다. ‘OZ패드 요금제’와 기존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OZ 스마트 요금제’ 두가지이다. 우선 OZ 패드 요금제를 보면 OZ 패드 요금제는 KT 아이패드와 비슷한 데이터 요금제입니다. 월 2G에 27,500원, 4G에 42,500원을 내면 된다. 이때 약정에 따라 할인이 적용되는데 2G는 약 12,000원, 4G는 2만원 정도가 매달 할인된다. 참고로 4G 요금제를 3년 약정으로 가.. 더보기
아이스테이션 LGU+ 손잡고 태블릿을 출시한다. 아이스테이션 LGU+ 손잡고 태블릿을 출시한다. 아이스테이션이 20일 LGU+와 손잡고 통신기능을 담은 태블릿 PC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정확한 사양은 공개되지 않은 가운데 7인치 디스플레이를 담았으며 3G 통신기능과 WIFI 그리고 VoIP 등을 지원한다는 것으로 전해졌다. 통신요금과 단말기 가격 등은 아직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의 경우 SKT를 통해 삼성전자 갤럭시 탭이 출시되었으며 KT는 애플 아이패드와 아이덴티티탭 출시, 그리고 갤럭시 탭 K 출시를 앞두고 있다. LGU+가 스마트폰 시장에서 단말기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만큼 태블릿 시장이 활성화되는 지금 단말기 확보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스스로 깨닫고 있는 듯 하다. LGU+향 갤럭시탭과 함께 아이스테이션 태블릿을 출시 .. 더보기
디자이어 HD HTC 시장의 다각화를 노리다! 디자이어 HD HTC 시장의 다각화를 노리다! SKT의 만년 우방으로만 여겨졌던 HTC가 자사의 프리미엄급 안드로이드폰 디자이어 HD(DesireHD)를 KT를 통해 출시했다. HD2와 함께 국내 가장 큰 디스플레이를 자랑하는 디자이어 HD는 4.3인치 LCD(해상도 800X480)와 스냅드래곤 1GHz, 안드로이드2.2, 768MB RAM, 1.5GB 내장 메모리, 800만화소 카메라 등 고사양의 스펙을 자랑한다. SKT가 삼성과의 손을 잡고 갤럭시 S 판매에 열을 올릴 때 팬택은 자사의 제품에 신경 써주지 않으며 SKT와의 관계를 끝내겠다라고 발표할 만큼 SKT와의 현 관계에 대해 노골적인 불만을 표시했다. HTC 역시 이와 관련된 이유일지는 모르겠지만 프리미엄급 스마트폰인 디자이어 HD를 SKT가 .. 더보기
KT, LG U+를 통해 갤럭시 탭 WIFI 모델이 출시된다. KT, LG U+를 통해 갤럭시 탭 WIFI 모델이 출시된다. 삼성전자 태블릿 PC 갤럭시 탭이 KT와 LG U+를 통해 출시될 예정이다. SK텔레콤을 통해서만 출시된 갤럭시 탭은 국내 모든 통신사를 통해 출시, KT에서 출시되는 아이패드와 함께 국내 태블릿 시장의 경쟁을 이끌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전파연구소를 통해 무선기기 인증현황에 따르면 KT용 갤럭시 탭 SHW-M180K가 전파승인을 받았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12월 중 출시되지 않을까 예상된다. 특히 SKT를 통해 출시된 갤럭시 탭의 경우 WIFI와 3G를 모두 지원 전화 기능을 탑재했지만 KT와 LG U+를 통해 출시되는 제품의 경우 WIFI만을 탑재하여 출시될 예정이다. 3G 모델만 출시하여 구입을 망설였던 유저들에게는 좋은 소식이 될 듯 하.. 더보기
스카이 안드로이드폰 미라크 IM-A690S/L 출시 스카이 안드로이드폰 미라크 IM-A690S/L 출시 팬택 스카이(http://www.isky.co.kr)는 안드로이드폰 미라크(Mirach IM-A690S/L)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스카이는 현재 스리우스를 시작으로 이자르, 베가 등 안드로이드폰 라인업을 차근차근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현재 약 50만대 누적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 안드로이드 2.2 프로요를 기본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3.5인치 WVGA TFT LCD 디스플레이와 500만 화소 AF 카메라, WIFI, 블루투스, Micro SD 슬롯, 3.5파이 이어폰 단자, DivX/ Xvid 코덱 지원, 인터넷 전화 등 기능을 담고 있다. 색상은 블랙, 화이트, 펑키핑크, 올리브 그린 등 네가지 색상으로 출시되며 이중 화이트와 블랙이 10월 중 출시되.. 더보기
이동통신 3사의 무제한 요금제는 언제까지 유지될까? 이동통신 3사의 무제한 요금제는 언제까지 유지될까? SK텔레콤과 KT에 이어 LGU+가 10월 1일부터 데이터 무제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 이로서 이동통신 3사 모두 데이터 무제한 서비스를 실시하게 됐다. 스마트폰 시장으로 가열됐던 이동통신 3사의 가입자 유치 경쟁이 무제한 데이터 서비스 경쟁구도로 옮겨가면서 향후 서비스 정책에 대해서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동통신사들의 행보는 스마트폰 가입 유치 전략'과 스마트폰 시장 지배력 강화가 복합적으로 얽혀있다. 이동통신사들의 행보는 소비자에게 일거양득의 효과를 제공했다. 첫째, 데이터 요금 부담 최소화. 소비자가 스마트폰을 구매하면서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단연 데이터 요금제다. 일부 언론매체에서도 요금제 폭탄을 우려한 기사를 보도한 것도 소비자의 불안감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