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ED

옵티머스 2X 허위광고 방치한 LG전자 진짜 몰랐을까? 옵티머스 2X 허위광고 방치한 LG전자 진짜 몰랐을까? 옵티머스 2X에 탑재된 제논 플래시가 LED 플래시로 밝혀져 파문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트위터리안 CHLgic이 옵티머스 2X 플래시 모듈이 제논 플래시가 아니고 LED로 보인다는 문제를 제기하며 LG전자에 공식적인 답변을 요청한 것. LG전자는 트위터를 통해 "옵티머스 2X에 장착한 카메라 플래시는 제논 플래시가 아닌, 파워 LED 플래시 모듈이다"라고 설명하며, "제품 정보로 혼선을 끼쳐 드려 죄송하다"라고 답변했습니다. 이어 "앞으로 동일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덧붙였는데요. LG전자가 이 중요한 사실을 정말 몰랐을까요? 대기업 업무 프로세스를 아는 분들이라면 이 같은 답변을 두고 코웃음을 칠지도 모릅니다. 더군다나 마케.. 더보기
빛나는 치아를 가지고 싶다면? LED 치아 인기. 빛나는 치아를 가지고 싶다면? LED 치아 인기. 일본 여성들 사이에서 엽기적인 제품 제품 하나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른바 눈부신 치아, 빛나는 치아를 만들어주는 LED 치아이다. 사용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LED가 부착된 마우스를 입안에 넣고 치아에 끼우면 된다. 입안에 넣은 LED는 빛을 발하며 미소를 지을 경우 빛이 치아와 치아 사이로 퍼져나오면서 빛나는 치아와 빛나는 미소를 가지게 해준다. ‘입안에서 파티’를 이라는 카피로 광고하고 있는 이 제품은 단순히 순간의 재미와 흥미를 이끄는 제품일 뿐 이 빛을 통해 입안을 깔끔하게 해주는 청결제 등의 용도는 아니다. 더보기
디지털 TV 시장의 성장 어디까지 갈까? 최근 세계 TV 시장은 뒤를 돌아보지 않고 앞만 바라보며 숨가쁘게 달려왔다. 1980년대 컬러TV 방송을 시작한 이후 아날로그 브라운관 TV 시장의 강자는 소니였다. 후발주자로 TV 시장을 따라잡기 위해 디지털 TV에 집중적인 투자를 했던 국내 기업들이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내면서 TV 시장은 급변하기 시작한다. (1998년 세계 최초 디지털 TV 개발 성공) 디지털 TV 시장으로 변화하는 2000년대로 들어오면서 TV 시장은 점차 기술력 경쟁으로 치닫게 된 것. 기술력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기업들은 제품 차별화를 두기 위해 화면의 크기와 화질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이후 TV 패널의 중요성과 헤르츠(Hz)로 옮겨가게 된다. 2004년부터 브라운관(아날로그) TV 대 디지털(LCD) TV의 보급 비율은 5:.. 더보기
친환경 LED 백라이트가 탑재된 에이서 S243HL WLED 모니터 에이서가 국내 모니터 시장에도 출사표를 던졌다. 글로벌 PC기업 에이서는 프리미엄급 ‘울트라 슬림 에이서 S243HL WLED’ 모니터를 국내에 첫 출시하며 모니터 시장에 진출한 것. Acer Cine CrystalTM 친환경 LED 백라이트가 탑재된 울트라 슬림 에이서 S243HL WLED 모니터는 24인치 와이드형으로, 16:9 화면 비율 및 1080P의 해상도를 지원하여 더 선명하고 사실적인 화질을 구현하고 있다. 또한 8,000,000:1의 동적명암비를 실현함으로써 환한 곳은 더 밝게, 어두운 곳은 더 깊이 있게 표현이 가능해 그라데이션 및 보다 정밀한 세부 색채가 가능하다. 두게 15mm의 S243HL WLED는 2ms의 빠른 응답속도로 3D 게임, FPS 게임, 스포츠 등 다이내믹한 영상에서 .. 더보기
LG전자, LED LCD TV 일본시장 진출 한국 TV의 성공적인 일본 진출 사례를 만들 수 있을까? LG전자가 19일부터 일본 시장에서 본격적인 LED LCD TV 판매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LG전자가 오늘 시판하는 LED LCD TV 제품 수는 5개 시리즈 10 개 모델에 달해, 지금까지 일본에 진출한 외국 TV 브랜드로는 가장 많은 제품을 동시 출시하게 된다. 특히, 최고급 모델인 55인치 풀 LED 3D TV(모델명:LX9500) 제품의 가격은 44만 8천엔(약 610만원)으로 일본 주요 브랜드의 프리미엄급 제품과 같은 수준으로 책정됐다. 이 제품은 1초당 480장의 화면을 구현해 3D 시청시의 어지러움을 최소화한 트루모션 480헤르츠(Hz) 기술과 업계 최고 수준인 1,000만대 1 의 명암비를 갖춘 간판 제품이다. LG전자는 화면 전체에.. 더보기
LG전자, 나노 풀LED TV 등 전략제품 대거 선보여 LG전자, 나노 풀LED TV 등 전략제품 대거 선보여 LG전자가 3일부터 8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가전전시회인 ‘IFA 2010’서 유럽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제품들을 대거 선보인다. LG전자는 이번 전시회에 3,700 평방미터(m²) 규모의 부스를 마련, LED TV, 스마트TV, 3D TV, OLED TV, 블루레이 플레이어, 홈씨어터, 네트워크 모니터, 친환경 가전 등 800여 개 제품을 전시한다. ● 세계에서 가장 얇은 두께의 직하 방식 풀LED LCD TV 특히, 독자적인 첨단 ‘나노 기술(Nano Lighting Technology)’을 적용, 직하 방식의 풀LED LCD TV로서는 세계에서 가장 얇은 두께를 구현한 ‘나노(NANO) 풀LED TV’(모델명:47/55LEX8).. 더보기
PC의 인터넷 서비스를 내장한 FUll HD 3D LED TV PC의 인터넷 서비스를 내장한 FUll HD 3D LED TV 우리나라의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텔레비젼 수신장애가 발생한다. 난청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중계기를 설치하고 있지만 한계가 있는 만큼 대안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때 등장한 것이 위성 수신기를 이용한 방법과 케이블 방송국과 수신 가입자의 집까지 동축 케이블을 이용해 TV를 시청하는 방법 등장하게 되었다. 이후 난청지역에서 TV를 시청할 수 있게 된 시청자들과 함께 소비자들은 좀 더 다양한 서비스를 갈구하는 시점에서 인터넷과 결합된 서비스가 나타나게 된다. 바로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가 바로 그것. 인터넷과 텔레비전의 디지털컨버전스(융합)이라는 점에서 세간의 이목을 모았다... 더보기
PAVV Full HD 3D LED TV를 구성하는 3대 핵심 기술 3D TV로 영화를 감상하다. PAVV Full HD 3D LED TV를 구성하는 3대 핵심 기술 PAL 방식과 NTSC방식은 세계 3대 방송 규격으로 손꼽히고 있다. 우리나라의 TV 주사방식은 PAL(Phase Alternation Line)이 아닌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로 채택했다. NTSC 방식은 한국, 미국, 일본, 캐나다 등 44여개국이 사용하고 있는 비디오 출력방식이며, PAL은 독일을 중심으로 한 유럽국가와 중국, 북한 등 100여개국이 사용하는 비디오 출력 방식이다. 인터레이싱(interlacing)이라는 주사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NTSC 방식은 TV 영상 프레임당 525개(유효주사선은 480개)의 수평 주사선을 가지고 있다. 연속된.. 더보기
Micrel Launches High Power Monolithic Boost LED Driver With 3.5A Integrated FET Micrel Launches High Power Monolithic Boost LED Driver With 3.5A Integrated FET Micrel, Inc., an industry leader in analog, high bandwidth communications and Ethernet IC solutions, rolled out the MIC3223, a high power Boost regulator for driving high power LEDs. MIC3223 is a monolithic switching regulator with integrated 3.5A, 37V power switch and can be used for driving high brightness 1-W or 3.. 더보기
3D TV에 대한 오해와 진실(LG전자 3D TV 발표회) 3D TV에 대한 오해와 진실(LG전자 3D TV 발표회) 요즘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는 키워드는 단연 ‘3D와 3D TV’라고 할 수 있다. 아바타의 출현으로 3D 영상 콘텐츠의 가능성을 엿봤고 그것을 즐길 수 있는 하드웨어 산업에 이슈가 집중됐다. 올 초 CES2010에서 주요 가전업체의 핵심 화두가 3D TV였다는 것은 향후 3D산업(하드웨어, 소프트웨어)에 대한 기대감을 고조시켰다. 게다가 3D TV콘텐츠 시장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됨에 따라서 업계는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정확한 집계가 어렵지만 ‘한국형 3D 입체영화 산업 발전과 미래 탐색’이란 3D 입체영화 토론회에 참석해 본 결과 최근 3D 영화가 출시되고 있고 출시를 앞두거나 국내에서 2D에서 3D 변환작업 중인 영화가 약 20여편이 넘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