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3

40대 이후 미래 설계, 트라이앵글 토크 콘서트 2013로 고민을 나눠보세요. 40대 이후 미래 설계, 트라이앵글 토크 콘서트 2013로 고민을 나눠보세요. 30대 중반에 접어들면서 최근 친구들과 직업이나 직장에 대해서 이야기를 많이 나누고 있는데요. 저와 제 친구는 기획자로 일하고 있는데, 직업의 수명이 40대 중반이면, 도태되거나 새로운 도전을 해야 하는 시점이 아닐까라는 공감대가 형성되어가고 있는 중입니다. 저와 비슷한 연배를 지닌 분들이나 선배님들 같은 경우에는 이와 같은 고민을 하고 있지 않을까 싶네요. 하루는 친구가 사업 아이템을 알아보고 있다며, 동업을 권유했습니다. 성실함과 꾸준함 그리고 서비스업에 대한 경험이 풍부한 것도 한 몫 했고, 혼자 창업하려면 금전적인 부담이 상당했기 때문이죠. 하지만 저는 이제 집에서 분가하는 것을 올해 목표로 삼고 추진하는 시점이라 선뜻.. 더보기
단점을 보완한 NX300, 삼성 미러리스 평가의 기준을 바꿀 수 있을까? 단점을 보완한 NX300, 삼성 미러리스 평가의 기준을 바꿀 수 있을까?평소 관심이 많았던 삼성전자 NX시리즈가 후속 기종인 NX300을 선보였다. NX시리즈는 타사보다 느린 AF, 처리중, 고감도 노이즈가 문제로 대두되면서, 아쉬움을 남겼다. 그런데 최근 출시한 NX300이 SLR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어, NX300의 성능을 직접 확인하기 위해 P&I 2013 전시회(서울국제사진영상기자재전)가 열리는 코엑스를 찾았다.  이 글이 마음에 드시면 추천해주세요.사실 NX300에 대해서 높은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SLR클럽에서 활동하고 있는 려운&라효아빠가 올린 게시물 때문이다. 3월 28일날 작성한 [잡테스트] D7100 VS NX300 (JPG화질 테스트)라.. 더보기
[갤럭시S4 Unpacked 2013 총정리] 하드웨어 스펙이 아닌 소프트웨어 사용자 경험을 외친 삼성전자 [갤럭시S4 Unpacked 2013 총정리] 하드웨어 스펙이 아닌 소프트웨어 사용자 경험을 외친 삼성전자 삼성전자 갤럭시S4 Unpacked 2013 총정리 및 현장 이모저모 "삼성전자는 하드웨어 스펙이 아닌 소프트웨어 사용자 경험을 외쳤다" 지난 14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에 위치한 라디오시티(Radio City)에서 삼성전자 갤럭시S4 Unpacked 2013 행사가 진행됐는데요. 삼성전자 언팩(Unpacked) 행사가 궁금해 직접 갤럭시S4 발표 현장을 찾아갔습니다. 이번 행사는 애플의 안방이라고 불리는 뉴욕에서 진행된 만큼 역대 최대 규모로 치뤄졌는데요. 삼성전자가 신제품 출시 초대장을 배포하면서, 국내외 취재진과 파트너 관계자들까지 포함해 약 2500여 명 이상이 라디오 시티(Radio Cit.. 더보기
[이슈 총정리] 갤럭시S4 초대장 공식 배포, 애플을 향한 정면 도발 [이슈 총정리] 갤럭시S4 초대장 공식 배포, 애플을 향한 정면 도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갤럭시S4가 드디어 공개된다. MWC2013에 방문한 삼성전자 신종균 사장(IM부문장)이 3월 14일 뉴욕에서 갤럭시S4를 공개할 것이라고 언론을 통해 초대장을 배포한 것. 이와 함께 삼성 모바일(Samsung Mobile) 트위터에서도 초대장을 공개적으로 배포하며, 갤럭시S4의 출시 소식을 암시했다. @SamsungMobile - March 14. Ready 4 the show? #UNPACKED pic.twitter.com/cU7SjHINDg 공개된 초대장에는 Ready 4 The Show라고 기재되어 있다. 영단어 for가 아닌 4를 사용한 것으로 봐서 신종균 사장이 언급한 갤럭시S4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더보기
공인인증서, 2013년부터 PC에 저장 못하는 이유는?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와 인터넷진흥원은 해킹 피해를 줄이고자 공인인증서를 하드디스크 대신 휴대용 저장장치만 사용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적용할 예정으로 알려져 ‘눈가리고 아웅’식 대응이라는 비판이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행안부와 인터넷진흥원은 개인용 PC가 바이러스와 해킹에 노출 될 경우 데스크탑 및 노트북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개인정보 및 비밀번호가 유출과 도용이 이뤄질 수 있다는 점을 파악. 그 대응책으로 휴대용 저장장치에 공인인증서를 저장하고 인터넷 뱅킹 및 주요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때만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하겠다는 복안이다. 이번 방안은 올 하반기부터 적용 되어 2013년에는 하드디스크에 저장할 수 없도록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준비를 마쳤고 금융감독원 및 은행과 대부분의 협의를 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