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 썸네일형 리스트형 가격과 실속을 챙긴 알뜰폰, 단말기 자급제 활성화 기폭제 될까? 가격과 실속을 챙긴 알뜰폰, 단말기 자급제 활성화 기폭제 될까? - 자급제폰 시장을 뒤흔든 알뜰폰 블랙리스트제도로 언급된 휴대폰 자급제가 알뜰폰으로 이름을 바꾸며 다시금 인기를 얻고 있다. 알뜰폰(일명 : 편의점폰)은 기존 이동통신사보다 20% 이상 저렴한 요금제와 낮은 휴대폰 단말기 가격으로 승부수를 던지고 있다. 실속을 챙기려는 소비자들은 알뜰폰을 구매하기 위해 편의점으로 향하고 있고, 높은 인기 덕택에 삼성전자, LG전자, 팬택, 아이리버, 단말기 제조사들은 성능 좋은 알뜰폰 단말기를 잇달아 출시하고 있다. 이를 세부적으로 조명해 보고자 한다. |알뜰폰이란? 알뜰폰은 이동통신 재판매(MV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서비스의 홍보용어로 선정한 브랜드 이미지다. 이.. 더보기 [CES2013] 들어는 봤나, 레고 휴대폰 케이스 [CES2013] 들어는 봤나, 레고 휴대폰 케이스 다양한 크기의 브릭(Bricks)들을 조립하는 레고(LEGO)는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많은 매니아층을 형성하며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장난감이다. 더욱이 자녀교육에 도움이 되는 교육용 개발킷 마인드스톰의 출시 이후 장난감의 한계를 뛰어 넘었다는 평가까지 받고 있는 레고. 이런 인기 덕택에 미국 캘리포니아 칼즈배드에는 레고랜드까지 생겨 오랫동안 사랑을 받고 있다. 이처럼 레고는 점차 문화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하는 모습이다. 레고는 장난감 이외의 상품에도 많이 응용되는데, 브릭 모양을 비롯해 다양한 피겨 레고 열쇠고리, 손전등, 손목시계, 가방, 티셔츠 등 레고 제품을 연상시키는 다양한 상품군을 출시하고 있다. 그런데 SMALLWORKS에서 이런 레고 방.. 더보기 갤럭시노트2, IFA2012(프레스 컨퍼런스 2012)에서 공개될까? 갤럭시노트2, IFA2012(프레스 컨퍼런스 2012)에서 공개될까? 갤럭시노트2가 곧 공개될 것이라는 루머가 본격적으로 쏟아지고 있다. 아직 삼성전자에서 공식적으로 공개시기를 언급하고 있지는 않지만 주요 언론매체는 업계관계자와 전문가의 예상을 토대로 갤럭시노트2가 곧 공개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어떤 이유에서 일까?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의 니즈 사실 이런 전망이 가능한 배경에는 삼성전자의 후속제품 출시 주기가 관여하는 게 아닐까 싶다. 애플 아이폰이 국내시장에 진출하기 전까지 (국내) 휴대폰의 출시 주기는 일정했다. 아이폰이 등장하면서 이러한 출시주기가 무너지게 됐고, 후속제품보다 다양한 라인업으로 승부수를 띄우는 상황으로 바뀌게 됐다. 그 이유는 아이폰의 출시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프라 빠르게 .. 더보기 위성 DMB 서비스 7년 만에 사업 철수, 그 요인은? 위성 DMB 서비스 7년 만에 사업 철수, 그 요인은? 2005년 5월 야심차게 출발한 위성 DMB 서비스가 한 때 200만명의 가입자를 보유하며 전성기를 보냈지만 서비스 개시 7년만에 서비스 종료를 눈앞에 두게 됐다. 사실 위성 DMB 서비스는 스마트폰 대중화로 접어든 2009년부터 위성 DMB 가입자 감소세가 큰 폭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그런데 올 초 6월말에 가입자가 대거 이탈하며 약 3만 9천여명으로 줄어든 것이다. 이 때문에 SK텔링크가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에 위성 DMB 서비스 사업 종료 계획서를 제출하게 되는 계기로 이어진 것이다. 현재 방통위는 가입자를 중심으로 피해가 없는지를 면밀하게 검토한 뒤 위성 DMB 서비스 폐지 업무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한다. 스마트폰 대중화의 물결 속에 .. 더보기 갤럭시S3를 선보인 삼성전자, 논리보다 감성을 내세웠다 갤럭시S3를 선보인 삼성전자, 논리보다 감성을 내세웠다 “갤럭시S3를 선보인 삼성전자, 논리보다 감성을 내세웠다.” 삼성전자 갤럭시S3 미디어데이를 다녀오고 난 뒤 받은 느낌입니다. 갤럭시S3에 담겨진 하드웨어 스펙, 그리고 감성적인 UI와 사용 편의성을 위한 기능 등은 삼성전자가 내세운 'designed for humans(인간을 위한 디자인)'는 이를 잘 표현해 줄 수 있는 카피가 아닌가 싶습니다. 감성적인 카피가 돋보였던 갤럭시S3 TV CF 이는 삼성전자가 미디어데이를 통해 공개한 TV CF에서도 나타납니다. 국내 TV CF에서는 '당신의 마음을 이해합니다'라는 카피로 갤럭시S3(국내) TV CF가 시작됩니다. 사랑을 더 잘 전하고픈 마음, 가장 빛나는 순간을 남기고픈 마음, 당신의 말에 따르기를.. 더보기 보급형 스마트폰 출시 뒤에 가려진 진실 보급형 스마트폰 출시 뒤에 가려진 진실 삼성전자가 2012년 갤럭시M 스타일을 출시했다. 그런데 어제 하루 종일 포털사이트 검색순위 상위권을 휩쓸었다. 보급형 스마트폰이 출시한 것치고 지나친 관심이 쏟아진 것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연신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에 연신 오르내렸다. 그만큼 언론들이 보도한 갤럭시M 스타일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뜨거웠다는 것을 증명하는 상황이 아닐까 싶다. 더군다나 LG전자와 HTC도 보급형 스마트폰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리면서 보급형 스마트폰에 대한 관심도는 높아졌다. 소비자의 입장에서 보급형 스마트폰의 출시는 정말 반갑다. 그런데 좀 더 사실관계를 확인하면 소비자를 위해 출시한 것이 아니다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부터 보급형 스마트폰 출시 뒤에 가려진 진실을.. 더보기 [컬럼] 2012년 스마트폰 시장을 주목해야 할 5대 키워드 - 휴대폰 블랙리스트 제도(IMEI)편 [컬럼] 2012년 스마트폰 시장을 주목해야 할 5대 키워드 - 휴대폰 블랙리스트 제도(IMEI)편 5회에 걸쳐 기획된 이번 컬럼은 이동통신사와 스마트폰의 제조사의 전략을 분석해 2012년 스마트폰 시장 전망을 진단해볼까 한다. 현재의 상황만 놓고 본다면 2012년에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휴대폰 블랙리스트 제도, 4G LTE 네트워크와 스마트폰, 3G 스마트폰, 윈도우폰, 바다폰 등 5가지 키워드가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 이유는 앞으로 연재될 컬럼을 통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2011/12/27 - [디지털/과학] - [컬럼] 2012년 스마트폰 시장을 주목해야 할 5대 키워드 – 이동통신사와 윈도폰(윈도우폰7) 2011/12/26 - [디지털/과학] - [컬럼] 2012년 스마트폰 시장을 주목해야 .. 더보기 아이폰4, 모바일카드(NFC) 기능으로 손쉽게 결제한다 아이폰4, 모바일카드(NFC) 기능으로 손쉽게 결제한다 신한카드, KT와 제휴해 아이폰4 모바일카드(NFC)를 국내 최초로 출시한다고 밝혀 아이폰4에서도 모바일카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이 서비스는 아이폰4 전용 외장형 근거리 무선통신(이하 NFC) 케이스인 아이까르테(iCarte)를 아이폰4에 장착하여 이용하는 방식으로, 모바일카드를 신청한 후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모바일카드 정보를 휴대폰에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면 된다. GS25/훼미리마트/홈플러스/이마트 등 모바일카드 리더기가 갖춰진 가맹점이나 버스, 지하철, 택시 등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기존 모바일카드처럼 리더기에 터치하는 것만으로 결제가 가능하다. - 아이폰4 NFC 연관 게시물 - 갤럭시S2에 내장된 NFC 기능 아이폰4에서도 즐긴다.. 더보기 휴대폰 명가 노키아의 추락 어디까지? 휴대폰 명가 노키아의 추락 어디까지? 글로벌 휴대폰 최장자로 자리매김했던 노키아가 점점 추락하고 있다. 특히 휴대폰과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점 설자리를 잃어감에 따라 노키아가 휴대폰 시장의 지배력이 빠르게 약화되고 있다는 평가가 잇따르고 있다. 이제 휴대폰 시장 1위인 노키아가 추락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보여진다. 노키아의 부진은 2분기 실적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휴대폰 총 출하량이 지난해 동기에 비해 20%가 감소했고, 스마트폰 출하량도 34%나 감소해 노키아의 몰락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 더군다나 노키아의 전세계 시장 점유율이 전년대비 7%가 하락한 25%에 불과해 삼성전자나 애플에 뒤쳐지고 있어 충격을 주고 있다. 특히 보급형 및 저가폰 시장에서도 중국 휴대폰 제조사(ZTE)에 밀려나고 있어 문제는 .. 더보기 윈도폰7 살리기 위해 안드로이드폰 공격? 윈도폰7 살리기 위해 안드로이드폰 공격? 무료 운영체제 아니였어? 무료 스마트폰 운영체제로 각광 받았던 안드로이드가 오히려 제조사들의 발목을 잡는 변수로 떠올랐다. 구글이 개방형 운영체제 안드로이드를 제공하긴 했지만 법적인 책임을 제조사에게 전가한 가운데 MS(마이크로소프트)와 Oracle(오라클)이 안드로이드 OS 단말기 업체에 대당 15달러 이상의 특허료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에 직면한 것. 따라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탑재한 대부분의 제조사들은 이번 사건을 통해 큰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에 처하게 됐다. 그동안 마이크로소프트(MS)는 최초의 안드로이드폰 모토로라의 드로이드(Droid)가 2009년말 출시되었을 때도 아무런 문제제기를 하지 않다가 왜 이제서야 문제를 제기한 것일까. 스마트폰 시장에서 외면.. 더보기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