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킹

디아블로3, 악재의 연속, 디아블로3 해킹 몸살 디아블로3, 악재의 연속, 디아블로3 해킹 몸살 "파국으로 치닫는 디아블로3 해킹 사태" 디아블로3가 출시된 지 얼마되지 않아 계속해서 악재가 터지고 있다. 불법 복제 해커 집단으로 알려진 스키드로우(skidrow)가 해킹예고를 밝힌 지 몇 일 되지 않아 OTP 보안이 적용된 계정까지 해킹된 사건이 드러나 충격을 안겨주고 있는 것. 스키드로우(skidrow)와의 연관성은 알 수 없지만 OTP 보안까지 적용된 계정이 해킹 당함에 따라서 디아블로3를 운영하는 블리자드에게 또 다른 숙제가 던져졌다. 디아블로3 관련글: 디아블로3 서버 폭주 현상(http://dtalker.tistory.com/2950) 온라인 커뮤니티와 블리자드3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계정 해킹 사실이 알려지면서 공론화되기 시작했다. .. 더보기
국가가 매긴 국민의 개인정보의 가치는 단 30원! 국가가 매긴 국민의 개인정보의 가치는 단 30원! 국가는 국민의 안전을 조장할 의무가 있지만 최소한의 책임을 저버렸다. 설마 했는데… 우려하던 일이 결국 결국 터져 버렸다. 공공기관인 행정안전부가 채권추심기관을 비롯한 민간기관에 개인정보인 주민등록 전산자료를 팔아 넘겼다. 그 것도 건당 30원에…. 안 그래도 네이트 및 쿠팡의 해킹 소식으로 불안감을 가지고 있던 가운데, 해킹이 아닌 내부자의 소행으로 개인정보를 팔아넘겼다는 것은 경악을 넘어 분노를 표하게 만든다. 지난 20일 행안부가 ‘2008~2011년 8월 주민등록 전산자료 제공 현황’을 국회 행정안정위원회 장세환(민주당) 의원에게 제공한 내용에 따르면 2008년부터 2011년 8월까지 52개 민간기관에 17억 8천여(1,780,543,230) 만원.. 더보기
알집에 도전장을 내민 무료 압축 프로그램 반디집 보안 문제 등으로 인하여 대체 소프트웨어를 찾고 있는 개인과 기업, 공공기관들에겐 희소식이 들려왔다. 반디소프트가 3년간의 개발기간을 거쳐 개발한 압축파일 처리 엔진을 사용한 반디집(BandiZip) V1.0을 개인, 기업, 공공기관, 교육기관, PC방 등에서도 무료로 사용 가능하도록 정식 버전을 발표한 것. 최근 네이트&싸이월드 해킹사건에 이용된 알툴즈로 인해 이스트소프트에 신뢰에 금이 간 가운데 반사이익을 노린 반디소프트가 알집에 도전장을 던져 눈길을 끈다. 무료로 사용 가능한 새로운 압축 프로그램 반디집(BandiZip) V1.0은 알집의 전용 포맷(ALZ, EGG) 뿐 아니라, ZIP, RAR, 7Z, LZH 등 국내외에서 많이 사용하는 대부분의 압축 포맷을 지원한다. 또한, 64비트 운영체제를 .. 더보기
알툴즈 사용자가 바라 본 네이트 해킹 사건 알툴즈 사용자가 바라 본 네이트 해킹 사건 네이트 해킹 사건을 보면서 뭔가 이상한 기분이 들었다. 해킹 사건으로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과정보다 오직 결과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무엇인가 퍼즐 조각이 잘못 끼워져 있는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현재 언론의 보도를 보면 네이트가 해킹을 당했고, 해킹 당한 원인으로 알툴즈가 지목됐다. 결국, 언론의 초점은 이스트소프트로 옮겨가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네이트는 쏙 빠진채 이스트소프트만 언론에 노출된 상태이다. 이처럼 알툴즈를 향한 불똥은 포털사이트인 네이버 다음으로 확산되는 양상이다. 이 때문에 SNS를 비롯한 커뮤니티에서는 알툴즈 보안 사고로 인해 개인용 PC도 해킹을 당할 수 있다는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저에겐 큰 힘이 된답니다~ .. 더보기
해킹으로 유출된 개인정보 어떻게 활용될까? 2011년 현재. 우린 개인정보가 개인만의 정보가 아닌 세상에 살고 있다. 개인정보가 대량으로 노출된 옥션 해킹(1081만명)을 시작으로 같은 해 하나로텔레콤(현 SK브로드밴드) 600만명 정보유출, GS 칼텍스 정보유출 1107만명, KT 11만여건의 고객정보를 동의 없이 텔레마케팅 업체 제공(시민단체가 고발조치), 다음 53만명 이메일 및 카페 목록 노출, 2010년 국내 유명 백화점 사이트 등 인터넷 회원 650만명의 고객정보 유출, 신세계백화점 및 아이러브 스쿨 등 25개 사이트에서 2000만명의 개인정보 유출, 네이트 3500만명, 싸이월드 2500만 가입자 정보 유출 등 중복된 정보를 제외하더라도 약 4천만명 이상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것이다. 대한민국 전체 인구가 약 5천만명을 조금 넘는 수준.. 더보기
네이트 및 주요 포털 사이트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법률 위반 중 편집자주 - 네이트 해킹 사건에 대해 좀 더 본질적인 문제에 접근하고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공식적인 입장과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을 직접 확인해야 했기 때문에 포스팅이 늦어질 수 밖에 없었음을 미리 밝힌다. 현재 네이트온 해킹에 관련해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문의를 해둔 상태지만 아직 공식적인 답장이 없다. 답변이 오는 데로 공개하도록 하겠다. 스마트폰 메신저 서비스를 야심차게 준비했던 네이트에 먹구름이 짙어지고 있다. 그 이유는 약 네이트(3500만명) 및 싸이월드(2500만)의 가입자 정보가 유출된 것. 또 네이트온톡에 심각한 보안취약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어 보이스 피싱에 악용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등 심각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SK컴즈는 네이트온톡을 공.. 더보기
소셜커머스 쿠팡 해킹 당해도 쉬쉬하는 IT업계 소셜커머스 쿠팡이 해킹 당했습니다. 그러나 피해자들은 자신들이 피해를 당했는지도 모릅니다. 정작 중요한 것은 재발하는 보안 문제 입니다. 옥션 사건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수많은 해킹사건이 발생했지만 정작 문제점은 고쳐지지 않고 오히려 피해를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도대체 무엇이 문제일까요? 아마도 해킹 피해에 대한 경각심이 사라진 것이 가장 큰 이유가 아닐까 싶습니다. 법원의 판결에서도 기업을 보호하기 위해 개인정보 피해보상에 관한 집단 소송도 패소 판결을 받았고, 피해 당한 사용자들도 기껏해야 스팸 메일이나 스팸 문자가 오는 정도 선에서 그칠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서 그런 것이 아닐까 싶네요. 이 글을 더 읽으시기 전에 ViewOn 클릭 부탁드립니다. 마우스로 콕!!!! 그리고 그런 상황을 .. 더보기
해킹된 아이패드 3G에서 전화 사용이 가능한 시디아 앱 PhoneIt-iPad 이 콘텐츠는 컨슈머리포트 사이트를 꿈꾸는 팀블로그 사이트 Dtalker.net에 기고 됩니다. http://www.dtalker.net/www/News/NewsView.php?p_grpcode=A&p_brdcode=07&p_seq=2643 참여하고 싶으신 분들은 press@dtalker.net으로 연락주세요. 위의 동영상을 보셨다면 View On 클릭 부탁드립니다. 해킹된 아이패드 3G에서 폰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애플리케이션 PhoneIt-iPad을 선보였습니다. 유투브를 통해 공개된 이 영상은 아이패드(iPad) 3G를 폰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제일브레이크로 해킹된 아이패드 3G 모델에만 적용되며, 데이터 심(SIM)카드(데이터 쉐어링 유심)가 아닌 일반 휴대폰용 심(SIM)카드를 삽입해.. 더보기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카카오톡 서버 불안정 '해킹탓?' 스마트폰용 메신저 카카오톡의 잦은 접속장애로 해킹 의혹이 불거진 가운데 1시간 50여분만에 정상 복구됐다. 17일 카카오톡의 개발사인 아이위랩은 "서비스 장애 및 재인증 오류에 대한 사과 공지"를 올리며 이에 대해 해명했다. 아이위랩에 따르면, "17일 낮 12시 서버의 하드웨어 장애로 인하여 일부 유저에게 재인증을 받게 하는 현상이 발생했다"며, "이에 따라 급히 서비스를 중단하고 정상화 작업을 진행하여 오후 1시50분부터 서비스가 정상화 됐다"고 밝혔다. 이어 "재인증 오류를 경험한 유저분들의 채팅내역이 초기화된 점에 대해서 진심으로 머리숙여 사과드린다"며, "앞으로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서비스 안정화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일부 사용자들은 "단기간 가입자가 증가.. 더보기
안드로이드 뱅킹 앱 사용시 주의해라! 안드로이드 뱅킹 앱 사용시 주의해라!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문제점이 꾸준히 지적되고 있는 상황에서 안드로이드 기반의 뱅킹 앱의 경우 쉽게 해킹 당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숭실대학교 이정현 교수는 안드로이드 마켓에 등록된 은행 앱을 해커가 다운받아 정상 코드를 변조한 앱을 재등록하고 이 앱을 일반 사용자가 다운받아 사용할 경우 개인정보는 물론 계좌이체 시 해커의 계좌로 송금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이 교수는 안드로이드 마켓에 대한 위험성을 입증하고자 국내 27개 금융기관 앱을 변조한 후 해커의 계좌로 송금하는 과정을 시연했다. 안드로이드 마켓의 경우 애플과는 달리 앱에 대한 검증 절차가 없어 확인되지 않은 앱이 올라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이 앱으로 인한 피해사례도 접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