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드웨어

갤럭시 노트3의 진정한 킬러 콘텐츠는 보안 솔루션 KNOX(녹스) 갤럭시 노트3의 진정한 킬러 콘텐츠는 보안 솔루션 KNOX(녹스)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갤럭시 노트3와 그 평가가 엇갈리고 있는 갤럭시 기어가 지난 9월 25일 삼성전자 서초사옥 다목적홀 5층에서 공개되었습니다. 59개국 동시 출시를 시작으로 10월까지 40여 개국에 출시할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이 날 행사에 참석한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전략마케팅실장 이돈주 사장은 "스마트 기기 카테고리로 자리매김 한 갤럭시 노트의 명성을 갤럭시 노트 3가 이어 갈 것"이며 "갤럭시 노트 3가 전작의 성공을 뛰어넘어 삼성 휴대폰 역사를 새롭게 쓰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갤럭시 노트3 미디어데이를 통해 KNOX(녹스)를 기본 제공한다고 밝힌 순간 충격을 받았습니다. KNOX가 최초로 공개될 당시 B2B용.. 더보기
갤럭시S4 속도와 성능, 그리고 화질을 사로잡다 갤럭시S4 속도와 성능, 그리고 화질을 사로잡다 스마트폰 계급도 애플리케이션의 등장과 함께 사람들의 관심을 크게 모았고, 이 상황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면서 많은 사용자들이 하드웨어 스펙을 중시한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증명해줬는데요. 그 만큼 국내 사용자들에게 최신 하드웨어 스펙은 차별화된 개성을 표현하는 또 하나의 트렌드로 보여집니다. 마치 나는 유행에 뒤쳐지지 않고 있다는 것처럼 말이죠. 재미로 보는 것이지만 스마트폰 계급도 애플리케이션에서 보여주고 있는 것처럼 다른 스마트폰을 제치고 최고의 자리를 굳게 지키고 있는 상황은 갤럭시S4의 하드웨어 사양만으로도 가장 핫(Hot)한 스마트폰으로 꼽을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그래서 오늘의 이야기 주제로 가장 핫(Hot) 아이템인 갤럭시S4를 선정했습니다. 그 .. 더보기
[갤럭시S4 Unpacked 2013 총정리] 하드웨어 스펙이 아닌 소프트웨어 사용자 경험을 외친 삼성전자 [갤럭시S4 Unpacked 2013 총정리] 하드웨어 스펙이 아닌 소프트웨어 사용자 경험을 외친 삼성전자 삼성전자 갤럭시S4 Unpacked 2013 총정리 및 현장 이모저모 "삼성전자는 하드웨어 스펙이 아닌 소프트웨어 사용자 경험을 외쳤다" 지난 14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에 위치한 라디오시티(Radio City)에서 삼성전자 갤럭시S4 Unpacked 2013 행사가 진행됐는데요. 삼성전자 언팩(Unpacked) 행사가 궁금해 직접 갤럭시S4 발표 현장을 찾아갔습니다. 이번 행사는 애플의 안방이라고 불리는 뉴욕에서 진행된 만큼 역대 최대 규모로 치뤄졌는데요. 삼성전자가 신제품 출시 초대장을 배포하면서, 국내외 취재진과 파트너 관계자들까지 포함해 약 2500여 명 이상이 라디오 시티(Radio Cit.. 더보기
2013년형 삼성 스마트TV가 내세운 3대 핵심 요소 2013년형 삼성 스마트TV가 내세운 3대 핵심 요소 빠르게 진화하는 IT가전기기의 특성상 고사양 하드웨어 스펙은 필수다. 더욱이 글로벌 제조사들이 제품 차별화 요소로 하드웨어 스펙을 꼽고 있는데, 삼성전자도 하드웨어 스펙을 바탕으로 뛰어난 성능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 19일 프리미엄 TV전략을 펼치고 있는 삼성전자가 서울 서초사옥 다목적홀에서 2013년형 스마트TV 신제품을 발표했다. 이날 삼성전자가 내세운 2013년형 스마트TV는 TV 시장이 가지고 있는 고민과 대응전략들이 담겨 있었다. 삼성전자가 내세운 핵심적 요소는 성능, 기능, 실속 등 3가지다. 첫번째, 성능. 새롭게 출시한 2013년형 삼성 스마트TV는 TV업계 최초로 쿼드코어 프로세서를 장착해 빠른 실행 속도와 TV 시청과 인터넷 검색을 .. 더보기
뉴'시리즈9'의 성공 가능성은? 뉴'시리즈9'의 성공 가능성은? 애플 아이폰의 출시는 성능을 중시하던 하드웨어 제조시장에 경종을 울리는 계기가 되었는데요. 아이폰의 출시 이후 디자인이 강조된 IT제품들이 속속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노트북 시장에서도 이러한 변화에 대응해 깔끔한 디자인과 고급스러운 소재를 채택하기 시작했습니다. 가장 빠르게 대응한 곳은 울트라씬 노트북을 출시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아닐까 싶네요. 삼성전자는 듀랄루민 재질을 사용한 시리즈9을 LG전자는 화이트 맥북과 유사한 화이트 색상의 울트라씬 노트북 P210을 선보이며, 애플에게 도전장을 내밀었죠. 애플 맥북에어에 준하는 가벼운 두께와 슬림한 디자인은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이끌어 냈습니다. 그리고 최근 삼성전자는 전작에 비해 새로워진 시리즈9.. 더보기
세가지 아쉬움과 새로운 기대감을 선보인 갤럭시S3 세가지 아쉬움과 새로운 기대감을 선보인 갤럭시S3 삼성전자가 지난 3일(현지시각) 영국 런던에서 모바일 언팩 2012 행사를 개최한지 4일이 지났다. 갤럭시S3에 대한 높은 기대치를 반영한 듯 온라인에서도 Cortex-A9기반의 쿼드코어 1.4GHz 프로세서, 4.8인치 슈퍼아몰레드(1280x720), 800만화소 카메라, Wi-Fi 802.11 a/b/g/n, DLNA, Wi-Fi Direct, 블루투스 4.0 +EDR, GPS, 가속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기압계 센서, 2100mAh 배터리 등을 탑재한 삼성전자 스마트폰인 갤럭시S3에 대한 이야기가 뜨거웠다. 하지만 사용자의 입장에서 바라본 갤럭시S3는 세가지 아쉬움을 남겼다. 기대치에 비해 임팩트가 없었던 갤럭시S3 먼저 첫번째 아쉬움은 소비자가.. 더보기
실시간 디지털 TV방송을 아이패드로 볼 수 있는 TVPLUG 리뷰 실시간 디지털 TV방송을 아이패드로 볼 수 있는 TVPLUG 리뷰 콘텐츠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다양한 콘텐츠를 모바일기기와 스마트TV에서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플랫폼 서비스를 출시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그 중에도 스마트폰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이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는데요. 크게 서비스 제공자와 콘텐츠 제공자가 제휴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형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과 홈 클라우드를 손쉽게 구축할 수 있는 하드웨어형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으로 구분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편의상 아래와 같이 나누어 봤습니다. 이 글을 읽기 전에 추천을 눌러주시면 더욱 많은 분들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dtalker.tistory.com http://www.dtalker.net http://b.. 더보기
액티브X(ActiveX)가 들어간 Web OS 추진하려구? 액티브X(ActiveX)가 들어간 Web OS 추진하려구? 최근 정부(지식경제부)가 스마트폰 운영체제 글로벌화를 주도하겠다고 밝히면서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글로벌 시대의 흐름이 스마트 기기의 웹 접근성을 높여 웹 표준화를 앞당기게 되었고, 스마트폰 플랫폼의 표준화가 이슈로 떠오르게 되면서다. 특히, 구글이 모토로라를 인수한 뒤 나온 발언이라 즉흥적인 결단이 아니냐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하지만 지식경제부는 유사한 플랫폼으로 후발주자로 출발하는 것이 아닌 진보한 플랫폼으로 새로 다가올 스마트폼 플랫폼 표준화를 앞당겨 시장을 주도하는 것이 가장 큰 목표라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지식경제부가 개발하려는 플랫폼은 안드로이드와 같은 운영체제가 아니라 클라우드 기반의 웹 플랫폼에 가깝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른바.. 더보기
크롬북(Chrome book)의 성공을 방해하는 64만원대 출고가 크롬북(Chrome book)의 성공을 방해하는 64만원대 출고가 크롬북(Chrome book)에 관심이 많은 사용자로써 크롬북(Chrome book)의 출시소리를 듣고 이해가가지 않아 쓴소리를 하고자 한다. 크롬북(Chrome book)이 19일이면 삼성 모바일 샵에서 온라인 예약판매를 실시하고 29일부터 온라인 판매를 실시한다. 그런데 좀 문제가 있다. 하드웨어 스펙은 아톰 프로세서를 채택한 넷북과 비슷한데 출고가가 듀얼코어를 탑재한 울트라씬 노트북과 비슷하다는 것. 또한 크롬OS가 오픈소스 기반이기 때문에 별도의 운영체제 탑재비용이 제외됐음에도 불구하고 윈도우를 탑재한 넷북보다 비싸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크롬북(Chrome book)은 쉽게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 접근성이 뛰어난 써.. 더보기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수로 4가지 이득을 챙기다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수로 4가지 이득을 챙기다 구글이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수에 대해서 논란이 뜨겁다. 지난 15일 구글이 모토로라 모빌리티를 125억 달러(한화 약 13조 5천억원)에 인수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각종 추측과 전망이 난무하고 있다. 특히 안드로이드 제조사들은 향후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부분을 파악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구글은 소프트웨어 회사다. 구글은 유투브(Youtube) 인수시 이와 같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결국 큰 성공을 거두고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 있다. 또한 구글 크롬(브라우저), 구글맵(지도), 구글 플러스(SNS), 구글 뮤직(음악) 등 온라인 서비스에 역량을 집중하며, 소프트웨어 플랫폼 투자를 과감하게 실행하고 있다. 여러분의 추천 한방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