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패널

디지털 TV 시장의 성장 어디까지 갈까? 최근 세계 TV 시장은 뒤를 돌아보지 않고 앞만 바라보며 숨가쁘게 달려왔다. 1980년대 컬러TV 방송을 시작한 이후 아날로그 브라운관 TV 시장의 강자는 소니였다. 후발주자로 TV 시장을 따라잡기 위해 디지털 TV에 집중적인 투자를 했던 국내 기업들이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내면서 TV 시장은 급변하기 시작한다. (1998년 세계 최초 디지털 TV 개발 성공) 디지털 TV 시장으로 변화하는 2000년대로 들어오면서 TV 시장은 점차 기술력 경쟁으로 치닫게 된 것. 기술력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기업들은 제품 차별화를 두기 위해 화면의 크기와 화질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이후 TV 패널의 중요성과 헤르츠(Hz)로 옮겨가게 된다. 2004년부터 브라운관(아날로그) TV 대 디지털(LCD) TV의 보급 비율은 5:.. 더보기
PAVV Full HD 3D LED TV를 구성하는 3대 핵심 기술 3D TV로 영화를 감상하다. PAVV Full HD 3D LED TV를 구성하는 3대 핵심 기술 PAL 방식과 NTSC방식은 세계 3대 방송 규격으로 손꼽히고 있다. 우리나라의 TV 주사방식은 PAL(Phase Alternation Line)이 아닌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로 채택했다. NTSC 방식은 한국, 미국, 일본, 캐나다 등 44여개국이 사용하고 있는 비디오 출력방식이며, PAL은 독일을 중심으로 한 유럽국가와 중국, 북한 등 100여개국이 사용하는 비디오 출력 방식이다. 인터레이싱(interlacing)이라는 주사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NTSC 방식은 TV 영상 프레임당 525개(유효주사선은 480개)의 수평 주사선을 가지고 있다. 연속된.. 더보기
모바일 산업의 성장으로 디스플레이 산업까지 동반성장 [IT News BlogTimes] 모바일 산업의 성장으로 디스플레이 산업까지 동반성장 미국에서 시작한 경제 불황이 IT산업이 포함된 2차 산업까지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하지만 넷북(Netbook)은 경제적인 노트북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며, 불황이라는 키워드와 코드가 잘 부합되어 인기가 식을 줄 모르고 있다. 더군다나 넷북이 인기를 끌면서 주변기기 시장까지 그 영향을 미치고 있어 가전제품과 같은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제품의 수요가 위축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역으로 터치스크린 패널을 장착한 넷북과 같은 모바일 기기는 점진적인 성장세를 그리고 있다. 이처럼 전세계적인 경기침체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가전 제품의 수요가 위축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터치스크린 패널 시장전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2008년 .. 더보기
삼성전자, "LED TV용 초슬림 LCD패널로 업계를 주도" [IT News BlogTimes] 삼성전자, "LED TV용 초슬림 LCD패널로 업계를 주도" 지난 5일 삼성전자는 업계 최초로 LED TV용 두께 10.8mm의 초슬림 LCD 패널 양산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번에 양산하는 제품은 화면크기 40~55인치의 LED TV용 패널로 일반 LCD TV용 패널 광원으로 사용되는 CCFL(냉음극형광램프) 대신 최근 각광받고 있는 LED(발광다이오드)를 적용하여 두께를 기존 제품에 비해 최대 1/4 정도로 획기적으로 줄인 것이 특징이다. 무게도 10~15kg 정도로 가벼워 자유로운 공간 활용이 가능하여 최근 디지털TV의 핵심 키워드인 초슬림 TV 및 액자형 벽걸이 TV를 구현하는데 최상의 솔루션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LED TV용 초슬림 패널은 최고급 LE.. 더보기
LCD패널도 16:9 비율로 표준화될 전망 [디지털 News 디지로그 블로거 붸가짱] LCD패널도 16:9 비율로 표준화될 전망 기존 LCD TV에 채용되었던 16:9 비율의 LCD 화면이 최근 사용자의 와이드 모니터의 선호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IT제품을 사용하는 LCD의 패널 제조사간의 와이드 제품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외 제조사의 14:9, 16:10 등 다양한 와이드 비율이 제공되었지만, 지난 14일 시장조사기관인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16:10의 화면보다 16:9의 비율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제조사들도 16:9 비율을 유지하여 출시하게 될 전망이다. 최근 노트북, 모니터의 와이드 비율을 많이 채용하고 있는데, 삼성전자는 이에 발 맞추어 16:9의 비율을 유지한 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메이져 제조사들도 16:9 비율의.. 더보기
[리뷰] 올인원으로 태어난 아이맥(iMac) [디지털 News 디지로그 블로거 붸가짱] [리뷰] 올인원으로 태어난 아이맥(iMac) [리뷰] 올인원으로 태어난 아이맥(iMac) [ 오세경 2007-12-08 ] SEOUL, Korea (AVING) -- 디지털 컨버젼스의 영향으로 서로의 강점만을 결합한 새로운 개념의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LCD와 데스크탑의 본체가 결합된다면 어떤 제품이 태어날까? 지난 9월 4일 애플(대표 피터 오펜 하이머)은 자사의 PC 브랜드 아이맥(iMac)의 성능을 새롭게 변모시킨 4가지 모델을 발표했다. 그 중 아이맥(iMac)은 심플한 디자인과 강력한 성능으로 사용자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즐거움을 제공하는 디자인의 아이맥을 선보인 애플은, 재활용 소재인 알루미늄과 유리소재를 사용해 만들어 친환경적.. 더보기
Zeus 7000 240MA-8FD 잔상확인과 동영상리뷰 [주변기기 리뷰 디지로그 블로거 붸가짱] 지난 번 리뷰에서 Zeus 7000 240MA-8FD와 240MA-8FM의 차이점과 패널 소개를 하였다. 이때 소개를 하였을때 TN 패널과 S-IPS 패널을 비교하였는데, 추가사진을 첨부하고, 보충 설명을 하도록 하고, 동영상 리뷰와 함께 잔상효과가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해보도록 하겠다. 우선 필자가 가지고 있는 TN패널을 사용한 Zeus 5000 220MV 모델의 시야각 사진을 먼저 보도록 하겠다. 사진을 잘 보게 되면 TN패널에서 많이 개선된 성능을 보여준다. 이전 리뷰에서는 TN패널을 시야각에서 언급을 하였는데, 최근에 출시가 되고 있는 TN패널의 경우 많이 개선된 제품들이다. 하지만 단점은 존재한다. 두 제품을 동시에 보게 되면 S-IPS 패널과 비교하면 선.. 더보기
Zeus 7000 240MA-8FD와 240MA-8FM의 차이점과 패널 소개 Language Link [주변기기 리뷰 디지로그 블로거 붸가짱] 지난 10월 24일 BTC 정보통신의 Zeus 5000과 7000모델을 소개하였지만 7000모델의 240MA-8FM의 모델에서 240MA-8FD 제품으로 바뀌게 되어 두 제품의 차이점을 소개하면서 제품리뷰를 계속 진행하려고 한다. 두 제품의 차이점을 검색 해보기 위해서 네이버 쇼핑검색 해보았으나 잘못된 정보가 올라와 있어 올리고자 한다. 240MA-8FM의 잘못된 기재된 정보는 240MA-8FD의 정보를 담고 있는 이 리뷰와 240MA-8FD의 1920X1200 WSXGA+ 라는 잘못된 정보를 담고 있는 이 리뷰가 검색이 되었다. 가장 중요한 제품의 잘못된 정보를 BTC 정보통신에서 찾지 못한 부분은 마케팅 부분에서는 큰 실수를 했다고 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