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픽 썸네일형 리스트형 언론사와 네이버에 악영향을 끼친 네이버 뉴스스탠드 언론사와 네이버에 악영향을 끼친 네이버 뉴스스탠드 선정적인 제목을 내걸고 치열한 트래픽 경쟁을 펼친 언론사들은 새롭게 시행된 뉴스스탠드 서비스를 맞았다. 포털사이트 네이버는 이미 예고한 대로 시범 서비스로 선보인 바 있는 새로운 뉴스 구독서비스인 뉴스스탠드를 지난 1일 정식 오픈 했다. 그런데 뚜껑을 열고 보니 독자들은 뉴스 콘텐츠를 보기 더욱 불편해졌으며, 언론사들은 트래픽이 크게 감소했다. 과연 어찌된 일일까. 선정성을 배제하기 위한 네이버 뉴스스탠드 네이버는 다양한 온라인 매체들이 트래픽을 확보하고자 연예 및 가십성 기사 중심으로 뉴스캐스트 메인을 도배하기 시작하자 오랜 고뇌 끝에 네이버 뉴스스탠드를 내세웠다. 여기서 서비스의 핵심은 독자에게 현명한 콘텐츠 소비가 가능하도록 신뢰도가 높은 언론사 페.. 더보기 4G LTE 스마트폰 요금제의 꼼수 여기 있었네 4G LTE 스마트폰 요금제의 꼼수 여기 있었네 “결국, 꼼수만 있었을 뿐 진정한 4G LTE 무제한 요금제는 없었다.” SK텔레콤은 28일 4G 대중화 시대를 선언하며, 국내 최초로 4G LTE 요금제를 출시했다. 새로운 4G LTE 요금제는 삼성전자 LTE 스마트폰 갤럭시S2 LTE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기본적으로 LTE 요금제를 3G 요금제와 동일한 종량 요율을 기준으로 설계 했다고 밝혔다. 또한 프리미엄 LTE 서비스를 다수의 고객들이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도형으로 데이터 용량을 제공하지만 고객들의 이용 패턴을 고려해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충분한 용량을 제공하며, 고객이 LTE 서비스 이용부담을 덜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과연 그럴까? 외형적으로는 SK.. 더보기 [4G LTE 성공 키워드] 안정적인 4G LTE 서비스와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4G LTE 성공 키워드] 안정적인 4G LTE 서비스와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4G LTE에 맞춰 HD급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살릴 수 있는 스마트폰은 HD급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단말기다!" LTE 스마트폰을 기다리는 사용자들이 상당수인 가운데, HTC의 LTE 스마트폰 HTC 레이더 4G와 삼성전자 갤럭시S2 LTE, 갤럭시S2 HD가 공개됐다. 지금까지 공개된 4G LTE 스마트폰의 스펙을 살펴보면 4G LTE 스마트폰이 지향하고 있는 바가 명확해진다. 공개된 4G LTE 스마트폰의 스펙을 살펴보자. 이 글을 읽기 전에 추천을 눌러주시면 더욱 많은 분들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dtalker.tistory.com http://www.dtalker.net 명칭 레이더 4G 갤럭시S2 LTE .. 더보기 SK-KT-LGU+ 4G LTE 경쟁력 어느 통신사가 빠를까? SK-KT-LGU+ 4G LTE 경쟁력 어느 통신사가 빠를까? 이동통신 3사(SK, KT, LGU+)가 4G LTE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4G LTE 상용화를 공식 선언했습니다. SK텔레콤, KT, LGU+ 이동통신 3사 중에서 제일 적극적으로 움직이는 곳은 LGU+(LG유플러스) > SK텔레콤 > KT 순입니다. 하지만 와이브로 기반의 4G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KT의 행보는 4G LTE 서비스 중심의 LG유플러스와 SK텔레콤과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같은 4G 서비스지만 지향하는 바가 각각 다른 만큼 차이점은 무엇인지 하니씩 짚어보고자 합니다. 데이터 트래픽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4G LTE가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에 이동통신 3사는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 더보기 와이파이 얼라이언스, Wi-Fi Hotspot Program을 통해 미래를 꿈꾸다. 지난 5월 12일 프레스 센터에서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i-Fi Alliance)가 블로거들을 초대해 ‘블로거와 함께하는 Wi-Fi Hotspot Program’을 개최했습니다. 예전에 운영하던 블로그를 통해서 연락이 왔는데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i-Fi Alliance)에 대해서 잠시 소개하면, 400여 회원사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국제 산업협회로 테스트, 시장 구축, 규제 프로그램을 통해 Wi-Fi가 전세계에서 다양한 기기에 광범위하게 채택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 중 Wi-Fi CERTIFIED 제품은 향상된 기술과 높은 사용자 경험, 최신 보안 솔루션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에는 삼성전자, LG전자 등 와이파이 얼라이언스 25개 회원사와 1개의 공인 시험인증기관(한국산업기술시.. 더보기 LG유플러스 갤럭시S2용 리비전B 망구축 완료.. SK텔레콤 갤럭시S2 예판실시 LG유플러스가 야심차게 내놓은 갤럭시S2의 조기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시동을 걸었다. 초고속 4세대 LTE 시험망을 구축과 함께 기존 망 안정화를 위해 데이터 전송속도를 대폭 늘릴 수 있는 CDMA2000 1x EV-DO 리비전B(이하 리비전B) 기술방식 업그레이드를 완료한 것. 그동안 LG유플러스는 1.8GHz 대역의 리비전A망을 사용해 왔지만 스마트폰 데이터 사용량이 폭주하면서 망 안정화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기존 리비전A는 다운로드 속도 3.1Mbps(업로드 1.8Mbps)를 지원하지만, 리비전B는 주파수 채널을 3개 사용할 경우 9.3Mbps(업로드 5.4Mbps)까지 전송속도가 가능해져 리비전B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고객은 한차원 높은 서비스 품질을 제공받게 된다. 갤럭시S2부터 .. 더보기 2011년은 통신 대란의 해? 스마트폰과 스마트 태블릿 보급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우려하던 사태가 촉발됐다. 바로 KT의 통화 및 데이터 통신량이 폭주해 통화 품질저하 및 통화 불통 사태가 22일과 27일에 벌어진 것. 스마트 태블릿이 본격적으로 보급되는 2011년부터 점차 심화 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 문제는 KT만의 문제만이 아니다. SK 텔레콤과 LG 유플러스도 이와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어 KT와 같은 사태가 언제라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할 수 있는 통신사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국내 주요 매체도 업계의 소식을 전하며, "데이터 트래픽 용량이 폭주해 한계치까지 다다랐다"고 보도했다. 또한 현실로 다가온 통신 대란을 막기 위해서는 트래픽 분산 대책이 시급하지만 현재로썬 특별한 대책마련이 어렵다는 전망을 내놨다. 이는..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