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콘텐츠

갤럭시S4에 담긴 삼성허브, WatchON, S헬스, Adapt Display 살펴보기 갤럭시S4에 담긴 삼성허브, WatchON, S헬스, Adapt Display 살펴보기 갤럭시S4에는 새로운 기능들이 담겨있는데요. 오늘은 삼성 허브(Samsung Hub), 왓치온(WatchON), S헬스(S-Health), Adapt Display 등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삼성전자 스마트 기기에 내장된 콘텐츠 스토어 삼성 허브(Samsung Hub)는 삼성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디지털 콘텐츠 스토어(일명 : 앱스토어)로 갤럭시S4 출시에 맞춰 새롭게 선보였습니다. 비디오 허브(Video Hub), 리더스 허브(Leaders Hub), 게임 허브(Game Hub), 러닝 허브(Learning Hub) 등 4개의 허브(Hub)를 하나의 삼성 허브(Samsung Hub)로 묶어 비디오, 게임, 책,.. 더보기
언론사와 네이버에 악영향을 끼친 네이버 뉴스스탠드 언론사와 네이버에 악영향을 끼친 네이버 뉴스스탠드 선정적인 제목을 내걸고 치열한 트래픽 경쟁을 펼친 언론사들은 새롭게 시행된 뉴스스탠드 서비스를 맞았다. 포털사이트 네이버는 이미 예고한 대로 시범 서비스로 선보인 바 있는 새로운 뉴스 구독서비스인 뉴스스탠드를 지난 1일 정식 오픈 했다. 그런데 뚜껑을 열고 보니 독자들은 뉴스 콘텐츠를 보기 더욱 불편해졌으며, 언론사들은 트래픽이 크게 감소했다. 과연 어찌된 일일까. 선정성을 배제하기 위한 네이버 뉴스스탠드 네이버는 다양한 온라인 매체들이 트래픽을 확보하고자 연예 및 가십성 기사 중심으로 뉴스캐스트 메인을 도배하기 시작하자 오랜 고뇌 끝에 네이버 뉴스스탠드를 내세웠다. 여기서 서비스의 핵심은 독자에게 현명한 콘텐츠 소비가 가능하도록 신뢰도가 높은 언론사 페.. 더보기
2013년형 삼성 스마트TV가 내세운 3대 핵심 요소 2013년형 삼성 스마트TV가 내세운 3대 핵심 요소 빠르게 진화하는 IT가전기기의 특성상 고사양 하드웨어 스펙은 필수다. 더욱이 글로벌 제조사들이 제품 차별화 요소로 하드웨어 스펙을 꼽고 있는데, 삼성전자도 하드웨어 스펙을 바탕으로 뛰어난 성능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 19일 프리미엄 TV전략을 펼치고 있는 삼성전자가 서울 서초사옥 다목적홀에서 2013년형 스마트TV 신제품을 발표했다. 이날 삼성전자가 내세운 2013년형 스마트TV는 TV 시장이 가지고 있는 고민과 대응전략들이 담겨 있었다. 삼성전자가 내세운 핵심적 요소는 성능, 기능, 실속 등 3가지다. 첫번째, 성능. 새롭게 출시한 2013년형 삼성 스마트TV는 TV업계 최초로 쿼드코어 프로세서를 장착해 빠른 실행 속도와 TV 시청과 인터넷 검색을 .. 더보기
소셜 네트워크 계정에 등록한 콘텐츠 백업, 씨게이트 백업 플러스로 손쉽게 소셜 네트워크 계정에 등록한 콘텐츠 백업, 씨게이트 백업 플러스로 손쉽게 "SNS 디지털 콘텐츠를 손쉽게 백업하세요!" 스마트폰과 태블릿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까지 이미지와 동영상을 손쉽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로 올릴 수 있게 되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이 매일매일 등록되고 있습니다. 플리커의 경우 지난해 8월 60억개 사진 업로드 달성을 알렸으며,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서는 하루 150억개 이상의 사진이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특히 사진 트래픽이 최고조에 달할 대는 초당 30만 이미지 이상이 등록되고 있을 만큼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의 중요성은 점차 부각되고 있는데요. 만일 이러한 상황에서 클라우드에 저장한 컨텐츠가 삭제된다면 정말 큰일이 아닐 수 없겠죠? 씨게이트는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소.. 더보기
개인화 콘텐츠의 시작점, 올레펍 에디터가 포문을 열 수 있을까? 개인화 콘텐츠의 시작점, 올레펍 에디터가 포문을 열 수 있을까? 온라인 서비스의 발달과 스마트폰의 대중화는 콘텐츠 시장에 잔잔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그 동안 콘텐츠 시장은 기업이 주도해 콘텐츠 생산과 유통구조를 장악해 개인이 만든 콘텐츠를 외부에 공급하고 노출시키기가 쉽지 않았다. TNM과 같은 소셜창작자 그룹이 개인화된 콘텐츠를 발굴하고 유통하고 있지만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온라인 콘텐츠 시장에서 중요한 것은 소비와 생산이다. 그런데 잘못된 소비패턴(불법 콘텐츠 다운로드)으로 인해 콘텐츠 순환구조가 왜곡돼 버린 것이다. 이로 인해 꽤 많은 소프트웨어 기업들이 무너졌다. 이를 위해 해결해야 할 부분은 정당한 대가를 주고 콘텐츠를 소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보기
애매한 포지셔닝을 가진 옵티머스 뷰(Vu:), 장단점 살펴보기 애매한 포지셔닝을 가진 옵티머스 뷰(Vu:), 장단점 살펴보기 최근 LG전자가 선보인 옵티머스 뷰(Vu:)에 관련된 리뷰가 속속 올라오고 있습니다. 옵티머스 뷰(Vu:)는 삼성전자가 내놓은 갤럭시노트의 경쟁제품으로 차별화를 두기 위해 4:3비율의 디스플레이를 채택한 스마트폰(태블릿?)입니다. 왜 굳이 4:3 비율을 채택한 것일까요? 옵티머스 뷰(Vu:)를 MWC2012 직접 보고 만져본 입장에서 옵티머스 뷰(Vu:)에 관한 이야기를 풀어내 보려고 합니다. 아직 옵티머스 뷰(Vu:)를 블로그에 다루지 않았기 때문에 옵티머스 뷰(Vu:) 스펙에 대해서 잠시 언급해보려고 합니다. 아래의 옵티머스 뷰(Vu:) 스펙을 참고해주세요. 프로세서 1.5GHz 듀얼코어(MDM9200 + APQ8060, SKT용), (M.. 더보기
실시간 디지털 TV방송을 아이패드로 볼 수 있는 TVPLUG 리뷰 실시간 디지털 TV방송을 아이패드로 볼 수 있는 TVPLUG 리뷰 콘텐츠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다양한 콘텐츠를 모바일기기와 스마트TV에서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플랫폼 서비스를 출시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그 중에도 스마트폰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이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는데요. 크게 서비스 제공자와 콘텐츠 제공자가 제휴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형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과 홈 클라우드를 손쉽게 구축할 수 있는 하드웨어형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으로 구분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편의상 아래와 같이 나누어 봤습니다. 이 글을 읽기 전에 추천을 눌러주시면 더욱 많은 분들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dtalker.tistory.com http://www.dtalker.net http://b.. 더보기
NAS 서비스를 대체 할 수 있는 포고플러그 모바일 NAS 서비스를 대체 할 수 있는 포고플러그(Pogoplug) 모바일 비싼 NAS 서버는 가라 손쉽게 홈클라우드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포고플러그(Pogoplug) 모바일이 등장했다. 지난 12월 8일 클라우드 엔진은 기자간담회와 블로거간담회를 갖고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인 포고플러그(Pogoplug) 클라우드와 모바일 제품을 국내 첫 출시했다. 2007년 설립된 클라우드 엔진은 인터넷을 통한 개인용 컨텐츠의 사용성을 개선하기 위해 창립된 기업이다. CES 2009에서 개인용 클라우드 개념을 선보인 포고플러그(Pogoplug)를 통해 디자인 혁신상을 수상하며, 해외 IT매체들을 통해 알려지게 되었다. 최근 포고플러그 클라우드 서비스도 선보였는데, 웹 기반의 클라우드 저장공간(5GB)을 무료로 제공해 사용.. 더보기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할 때 돋보이는 갤럭시S2 LTE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할 때 돋보이는 갤럭시S2 LTE 사실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가 2000만명을 돌파하며,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지만 스마트폰의 기능을 100% 활용하는 이는 그리 많지 않다. 소비자 조사 결과를 살펴봐도 스마트폰의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은 동영상, 인터넷, SNS, e-book, 음악, 게임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편중되어 있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더군다나 스마트폰으로 무료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빈도가 더욱 늘어나면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과 활용도가 점차 제한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하드웨어가 좋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폭넓게 사용하려는 의지가 없으면, 빛 좋은 개살구에 가깝다는 것. 이 글을 추천해주시면 좀 더 많은 .. 더보기
광고와 정보의 경계에선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와 카카오 링크 2.0 광고와 정보의 경계에선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와 카카오 링크 2.0 무료 메세지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는 가운데 모바일 메신저 업계 1위인 카카오톡이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였다. 바로 지난 12일 공개한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와 카카오 링크 2.0이다. 그동안 다음 마이피플, KT 올레톡, 네이버 네이버톡, 네이트 네이트온톡, 삼성전자 쳇온까지 업계의 굴직한 기업들이 모두 무료 SMS 서비스 시장에 뛰어들었지만 수익모델의 부재가 약점으로 지적돼 왔다. 이 글을 읽기 전에 추천을 눌러주시면 더욱 많은 분들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dtalker.tistory.com http://www.dtalker.net 따라서 2600만 회원을 보유한 카카오톡의 새로운 서비스는 모바일 플랫폼의 수익모델로 연결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