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썸네일형 리스트형 [갤럭시 노트3 리뷰] 사용할수록 더욱 이용하게 되는 갤럭시 기어 [갤럭시 노트3 리뷰] 사용할수록 더욱 이용하게 되는 갤럭시 기어 이전 글에서는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하는 갤럭시 기어로 스마트 라이프를 꿈꾸며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했었는데요. 오늘은 갤럭시 기어를 좀 더 활용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 해보려고 합니다. [갤럭시 노트3 리뷰] 향상된 디자인과 성능으로 돌아온 갤럭시 노트3 http://dtalker.tistory.com/3054 [갤럭시 노트3 리뷰]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S펜으로 갤럭시 노트3를 더욱 편리하게 http://dtalker.tistory.com/3056 [갤럭시 노트3 리뷰]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하는 갤럭시 기어로 스마트 라이프를 꿈꾸며 http://dtalker.tistory.com/3059 저는 갤럭시 노트3를 빠른 업무 대응을 위.. 더보기 [리뷰] APT-X를 지원하는 크립스 넥밴드 NB-S2 블루투스 헤드셋 살펴보기 [리뷰] APT-X를 지원하는 크립스 넥밴드 NB-S2 블루투스 헤드셋 살펴보기 크립스 기술이 지난 10월 15일 선보인 크립스 넥밴드 NB-S2 블루투스 헤드셋을 사용할 기회가 주어졌습니다. 아는 지인으로부터 선물을 받은 것이죠. 어떤 제품일까 궁금해 제품에 대한 정보를 찾아봤습니다. 크립스 넥밴드 NB-S2 블루투스 헤드셋의 제조사는 크립스 기술이라는 중소기업인데요. 목에 두르는 넥밴드(NecBand) 타입으로 이어폰뿐만 아니라 스피커 기능을 이용해 통화를 하거나 음악을 들을 수 있다고 하네요. 특히 무선 음질을 개선하기 위해 APT-X 코텍을 지원해 가청 주파수인 20Hz ~ 22KHz를 송신할 수 있게 도와줘 음질의 저하 없이 음악을 들을 수 있다고 합니다. 정말 사실일까요? 한 번 살펴보도록 하.. 더보기 젤리빈 탑재한 갤럭시 노트2, 멀티 윈도우, 상황 인식 기능으로 사용성 향상되다 젤리빈 탑재한 갤럭시 노트2, 멀티 윈도우, 상황 인식 기능으로 사용성 향상되다 최근까지 출시된 스마트폰들은 하드웨어 스펙을 강점으로 내세우며, 차별화를 꾀했는데요. 최근에는 좀 더 앞선 운영체제를 적용해 차별화를 꾀하는 분위기라서 그런지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발빠르게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젤리빈(Jellybean)으로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갤럭시 노트2에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젤리빈(Jellybean)이 담겨있는데요. 젤리빈(Jellybean)에는 어떤 기능들이 담겨져 있는지 살펴보고 갤럭시 노트2에 새롭게 추가된 기능들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저는 갤럭시 노트2 뿐만 아니라 최근 젤리빈으로 업데이트한 갤럭시S3도 함께 사용하고 있는데요. 아이스크림 샌드위치에서 젤리빈(Jelly.. 더보기 카카오 보이스톡 서비스 논란은 이동통신사의 꼼수 카카오 보이스톡 서비스 논란은 이동통신사의 꼼수 카카오톡을 만든 카카오가 200여개국을 중심으로 제공해온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 '카카오 보이스톡'을 국내 서비스를 단행했다. 그 동안 카카오는 카카오 보이스톡을 선보이며, 이동통신사와 마찰을 빚어온 한국을 서비스 대상 지역에서 제외했다. 그런데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이 언급한 연내 서비스 제공 발언이 나온 지 일주일도 안돼 보이스톡 국내 서비스를 전격 개시했다. 이 때문에 언론은 '카카오 보이스톡 드디어 국내 상륙'이라는 타이틀을 앞세워 이동통신사들의 수익성이 나빠질 것이라는 추측성 보도를 내보내고 있다. 카카오 보이스톡이 어떤 서비스고, 어떤 영향을 미치길래 이런 반응이 나오는 것 일까? 도대체 카카오 보이스톡이 뭐야? 카카오 보이스톡이란,.. 더보기 챗온(ChatOn) 출시 지연 이유는 무료 메신저 시장 힘겨루기 때문 챗온(ChatOn) 출시 지연 이유는 무료 메신저 시장 힘겨루기 때문 국내 무료 메시지 시장이 뜨거운 가운데 주로 카카오톡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다. 그 중에서도 애플과 카카오톡(Kakao Talk)의 신경전이 무료 메신저 시장의 가장 큰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오늘은 이와 비슷한 신경전이 삼성전자와 이동통신사로 번지고 있다는 소식을 전할까 한다. 얼마 전 국내 IT 매체들은 삼성전자가 자체 개발한 모바일 메신저 쳇온(ChatOn), 국내선 기본 탑재가 아닌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공한다는 소식을 보도했다. 이 내용을 보도하며, 삼성전자 웨이브3가 당초 출시 목표였던 1월 중에서 2월로 미뤄진 것은 이동통신사와 삼성전자와의 협의 과정이 길어졌기 때문이라는 내용도 함께 전했다. 삼성전자에서는 공식적으.. 더보기 광고와 정보의 경계에선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와 카카오 링크 2.0 광고와 정보의 경계에선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와 카카오 링크 2.0 무료 메세지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는 가운데 모바일 메신저 업계 1위인 카카오톡이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였다. 바로 지난 12일 공개한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와 카카오 링크 2.0이다. 그동안 다음 마이피플, KT 올레톡, 네이버 네이버톡, 네이트 네이트온톡, 삼성전자 쳇온까지 업계의 굴직한 기업들이 모두 무료 SMS 서비스 시장에 뛰어들었지만 수익모델의 부재가 약점으로 지적돼 왔다. 이 글을 읽기 전에 추천을 눌러주시면 더욱 많은 분들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dtalker.tistory.com http://www.dtalker.net 따라서 2600만 회원을 보유한 카카오톡의 새로운 서비스는 모바일 플랫폼의 수익모델로 연결될.. 더보기 스마트폰 사용자 1500만 시대, 제대로 활용하세요? 스마트폰 사용자 1500만 시대, 제대로 활용하세요? 전체 인구의 1/3인 1500만명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애플 아이폰과 삼성전자 갤럭시 시리즈가 스마트폰 시장을 주도하면서 스마트폰 보급율이 국내에만 1500만대 이상의 스마트폰이 보급된 가운데, 전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시장은 급성장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작 스마트폰을 활용할 줄 아는 사람들은 50%도 채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고 계시나요? 스마트폰을 구입한 사람들에게 물어봐도 인터넷, DMB, 동영상, MP3 음악, 웹툰 정도를 주로 사용하고,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자주 사용한다는 사용자는 무료 문자서비스인 카카오톡(Kakaotalk)과 무료 통화(Voip)까지 가능한 다음 마이피플을 자주 사용한다고 대답한 사람이 많았습니다. 그.. 더보기 방통위 mVoIP TF 구성, 유료화로 전환될까? 데이터무제한 요금제 사용으로 인해 전례에 없던 사태가 촉발됐다. 카카오톡 가입자가 1000만명을 돌파하면서 이동통신사의 망 과부하 논란이 벌어지게 된 것. 이동통신사와 카카오톡의 분위기는 망 차단설이 나돌면서 극대화됐다.(편집자주-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과도한 트래픽을 유발하는 카카오톡을 차단하겠다는 소문이 급속도로 확산됐다.) 특히, 카카오톡 사용자들이 문자 및 멀티미디어콘텐츠(사진, 동영상)를 와이파이(WiFi)망이 아닌 3G를 통해 전송하기 시작하면서 망부하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다고 이동통신사들이 이의를 제기하면서 분위기가 급속 냉각됐다. 국내 IT언론을 통해 이슈가 집중되면서 망부하를 줄일 수 있는 기술적 방안 모색과 함께 일단락되는 분위기다. 그런데, 방송통신위원회가 방통위 관계자, 통신사업자(.. 더보기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카카오톡 서버 불안정 '해킹탓?' 스마트폰용 메신저 카카오톡의 잦은 접속장애로 해킹 의혹이 불거진 가운데 1시간 50여분만에 정상 복구됐다. 17일 카카오톡의 개발사인 아이위랩은 "서비스 장애 및 재인증 오류에 대한 사과 공지"를 올리며 이에 대해 해명했다. 아이위랩에 따르면, "17일 낮 12시 서버의 하드웨어 장애로 인하여 일부 유저에게 재인증을 받게 하는 현상이 발생했다"며, "이에 따라 급히 서비스를 중단하고 정상화 작업을 진행하여 오후 1시50분부터 서비스가 정상화 됐다"고 밝혔다. 이어 "재인증 오류를 경험한 유저분들의 채팅내역이 초기화된 점에 대해서 진심으로 머리숙여 사과드린다"며, "앞으로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서비스 안정화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일부 사용자들은 "단기간 가입자가 증가..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