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터넷

젤리빈 탑재한 갤럭시 노트2, 멀티 윈도우, 상황 인식 기능으로 사용성 향상되다 젤리빈 탑재한 갤럭시 노트2, 멀티 윈도우, 상황 인식 기능으로 사용성 향상되다 최근까지 출시된 스마트폰들은 하드웨어 스펙을 강점으로 내세우며, 차별화를 꾀했는데요. 최근에는 좀 더 앞선 운영체제를 적용해 차별화를 꾀하는 분위기라서 그런지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발빠르게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젤리빈(Jellybean)으로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갤럭시 노트2에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젤리빈(Jellybean)이 담겨있는데요. 젤리빈(Jellybean)에는 어떤 기능들이 담겨져 있는지 살펴보고 갤럭시 노트2에 새롭게 추가된 기능들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저는 갤럭시 노트2 뿐만 아니라 최근 젤리빈으로 업데이트한 갤럭시S3도 함께 사용하고 있는데요. 아이스크림 샌드위치에서 젤리빈(Jelly.. 더보기
삼성 스마트TV가 있다면 놓친 2012 런던 올림픽 경기 네이트TV로 다시 보자! 삼성 스마트TV가 있다면 놓친 2012 런던 올림픽 경기 네이트TV로 다시 보자! 2012 런던 올림픽에 출전한 우리나라 선수들이 4년간 흘린 피땀의 결실을 판정 번복이나 오심으로 놓친 소식을 접하게 되면서 상당히 마음을 아프게 하고 있는데요. 그러한 악조건 속에서도 우리 선수들이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투지와 근성을 보여주며, 간간히 들려오며 메달을 땄다는 소식을 전해주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금메달 7개, 은메달 2개, 동메달 5개로 종합 3위를 기록하고 있는데요. 런던과 우리나라는 8시간의 시차 때문에 보지 못하는 경기가 상당히 많습니다. 물론 이를 PC나 스마트폰으로 검색해서 찾아볼 수 있지만 TV 앞에서도 이를 쉽게 볼 수 있는 서비스가 있어 오늘은 이를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이 방법은 스.. 더보기
2012년 런던 올림픽, 삼성 스마트TV를 통해 3D TV 중계 시청하기 2012년 런던 올림픽, 삼성 스마트TV를 통해 3D TV 중계 시청하기 전 세계인의 이목이 집중된 가운데 2012 런던 올림픽이 드디어 막을 올렸습니다. 국내 방송3사(MBC, KBS, SBS)도 이에 편승해 스타 해설위원을 영입해 시청률 올리기에 집중하고 있는데요. 방송사 뿐만 아니라 포털사이트 및 스마트TV 제조사도 2012 런던 올림픽을 중계하기 위해 다양한 3D 중계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Source : http://blog.naver.com/mbc_cp?Redirect=Log&logNo=162755821 이번 런던 올림픽에서는 방송3사가 지나친 경쟁을 지양해 회선료를 절약하고자 광회선을 MBC와 SBS가 5회선씩, KBS가 7회선을 각각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3D T.. 더보기
이동통신사 주장한 카카오 보이스톡 데이터 폭증 유발, 그 진실은? "이동통신사 주장한 카카오 보이스톡 데이터 폭증 유발, 그 진실은?" 이동통신사는 카카오 보이스톡과 같은 mVoIP(모바일 인터넷 전화) 서비스가 데이터 폭증을 유발한다고 강력하게 보이콧하고 있고, 국내 언론은 연신 이를 보도하며, 수 많은 이슈를 양산하고 있다. 그런데 이미 작성한 카카오 보이스톡 서비스 논란은 이동통신사의 꼼수(http://dtalker.tistory.com/2962)라는 글에서도 알 수 있듯이 카카오 보이스톡처럼 mVoIP(모바일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이슈화시켜 망중립성 논란을 이끌어내 방통위로부터 이동통신사가 좀 더 많은 이득을 끌어내려고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동통신사가 지속적으로 주장하고 있는 카카오 보이스톡처럼 mVoIP(모바일 인터넷 전화) 서비스가 얼마나 데이터 폭.. 더보기
카카오 보이스톡 서비스 논란은 이동통신사의 꼼수 카카오 보이스톡 서비스 논란은 이동통신사의 꼼수 카카오톡을 만든 카카오가 200여개국을 중심으로 제공해온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 '카카오 보이스톡'을 국내 서비스를 단행했다. 그 동안 카카오는 카카오 보이스톡을 선보이며, 이동통신사와 마찰을 빚어온 한국을 서비스 대상 지역에서 제외했다. 그런데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이 언급한 연내 서비스 제공 발언이 나온 지 일주일도 안돼 보이스톡 국내 서비스를 전격 개시했다. 이 때문에 언론은 '카카오 보이스톡 드디어 국내 상륙'이라는 타이틀을 앞세워 이동통신사들의 수익성이 나빠질 것이라는 추측성 보도를 내보내고 있다. 카카오 보이스톡이 어떤 서비스고, 어떤 영향을 미치길래 이런 반응이 나오는 것 일까? 도대체 카카오 보이스톡이 뭐야? 카카오 보이스톡이란,.. 더보기
인쇄매체의 몰락을 예고하는 PC사랑 폐간 소식 PC사랑이 폐간 위기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PC전문월간지 PC사랑 편집부 기자가 전원 사퇴했다는 소식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공식화되면서 오프라인 PC잡지의 명맥이 끊어졌다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특히 PC시장과 함께 성장하고 중흥기를 이끌어 왔던 PC전문월간지들이 사라지면서 PC시장의 몰락을 예고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우려 섞인 전망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습니다. PC시장의 전성기는 펜티엄 MMX가 출시된 1997년부터 각 가정에 PC가 본격적으로 보급되면서 1999년 64%의 PC보급율을 기록한 시점이 아닐까 싶네요. 당시 PC 구입비용으로 100~150만원에 달하는 비용이 지출되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놀라운 수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PC시장이 본격적으로 성장세를 그리면서 PC 월간지도 함께.. 더보기
가격, 성능, 디자인 3박자를 갖춘 30만원대 넷북 추천 가격, 성능, 디자인 3박자를 갖춘 30만원대 넷북 추천 꽤 오랫동안 노트북 시장을 이끌어온 넷북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하는 태블릿 시장으로 인해 넷북 시장이 위축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저렴한 가격대를 갖춘 넷북 시장은 많은 소비자들로부터 사랑 받고 있는데요. 넷북을 구매하려는 사용자들은 보통 동영상 및 음악 감상, 인터넷, 워드와 같은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성능만 충족시켜주면 되기 때문에 가격이 비싼 노트북을 구매하지 않기 때문이죠. 또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넷북은 운영체제가 포함되지 않은 제품들도 있어 PC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있다면 더욱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단점이라면 저전력 프로세서인 아톰프로세서(또는 AMD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고성능 퍼포먼스를 즐길 수 없.. 더보기
실시간 디지털 TV방송을 아이패드로 볼 수 있는 TVPLUG 리뷰 실시간 디지털 TV방송을 아이패드로 볼 수 있는 TVPLUG 리뷰 콘텐츠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다양한 콘텐츠를 모바일기기와 스마트TV에서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플랫폼 서비스를 출시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그 중에도 스마트폰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이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는데요. 크게 서비스 제공자와 콘텐츠 제공자가 제휴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형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과 홈 클라우드를 손쉽게 구축할 수 있는 하드웨어형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으로 구분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편의상 아래와 같이 나누어 봤습니다. 이 글을 읽기 전에 추천을 눌러주시면 더욱 많은 분들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dtalker.tistory.com http://www.dtalker.net http://b.. 더보기
2012년 10대 전략기술과 트렌드는 어떨까? 2012년 10대 전략기술과 트렌드는 어떨까? 2011년의 한 해가 저물어 가는 가운데 IT주요 전시회도 마무리되었다. 올 1월에 열린 CES2011부터 최근 폐막한 IFA2011까지 3D, 모바일(스마트폰/태블릿), 스마트(Smart)가 IT전시회 3대 키워드는 IT시장을 주도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다면 내년 2012년에는 어떤 키워드가 IT 시장을 리딩하며, 주도권을 잡아갈 수 있을까? IT분야 시장전문 조사기관 가트너는 오늘 2012년 10대 전략 기술과 트렌드를 발표했다. 미디어 태블릿과 그 이후 (Media Tablets and Beyond) 모바일 컴퓨팅을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은 다양한 폼 팩터에 대해 광범위한 선택권을 가지고 있다. 그 어떤 단일 플랫폼, 폼 팩터 또는 기술도 절대적으.. 더보기
넷북처럼 사용할 수 있는 크롬북, 이렇게 사용하자 넷북처럼 사용할 수 있는 크롬북, 이렇게 사용하자. 크롬북은 지난 19일부터 총 10일간(28일까지) 전국 삼성 모바일샵을 통해 (오프라인) 예약판매를 실시했다. 크롬북이 노트북 시장의 주류에 포함되기에는 마이너(부족)하다. 그 이유는 이전에 작성한 글들을 참고하기 바란다. http://dtalker.tistory.com/1757삼성전자 크롬북 직접 사용해보니 http://dtalker.tistory.com/2768넷북과 다른 구글 크롬북 100% 파헤쳐보기 http://dtalker.tistory.com/1804클라우드 기반의 구글 크롬북, 그 불편한 진실 http://dtalker.tistory.com/2782크롬북의 성공을 방해하는 64만원대 출고가 위의 글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크롬북이 지닌 한계성..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