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옵티머스

가격과 실속을 챙긴 알뜰폰, 단말기 자급제 활성화 기폭제 될까? 가격과 실속을 챙긴 알뜰폰, 단말기 자급제 활성화 기폭제 될까? - 자급제폰 시장을 뒤흔든 알뜰폰 블랙리스트제도로 언급된 휴대폰 자급제가 알뜰폰으로 이름을 바꾸며 다시금 인기를 얻고 있다. 알뜰폰(일명 : 편의점폰)은 기존 이동통신사보다 20% 이상 저렴한 요금제와 낮은 휴대폰 단말기 가격으로 승부수를 던지고 있다. 실속을 챙기려는 소비자들은 알뜰폰을 구매하기 위해 편의점으로 향하고 있고, 높은 인기 덕택에 삼성전자, LG전자, 팬택, 아이리버, 단말기 제조사들은 성능 좋은 알뜰폰 단말기를 잇달아 출시하고 있다. 이를 세부적으로 조명해 보고자 한다. |알뜰폰이란? 알뜰폰은 이동통신 재판매(MV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서비스의 홍보용어로 선정한 브랜드 이미지다. 이.. 더보기
2GB 메모리로 무장한 옵티머스 LTE2의 전략은 무엇? 2GB 메모리로 무장한 옵티머스 LTE2의 전략은 무엇? WIS2012에서도 선보인 바 있는 옵티머스LTE2가 이동통신 3사로 동시 출시됐다. 옵티머스LTE2는 2GB 메모리를 탑재한 것이 가장 큰 특징으로 현재 출시된 스마트폰 중에서 가장 메모리 용량이 많다. 옵티머스LTE2는 스냅드래곤S4 1.5GHz 듀얼코어 프로세서, 2GB 메모리, 1280x720의 해상도를 지원하는 4.7인치 디스플레이(True HD IPS), 800만화소 후면 카메라, 130만 화소 전면 카메라, 지상파 DMB, Wi-Fi 802.11 b/g/n, Wi-Fi Direct, DLNA, A-GPS, 블루투스 4.0, NFC 등 다양한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특히 통신칩과 AP를 하나로 합친 MSM5960(1.5GHz 듀얼코어)를.. 더보기
좀 더 개선이 필요해 보이는 LG 무선 충전 패드 좀 더 개선이 필요해 보이는 LG 무선 충전 패드 유선 충전의 불편함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무선 충전 패드가 WIS2012를 통해 공개됐다. 무선 충전의 편리함을 내세운 LG 무선 충전 패드는 전자기 유도 방식을 채택했다. 전자기 유도 방식은 충전 패드 내부 코일이 주변에 자기장을 만들어 충전 패드 위의 휴대폰에 전류를 흘려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단, 무선 전용 배터리 커버가 씌워진 스마트폰만 가능하다. 이 방식은 세계 무선 전력 협회(WPC: Wireless Power Consortium)의 무선 충전 표준인 "기(Qi)"인증을 받았다. LG 무선 충전 패드 잠시 사용해보니… LG전자가 선보인 무선 충전 패드를 잠시 사용을 해봤는데, 시료 제품이라 불완전한 모습을 보였다. 충전 방법은 아주 간단했다.. 더보기
국내 시장 점유율 2위를 노리는 베가레이서2 vs 옵티머스LTE2 국내 시장 점유율 2위를 노리는 베가레이서2 vs 옵티머스LTE2 2012년 5월 스마트폰 시장이 뜨겁게 달궈지고 있다. 바로 삼성전자 갤럭시S3(Galaxy S3)를 비롯해 팬택 스카이 베가레이서2(Vega Racer2), LG전자 옵티머스LTE2(Optimus LTE2)의 출시 소식이 전해진 것이다. 세 모델의 공통점은 2012년 중하반기를 책임질 전략 스마트폰이라는 것이다. 소비자들이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서 삼성전자, 팬택 스카이, LG전자의 시장 점유율이 큰 폭으로 차이 날 수 있다. 따라서 2012년 중하반기를 책임질 삼성전자 갤럭시S3(Galaxy S3), 팬택 스카이 베가레이서2(Vega Racer2), LG전자 옵티머스LTE2(Optimus LTE2)가 시장점유율에 큰 영향을 미칠 것.. 더보기
옵티머스 2X 허위광고 방치한 LG전자 진짜 몰랐을까? 옵티머스 2X 허위광고 방치한 LG전자 진짜 몰랐을까? 옵티머스 2X에 탑재된 제논 플래시가 LED 플래시로 밝혀져 파문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트위터리안 CHLgic이 옵티머스 2X 플래시 모듈이 제논 플래시가 아니고 LED로 보인다는 문제를 제기하며 LG전자에 공식적인 답변을 요청한 것. LG전자는 트위터를 통해 "옵티머스 2X에 장착한 카메라 플래시는 제논 플래시가 아닌, 파워 LED 플래시 모듈이다"라고 설명하며, "제품 정보로 혼선을 끼쳐 드려 죄송하다"라고 답변했습니다. 이어 "앞으로 동일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덧붙였는데요. LG전자가 이 중요한 사실을 정말 몰랐을까요? 대기업 업무 프로세스를 아는 분들이라면 이 같은 답변을 두고 코웃음을 칠지도 모릅니다. 더군다나 마케.. 더보기
KT 공기계 스마트폰 단말기 판매는 전략일까? 상술일까? KT 공기계 스마트폰 단말기 판매는 전략일까? 상술일까? 다음 달 도입될 휴대폰 블랙리스트 제도에 맞춘 통신사의 맞대응 전략으로 KT가 가입자 식별 카드 (USIM)을 끼우지 않은 휴대폰 단말기 판매를 시작했습니다. KT가 공기계 스마트폰 단말기를 판매하는 이동통신사 최초로 업계의 이목을 모으고 있지만 이를 두고 바라보는 시선이 결코 긍정적이지만은 않은 것 같습니다. KT가 공기계 스마트폰 단말기 판매를 서두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복잡하게 얽힌 이해관계 자~ 현재의 상황을 정리하기 전에 복잡하게 얽힌 이해관계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국내 이동통신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기업과 이동통신사와의 관계 - 중국발 저가 스마트폰 국내 시장 진입 - 이동통신 시장의 유통구조를 손에 쥐고 있는 이동통신사의 입.. 더보기
애매한 포지셔닝을 가진 옵티머스 뷰(Vu:), 장단점 살펴보기 애매한 포지셔닝을 가진 옵티머스 뷰(Vu:), 장단점 살펴보기 최근 LG전자가 선보인 옵티머스 뷰(Vu:)에 관련된 리뷰가 속속 올라오고 있습니다. 옵티머스 뷰(Vu:)는 삼성전자가 내놓은 갤럭시노트의 경쟁제품으로 차별화를 두기 위해 4:3비율의 디스플레이를 채택한 스마트폰(태블릿?)입니다. 왜 굳이 4:3 비율을 채택한 것일까요? 옵티머스 뷰(Vu:)를 MWC2012 직접 보고 만져본 입장에서 옵티머스 뷰(Vu:)에 관한 이야기를 풀어내 보려고 합니다. 아직 옵티머스 뷰(Vu:)를 블로그에 다루지 않았기 때문에 옵티머스 뷰(Vu:) 스펙에 대해서 잠시 언급해보려고 합니다. 아래의 옵티머스 뷰(Vu:) 스펙을 참고해주세요. 프로세서 1.5GHz 듀얼코어(MDM9200 + APQ8060, SKT용), (M.. 더보기
스마트폰 오래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이지클리너 스마트폰 오래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이지클리너 스마트폰을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이동통신사인 SK텔레콤을 통해 무료로 제공된다. SK텔레콤이 선보인 이지클리너(Easy Cleaner)는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앱)이나 캐시메모리 등을 정리해 스마트폰의 성능을 개선하고 배터리 지속시간을 늘려주는 앱이다. 스마트폰 사용시 앱들을 설치하게 되는데 경우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Data통신을 시도하는 앱이 설치되기도 한다. 이 때 자주 사용하지 않는 불필요한 앱들을 삭제하지 않고 계속 사용하면, 스마트폰 속도를 저하시키고, 배터리 소모를 촉진시킨다. 이 글을 읽기 전에 추천을 눌러주시면 더욱 많은 분들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dtalker.tistory.com http://www.d.. 더보기
LG전자, 갤럭시 노트 뜨자 옵티머스 노트 출시 준비? LG전자, 갤럭시 노트 뜨자 옵티머스 노트 출시 준비? 글로벌 누적 판매 100만대를 돌파한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가 아날로그의 감수성을 불러일으키며, LTE 스마트폰 시장의 독주를 달리고 있는 가운데 LG전자가 이에 맞대응하는 제품을 출시할 것으로 알려져 업계의 이목을 모으고 있다. LG전자 관계자가 머니투데이에 밝힌 내용에 따르면, "5인치 대화면을 갖춘 옵티머스 노트(가칭)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어 "LTE를 지원하고 필기기능을 포함한 5인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할 것"으로 설명했다. 이 글을 읽기 전에 추천을 눌러주시면 더욱 많은 분들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dtalker.tistory.com http://www.dtalker.net http://blog.naver.com/dtalk.. 더보기
4G LTE 성공 키워드로 떠오른 실시간 개인방송 서비스 4G LTE 성공 키워드, 실시간 개인방송 서비스 "4G LTE 성공 키워드로 떠오른 실시간 개인방송 서비스를 주목하라!" 4G LTE 스마트폰 경쟁이 불붙은 가운데 4G LTE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 실시간 개인방송 서비스가 떠오르고 있다. KT가 소셜 미디어 기반 개인 생중계 방송 서비스를 내놓은 데 이어 LG유플러스가 실시간 고화질 개인방송 서비스를 선보인 것. 이 글을 읽기 전에 추천을 눌러주시면 더욱 많은 분들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dtalker.tistory.com http://www.dtalker.net 특히 웹 사이트나 블로그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가 소셜 미디어로 변화하고 있는 시점에서 나타난 실시간 개인방송 서비스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