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성전자

크롬북(ChromeBook), 결국 크롬박스(ChromeBox)로 진화하다 크롬북을 처음 만난 2011년 6월. 삼성전자 크롬북(CR-48)을 처음 만났다. 구글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보이며, 크롬북(CR-48)도 함께 선보였는데 크롬OS(ChromeOS)를 탑재했다. 혹시 크롬OS를 탑재한 크롬북(ChromeBook)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된다. 크롬북 관련 게시물 [컴퓨텍스2011] 삼성전자 크롬북(Chrome Book) 직접 사용해보니 http://dtalker.tistory.com/1757 클라우드 기반의 구글 크롬북, 그 불편한 진실 http://dtalker.tistory.com/1804 크롬북(Chrome book)의 성공을 방해하는 64만원대 출고가 http://dtalker.tistory.com/2782 넷북처럼 사용할 수 있는 크롬북, 이렇게 사용.. 더보기
인텔 2세대 i5프로세서 탑재한 삼성 크롬박스 출시 확인 인텔 2세대 i5프로세서 탑재한 삼성 크롬박스 출시 확인 타이거 다이렉트를 통해 북미에 출시될 것으로 알려진 크롬박스(ChromeBox)의 일부 상세 스펙이 유출됐다. 현재는 외부 사이트를 통해 해당 내용을 검색할 수 없지 이 스펙은 삼성전자 내부 자료가 아닌 타이거 타이렉트를 통해 입수 할 수 있었다. 크롬박스(ChromeBox)는 1.9GHz 셀러론 프로세서와 2.5GHz i5 프로세서 등 두 가지 모델로 출시된다. Specs Samsung ChromeBox CPU 1.9GHz Intel Celeron B840 / Intel Core i5(최고 사양인 듯) RAM 4GB DDR3 (PC4-10600, 1333MHz, 2x2GB) Storage 16GB Solid State Drive USB Ports.. 더보기
국내 시장 점유율 2위를 노리는 베가레이서2 vs 옵티머스LTE2 국내 시장 점유율 2위를 노리는 베가레이서2 vs 옵티머스LTE2 2012년 5월 스마트폰 시장이 뜨겁게 달궈지고 있다. 바로 삼성전자 갤럭시S3(Galaxy S3)를 비롯해 팬택 스카이 베가레이서2(Vega Racer2), LG전자 옵티머스LTE2(Optimus LTE2)의 출시 소식이 전해진 것이다. 세 모델의 공통점은 2012년 중하반기를 책임질 전략 스마트폰이라는 것이다. 소비자들이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서 삼성전자, 팬택 스카이, LG전자의 시장 점유율이 큰 폭으로 차이 날 수 있다. 따라서 2012년 중하반기를 책임질 삼성전자 갤럭시S3(Galaxy S3), 팬택 스카이 베가레이서2(Vega Racer2), LG전자 옵티머스LTE2(Optimus LTE2)가 시장점유율에 큰 영향을 미칠 것.. 더보기
뉴'시리즈9'의 성공 가능성은? 뉴'시리즈9'의 성공 가능성은? 애플 아이폰의 출시는 성능을 중시하던 하드웨어 제조시장에 경종을 울리는 계기가 되었는데요. 아이폰의 출시 이후 디자인이 강조된 IT제품들이 속속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노트북 시장에서도 이러한 변화에 대응해 깔끔한 디자인과 고급스러운 소재를 채택하기 시작했습니다. 가장 빠르게 대응한 곳은 울트라씬 노트북을 출시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아닐까 싶네요. 삼성전자는 듀랄루민 재질을 사용한 시리즈9을 LG전자는 화이트 맥북과 유사한 화이트 색상의 울트라씬 노트북 P210을 선보이며, 애플에게 도전장을 내밀었죠. 애플 맥북에어에 준하는 가벼운 두께와 슬림한 디자인은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이끌어 냈습니다. 그리고 최근 삼성전자는 전작에 비해 새로워진 시리즈9.. 더보기
뉴'시리즈9'으로 파일공유를 좀 더 쉽고, 더 빠르게 집안에 있는 디지털 가전기기들을 살펴보니 삼성전자 제품들이 눈에 띄네요. 보통 가정집에 디지털 가전기기들을 들여놓을 때, 특정 브랜드로 구매하는 경향이 강한데, 저희 집도 예외가 될 순 없나 봅니다. 삼성 스마트TV를 비롯해, 블루레이 플레이어, 뉴'시리즈9' 노트북, 갤럭시S2 LTE 등 삼성전자 브랜드로 집안을 채우고 있네요. 제가 가지고 있는 뉴'시리즈9'에는 DLNA 규격을 준수하는 올쉐어(AllShare)를 비롯해 삼성전자 PC, 노트북 데이터 전송을 손쉽게 도와주는 이지 파일 쉐어(Easy File Share)와 음성 데이터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송이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해서도 파일공유가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이렇게 디지털 기기들이 많다 보니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손.. 더보기
[출시소식] 슬림베젤이 돋보이는 더 넥스트 갤럭시(갤럭시S3) [출시소식] 슬림베젤이 돋보이는 더 넥스트 갤럭시(갤럭시S3) 출시를 앞둔 더 넥스트 갤럭시(The Next Galaxy, 가칭 갤럭시S3)의 이미지와 상세스펙이 유출되었다. 침묵으로 일관했던 삼성전자의 소식이 국내 언론을 통해 보도되면서 추측으로 치부되던 소식들이 점점 사실로 굳어지는 분위기다. Source : http://news.hankooki.com/lpage/economy/201205/h2012050302343621540.htm 한국일보에 제보한 한 소식통은 "삼성전자 내부에서 감사를 시작했으며, 삼성전자 중국법인 직원이 돈을 받고 유출한 혐의를 포착했다"고 전했다. 이 소식을 보도할 정도라면 사실(Face) 확인 및 검증과정을 거쳤다는 말이 된다. 아니라면 삼성전자에서 한국일보를 상대로 고소했.. 더보기
듀얼코어 모바일 프로세서 스냅드래곤(Snapdragon) S4 곧 실체를 드러낼 듯 최근 해외 전시회 및 주요 언론을 통해 모바일 프로세서 시장은 쿼드코어로 넘어가는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스마트폰 시장의 주력 프로세서는 듀얼코어 프로세서가 아닌가 싶네요. 또한 전력 소모 및 퍼포먼스 측면에서도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올 스마트폰 시장을 주도하는 프로세서는 듀얼코어 프로세서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현재 ARM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듀얼코어 모바일 프로세서를 내놓는 곳은 퀄컴(Qualcomm), 삼성전자(Samsung), 엔비디아(Nvidia), TI 등이 있으며, 애플은 독자적인 A시리즈 프로세서를 내놓으며,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퀄컴 스냅드래곤(Snapdragon)을 채택한 곳은 삼성전자, LG전자 팬택 스카이(SKY), HTC 등이 있고, 삼성 엑시.. 더보기
KT 공기계 스마트폰 단말기 판매는 전략일까? 상술일까? KT 공기계 스마트폰 단말기 판매는 전략일까? 상술일까? 다음 달 도입될 휴대폰 블랙리스트 제도에 맞춘 통신사의 맞대응 전략으로 KT가 가입자 식별 카드 (USIM)을 끼우지 않은 휴대폰 단말기 판매를 시작했습니다. KT가 공기계 스마트폰 단말기를 판매하는 이동통신사 최초로 업계의 이목을 모으고 있지만 이를 두고 바라보는 시선이 결코 긍정적이지만은 않은 것 같습니다. KT가 공기계 스마트폰 단말기 판매를 서두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복잡하게 얽힌 이해관계 자~ 현재의 상황을 정리하기 전에 복잡하게 얽힌 이해관계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국내 이동통신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기업과 이동통신사와의 관계 - 중국발 저가 스마트폰 국내 시장 진입 - 이동통신 시장의 유통구조를 손에 쥐고 있는 이동통신사의 입.. 더보기
갤럭시노트 덕에 홍길동이 된 갤럭시탭 7.7 LTE 갤럭시탭 7.7 LTE 국내 출시했지만 마케팅 활동 잠잠… 지난 3월 11일 갤럭시탭 7.7이 국내 정식 출시되었지만, 정작 국내에서는 조용하게 지나가는 것 같습니다. 물론 언론에서도 갤럭시탭 7.7 LTE에 관한 기사도 찾아보기 힘드네요. 국내에 출시된 갤럭시탭 7.7 LTE는 갤럭시노트 때와 마찬가지로 해외사양과 다른 스펙 논란이 벌어지고 있지만 유달리 조용하네요. 갤럭시노트는 현재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고 있지만 갤럭시탭 7.7 LTE는 찬밥신세나 다름 없습니다. 왜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 것일까요? 결론만 이야기하면, 주력 제품이 아니기 때문이랍니다. 그렇기 때문에 마케팅 홍보를 적극적으로 펼치지 않는 것이 아닐까요. 하지만 주력제품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너무 잠잠하네요. 마치 홍길동이 아버지를 아버지.. 더보기
빠른 부팅이 가능한 뉴'시리즈9'(NT900X3B-A54)의 SSD 성능 살펴보기 지난해 태국 홍수사태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의 가격이 급상승하면서 HDD 대체 수요 저장매체로 SSD가 각광받고 있는데요. SSD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SSD 제조사들이 가격을 낮춰 판매량을 늘리는 박리다매 전략을 펼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전략 때문에 울트라북을 비롯해 많은 노트북들이 SSD를 채택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낸드플래시 메모리로 만든 SSD는 발열, 소음, 전력 소모가 적고, 외부 충격으로 데이터가 손상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더욱이 탐색시간 없이 고속으로 데이터를 입출력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해 차세대 저장장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런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SSD도 약점이 있습니다. 바로 저장용량인데요. SSD는 저장용량이 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