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통위

불법행위 통해 얻어낸 KT 2G 서비스 종료, 득과 실은? 불법행위 통해 얻어낸 KT 2G 서비스 종료, 득과 실은?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가 2G 휴대폰 사용자들의 시선을 외면한 채 KT의 손을 들어줬다. 방통위가 이 같은 결정을 내림에 따라 2G 휴대폰 서비스 이용자는 SK텔레콤이나 LG유플러스로 이동통신사를 바꿀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처했다. 따라서 원망의 화살은 KT에서 방통위로 옮겨가게 될 전망이다. 이 글을 읽기 전에 추천을 눌러주시면 더욱 많은 분들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dtalker.tistory.com http://www.dtalker.net http://blog.naver.com/dtalker 우선 이번 사건의 발단은 이렇다. 2.1GHz 주파수 경매에서 무릎은 꿇은 KT가 2G CDMA망 서비스 종료카드를 꺼내 들면서 이 문.. 더보기
4G LTE 요금제의 화두는 요금제 인하와 무제한 요금제 4G LTE 요금제의 화두는 요금제 인하와 무제한 요금제 4G LTE 스마트폰 출시를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인 이동통신 3사는 4G LTE 출시 준비를 마친 가운데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의 요금제 심의만 남겨두고 있다. 그러나 방통위는 LTE 요금제와 관련되어 LTE 요금제가 타당성이 있는지 신중하게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휴대폰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SK텔레콤은 4G LTE에서 무제한 요금제를 제외한 채 요금제 심의를 받고 있다. 하지만 이 사실이 언론을 통해 알려지면서 4G LTE 서비스를 제대로 이용할 수 없는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냐라는 문제가 이슈로 떠올랐다. 이 문제가 온오프라인을 뜨겁게 달구자 방통위는 요금제 심의 결정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 평소 방통위는 .. 더보기
KT의 손을 들어준 법원, '2G 서비스 종료' 방통위의 결정은? 이 콘텐츠는 컨슈머리포트 사이트를 꿈꾸는 팀블로그 사이트 Dtalker.net에 기고 됩니다. http://www.dtalker.net/www/News/NewsView.php?p_grpcode=A&p_brdcode=07&p_seq=2633 참여하고 싶으신 분들은 press@dtalker.net으로 연락주세요. 2G 서비스 유지에 대한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지난 12일 2세대 휴대전화 사업 종료와 관련해 손해배상청구소송이 진행된 항소심에서 법원이 이동통신사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2G 서비스 유지 의무가 없다”는 법원의 판결이 KT나 방통위의 행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글을 읽으시기 전에 View On 클릭 부탁드립니다. | 2G 서비스 유지 의무에 대한 법원 판결 지난 12일 수원지법 민.. 더보기
휴대폰 식별 번호가 필요 없는 010 휴대폰 식별 번호가 필요 없는 010이 새롭게 주목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정부는 지난 2004년부터 ‘010 통합번호 정책’을 강행하며, 010을 누르지 않고 전화 발신이 가능한 장점을 내세웠었습니다. 특히, 소비자의 반발이 극에 달했을 때, 효율적인 전화번호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내세웠는데요. 사실 저도 010 통합번호 정책에 대해서 불만을 갖고 있던 터라 정부가 강행했던 정책에 대해서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습니다. 최신 단말기를 좋아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010을 사용하고 있지만 지금도 010 통합번호에 대해 거부감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나 봅니다. 바로 이 부분 때문에 ‘휴대폰 식별 번호가 필요 없는 010’이 새롭게 주목 받게 된 것 같습니다. 이슈가 되는 부분을 좀 더 세심하게 살펴보.. 더보기
방통위 mVoIP TF 구성, 유료화로 전환될까? 데이터무제한 요금제 사용으로 인해 전례에 없던 사태가 촉발됐다. 카카오톡 가입자가 1000만명을 돌파하면서 이동통신사의 망 과부하 논란이 벌어지게 된 것. 이동통신사와 카카오톡의 분위기는 망 차단설이 나돌면서 극대화됐다.(편집자주-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과도한 트래픽을 유발하는 카카오톡을 차단하겠다는 소문이 급속도로 확산됐다.) 특히, 카카오톡 사용자들이 문자 및 멀티미디어콘텐츠(사진, 동영상)를 와이파이(WiFi)망이 아닌 3G를 통해 전송하기 시작하면서 망부하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다고 이동통신사들이 이의를 제기하면서 분위기가 급속 냉각됐다. 국내 IT언론을 통해 이슈가 집중되면서 망부하를 줄일 수 있는 기술적 방안 모색과 함께 일단락되는 분위기다. 그런데, 방송통신위원회가 방통위 관계자, 통신사업자(.. 더보기
소비자에게 생색내는 휴대폰 유통구조 개혁 휴대폰(스마트폰) 유통구조에 쓰나미가 덮쳤다. 이동통신 3사 중심(제한경쟁)의 휴대폰 유통구조가 휴대폰 제조사·유통(총판)기업들이 직접 판매하는 ‘자율경쟁’체제로 바뀌게 된 것. 따라서 국내 제조사들이 대리점망을 이용해 직접 유통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졌다. 현재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자사의 전문 판매 매장을 갖추고 있어 현실화될 가능성이 무척 높다. 스마트폰(휴대폰) 제조사들이 직접 휴대폰 판매하게 될 경우 스마트폰(휴대폰) 구입시 훨씬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을 전망이다. ◆ 휴대폰 유통구조 개혁에 칼을 빼든 방통위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13일 제조사에서 휴대폰을 직접 구입 할 수 있도록 휴대폰 유통 시장을 개방해 소비자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휴대폰 유통 구조 개선안(국제단말기식별번호 블랙리스트)’을 .. 더보기
정보제공 동의 없이도 인터넷 가입이 가능하다! 정보제공 동의 없이도 인터넷 가입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정보제공 동의를 해야만 인터넷 가입이 가능했던 방식에서 벗어나 정보 제공 동의 없이도 인터넷 가입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그 동안 많은 웹사이트에 가입을 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를 제 3자에게 제공, 취급 위탁에 동의해야 한다는 내용의 화면을 볼 수 밖에 없었다. 재미있는 건 동의하지 않아도 회원가입이 가능해야 했지만 강제적인 방식으로 가입을 위해서는 동의를 해야만 했다. 이에 대해 방송통신위원회는 이전 인터넷 가입 시 원치 않아도 해야만 했던 '개인정보 제 3자 제공'란에 동의를 하지 않아도 사이트 가입이나 인터넷 가입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방통위는 웹사이트 회원가입 절차를 개선하도록 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더보기
국내 스마트폰 통화품질이 공개된다. 국내 스마트폰 통화품질이 공개된다. 아이폰, 갤럭시S 등의 통화품질이 공개된다? 뛰어난 사양의 스마트폰이 출시되지만 이 스마트폰들은 그저 영화를 더 쉽게 보고, 지상파 DMB를 보고, 게임을 더 재미있게 하고,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데 더 치중하고 있다. 반면 스마트폰의 주 목적인 전화기능에 대한 개선은 크게 발전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여전히 스마트폰의 통화품질에 대해 불만이 많은 상황으로 비록 그 원인 꼭 스마트폰만의 이유는 아니겠지만 소비자들의 입장에서 각 스마트폰의 통화품질이 과연 어느 정도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필요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8일 국회업무보고에서 나온 스마트폰 통화품질에 대한 지적에 대해 '이달 안에 스마트폰 통화품질 평가가 완성되어 이를 공개할 것이며.. 더보기
와이파이망 통합이 시급하다. 최근 스마트폰 확산에 따라 무선데이터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서 3G 및 와이파이(Wi-Fi)망에 부하가 걸리고 있다. 이동통신사는 통화품질을 개선과 3G 망부하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와이파이(Wi-Fi)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와이파이(Wi-Fi) AP지역간 혼신이 자주 발생하면서 인터넷 접속이 지연되거나 접속이 불가능한 사태가 종종 벌어지고 있다. '와이파이 먹통'에 관련된 기사들도 종종 눈에 띈다. 스마트폰 데이터는 '폭발' 통신사는 '숨 막혀' 아이뉴스24 IT/과학 2011.02.07 (월) 오전 7:03 [사설]와이파이 중복, 중재자 필요하다 전자신문 26면2단 2011.02.07 (월) 오전 0:03 와이파이 난개발…`속터지는 스마트폰` 전자신문 IT/과학 3면 2011.02.06.. 더보기
방통위 이용자보호 정책 토론회 개최 방송통신위원회는 서울 플라자호텔 다이아몬드홀(중구 태평로)에서 11월 3일 오후 2시부터 ‘방송통신 이용자보호 정책 토론회’를 개최한다. 토론회는 1부와 2부로 나누어 진행된다. 1부는 방통위가 향후 추진해야 할 이용자보호 정책의 비전과 과제들로 구성된다. 방통위 이용자보호국은 ‘이용자가 주도하는 공정한 방송통신시장’이라는 비전과 의의에 대해 기조 발제를 한다. 이어서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의 임 준 박사는 ‘공정한 제도기반 조성 및 피해구제 체계 강화’를 주제로 발표하고,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의 한문승 팀장은 ‘자율경쟁 시장 촉진 및 스마트한 이용자 확산’을 위한 정책과제를 소개한다. 토론회 2부에서는 법학·소비자가족학·신문방송학계 교수, 한국소비자원, 소비자단체 및 연구기관 전문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