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다폰

2012년 스마트폰 시장을 주목해야 할5대 키워드–삼성전자와 바다폰(Bada) [컬럼] 2012년 스마트폰 시장을 주목해야 할5대 키워드–삼성전자와 바다폰(Bada) 5회에 걸쳐 기획된 이번 컬럼은 이동통신사와 스마트폰의 제조사의 전략을 분석해 2012년 스마트폰 시장 전망을 진단해볼까 한다. 세번째 키워드로 이동통신사와 윈도폰(윈도우폰7) 살펴봤다. 지금 살펴볼 네번째 키워드는 삼성전자와 바다폰(Bada)을 꼽고 싶다. 삼성전자와 바다폰(Bada)을 왜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하는지 지금부터 함께 살펴보자. 2011/12/27 - [디지털/과학] - [컬럼] 2012년 스마트폰 시장을 주목해야 할 5대 키워드 – 이동통신사와 윈도폰(윈도우폰7) 2011/12/26 - [디지털/과학] - [컬럼] 2012년 스마트폰 시장을 주목해야 할 5대 키워드 – 3G 스마트폰 2011/12/20.. 더보기
삼성 앱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바다(Bada) 웨이브2 국내 첫 상륙 iOS와 안드로이드에 대항할 바다(Bada)가 국내 첫 선을 보인다. 삼성전자는 삼성 모바일 플랫폼 ‘바다(bada)’를 탑재한 스마트폰 ‘웨이브 2(Wave Ⅱ, SHW-M210S)’를 국내에 출시했다고 6일 밝혔다. 그동안 삼성전자가 선보인 스마트폰 웨이브는 국내 전시회를 통해 선보인 적은 있지만 국내 시장에 출시되는 것은 처음이다. 새롭게 출시되는 ‘웨이브 2’는 사용 편의성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자 친화적인 UI를 바탕으로 한 바다(Bada) 플랫폼을 적용했다. 스마트폰에 익숙하지 않은 기존 일반폰(피처폰) 사용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웨이브 2의 최대 강점이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가 독자 개발한 SNS 특화 기능인 ‘소셜 허브’ 기능도 눈에 띈다. ‘소셜 허브(Social Hub)’란 .. 더보기
바다폰 S5330, 중국 시장으로 출시? 삼성전자의 바다 플랫폼을 탑재한 Wave 2 Pro(S5330)이 중국에 출시됐다. 갤럭시S와 비슷한 디자인을 가진 Wave 2 pro(S5330)는 Wave 2(S5250)와 달리 쿼티(QWERTY) 키보드가 장착됐다. 보급형 스마트폰인 Wave 2 Pro은 3.2인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채용했다. 지원해상도는 WQVGA급(240 x 400)을 제공하고 슬라이드 방식의 쿼티(QWERTY) 키보드를 탑재했다. 그리고 내장메모리 100MB, 외장 메모리 16GB 카드 슬롯, 300만 화소의 웹캠, GPS 등을 탑재했다. 통신방식은 쿼드밴드(EDGE/GPRS) 850/900/1,800/1,900 MHz를 제공하고 WAP 2.0 방식의 브라우징을 환경을 지원한다. 한편, S5330은 영국에서 최저 290달.. 더보기
삼성 바다폰 SKT와의 입장차이로 연내 출시 불가능. 삼성 바다폰 SKT와의 입장차이로 연내 출시 불가능. 삼성 자체 플랫폼 바다 OS를 담은 웨이브2가 올해 국내 출시가 불가능 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그 이유에 대해 해외 판매량에 따른 공급 부족이 원인이 아니라 국내 SKT와의 입장차이로 인한 문제로 전해지고 있다. 삼성은 바다플랫폼을 담은 웨이브를 SKT를 통해 출시할 계획이었고 특히 바다 앱스토어를 T스토어와 함께 독자적으로 추가하여 서비스하고자 했다. 하지만 SKT는 기존 T 스토어 안에 삼성Apps.를 담은 숍인숍 형식으로 계속 진행되길 바랬으며 결국 삼성과 SKT간의 입장차이로 국내 출시를 위해 거쳐야 할 망연동 테스트를 중단하게 되었다. 결국 두 업체간의 입장차이로 올해 웨이브2를 만져볼 기회가 사라지게 되었다. 삼성이 굳이 SKT를 고.. 더보기
하반기 이슈 윈도폰 7. 하지만 전망은 냉정. 하반기 이슈 윈도폰 7. 하지만 전망은 냉정. 올 하반기 또는 내년 아이폰 iOS와 구글 안드로이드와 함께 3파전을 이끌어 나갈 것으로 예상했던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폰 7이 개발자들 사이에서 냉랭한 기운이 돌고 있다. 모바일 운영체제 점유율 하락으로 고심하던 MS는 절치부심 윈도폰 7 개발에 매진 곧 그 성과를 보여줄 시기가 다가왔다. 소비자들은 또 하나의 운영체제의 등장 그리고 아이폰, 안드로이드폰 등과의 경쟁 등으로 인해 소비자들에게 좋은 영향을 끼치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반면에 개발자들은 이번 윈도폰 7 출시에 대해 그닥 호의적이지 못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윈도폰 7 보급에 걸림돌이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또한, 이미 시장조사 업체 역시 윈도폰 7에 대한 전망.. 더보기
삼성 바다폰 S8530 웨이브 II 발표 삼성 바다폰 S8530 웨이브 II 발표 삼성 바다폰 국내 출시가 여전히 미정인 상황에서 웨이브 LCD 모델인 S8530 웨이브 II를 발표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S8530 웨이브 II는 저가형 모델인 S5250 웨이브 II와는 다른 모델로 3.3인치 Super AMOLED에서 3.7인치 WVGA LCD로 디스플레이부분이 변경된 제품이다. 디스플레이가 커지면서 디자인도 약간 수정되었다. 특히 가운데 버튼 디자인이 변경되었고 두께, 무게 역시 변화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외 스펙은 기존 웨이브폰과 동일하다. 삼성 S5PC110 1GHz 프로세서와 바다 OS를 담고 있으며 802.11n 무선랜, 블루투스 3.0, 500만 화소 카메라를 기본 스펙으로 한다. 11월 독일에서 먼저 출시되며 가격은 429유로이다. 더보기
삼성 가죽 플립 커버를 내장한 바다폰 웨이브 723 삼성 가죽 플립 커버를 내장한 바다폰 웨이브 723 Super AMOLED를 내장한 웨이브(WAVE) 폰이 아닌 이보다 디스플레이 스펙이 낮아지고 대신 폰의 디스플레이를 보호해주는 가죽 플립 케이스를 폰에 내장한 독특한 컨셉의 폰 웨이브 723이 공개됐다. 웨이브 723은 삼성의 모바일 플랫폼인 바다(BADA) 1.1을 운영체제로 하고 있으며 3.2인치 LCD 디스플레이와 802.11n, WIFI, 블루투스 3.0, 500만 화소 카메라를 기본 스펙으로 하고 있다. 독특하게 가죽 플립 케이스를 폰 자체에 내장함으로써 별도 케이스 필요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웨이브 723은 9월 독일에 가장 먼저 출시될 예정이다. 더보기
삼성전자 bada 플랫폼을 담은 웨이브 폰 SKT를 통해 출시. 삼성전자 bada 플랫폼을 담은 웨이브 폰 SKT를 통해 출시. 삼성전자 또 하나의 전략 폰으로 bada 플랫폼을 내장한 웨이브폰(SHW-M120S)을 SKT를 통해 출시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일명 바다폰으로도 불리는 이 웨이브폰은 삼성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bada 플랫폼을 채택, 초기 우려의 목소리가 많았지만 지난 2010 월드IT쇼(WIS)를 통해 전시 직접 만져본 이들에게서 디자인과 성능에 있어 꽤 우호적인 평가를 이끌어 냈다. 바다 플랫폼을 담은 것과 3.3인치 Super AMOLED(갤럭시 S는 안드로이드와 4.0인치 Super AMOLED 채택) 이외에 갤럭시 S과 거의 흡사한 성능을 담고 있는 웨이브폰은 가격책정 전략에 따라 일반 휴대폰과 스마트폰 사이의 피쳐폰 급의 제품으로 좋은 성과를 .. 더보기
삼성 바다폰 ‘웨이브’를 만져보다! 웨이브폰 간단리뷰 삼성 바다폰 ‘웨이브’를 만져보다! 웨이브폰 간단리뷰 삼성 코엑스에서 25일부터 열린 월드 IT 쇼(World IT Show)를 통해 삼성의 독자적인 플랫폼인 바다를 내장한 웨이브폰(S8500)이 공개됐다. 삼성 부스를 통해 공개된 스마트폰은 삼성의 첫번째 안드로이드폰인 갤럭시 A와 바다폰인 웨이브폰 2가지로 갤럭시 S의 경우 전시 되긴 했지만 목업으로 실제 구동이 되지 않는 전시품이었다. 바다폰의 경우 삼성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플랫폼인 만큼 과연 어느 정도의 성능을 보여줄지 무척 궁금한 상황에서 총 4대의 바다폰이 전시 짧은 시간이지만 간단히 만져볼 수 있었다. 1. 디자인 직접 만져본 웨이브폰의 디자인은 기존 삼성 스마트폰과는 사뭇 다른 느낌으로 블랙 색상의 슬림한 바 타입과 헤어라인이 가미된 진한 .. 더보기
바다(Bada)의 물결(Wave)에 휩싸이다. 바다(Bada)의 물결(Wave)에 휩싸이다. 2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된 World IT Show(이하 WIS) 2010에서 삼성전자가 독자 개발한 휴대폰 운영체제(OS) 바다(Bada)를 채용한 스마트폰 웨이브(Wave)가 공개됐다. 스마트폰 대중화 시대를 겨냥해 출시한 첫 바다폰인 웨이브(Wave)는 스마트폰 중에서 고사양의 기능들을 집약했다. 아울러 웨이브(Wave)폰은 삼성전자가 하드웨어 주도 시장에서 소프트웨어 시장으로 전환한다는 측면에서 소비자와 언론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현재 공개된 제품의 스펙은 정확하게 공개되지 않았다. 기존에 공개된 정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쿼드-밴드(850/900/1800/1900MHz)와 듀얼-밴드(2100/9000MHz)를 지원하는 삼성 웨이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