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선

넷북을 스마트폰에 연결해 활용성을 높여보자 스마트폰의 빠른 확산과 함께 전체인구의 스마트폰 가입자 수가 1/7(약 700만명)이 넘었다. 하지만 정작 트렌드에 뒤쳐지지 않거나 디자인이 예뻐서 구매하는 사용자가 상당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기능 중 인터넷 웹 서핑과 DMB 및 멀티미디어 감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점은 스마트폰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스마트폰으로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기능을 이용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으로 위치정보를 활용한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들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토론의 장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은 상당히 매력적이다. 이뿐만아니다. 테더링 기능을 이용해 모바일기기에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다. 이.. 더보기
2011년 국내 IT 시장 전망은? IT 시장 분석 및 컨설팅 기관인 한국IDC는 15일 주요 고객사를 초청해 개최한 ‘2011년 한국 IT 시장 전망 조찬세미나’에서 이 같이 전망하고, 아울러 2011년 예상되는 국내 정보통신 시장의 주요 이슈와 트렌드를 조망, 한국IDC가 내다본 2011년 10대 예측 (Top 10 Predictions)을 소개했다. 다음은 한국IDC가 선정한 2011년 10대 예측(Top 10 Predictions)이다. #1. 2011년 국내 IT 시장, 이전 성장세를 회복하며 정상궤도로 복귀 2011년 전세계 IT 시장은 1조 6천억달러를 기록하며 2010년 대비 5.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흥시장(Emerging Markets)의 회복세가 가속화됨에 따라 새로운 IT 순지출액의 절반 이상을 이 시장이 창.. 더보기
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Wi-Fi IP 카메라 모듈 출시 웨이투텍은 지난 23일 메가 픽셀 영상을 압축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로 실시간 전송하는 ‘Wi-Fi IP 카메라 모듈(WTT-M442W)’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Wi-Fi IP 카메라 모듈은 기존 출시한 제품에 IEEE802.11b/g 무선랜 모듈을 추가한 제품으로 CCTV 카메라 제조업체가 CCTV 카메라를 유/무선 IP 카메라로 업그레이드 하려는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기획됐다. 이 제품은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채택하여 CCTV 카메라 업체가 별도의 하드웨어 추가 없이 박스 및 돔형 유/무선 IP 카메라 제품을 손쉽게 출시가능 하도록 하였다. 네트워크 카메라 모듈은 42mm X 42mm X 25mm 크기로 HD급(720P) 영상을 H.264, MPEG4 그리고 MJPEG 방식으로 압축가능하.. 더보기
무선 인터넷(Wi-Fi) 신호가 잡히는 곳에서 공짜로 사용하는 방법 무선 인터넷(Wi-Fi) 신호가 잡히는 곳에서 공짜로 사용하는 방법 우리나라가 IT강국으로 손꼽히게 된 계기가 인터넷 산업이 발전하던 시기와 맞물렸다. 인터넷이 발전하면서 우리나라 인터넷 인프라는 자칫 속도에 치중하고 편의 서비스는 뒷전인 듯한 느낌을 받았다. 대만의 경우 무선 신호가 타이페이 시내 전역에서 다 잡힐 정도로 인터넷 시설이 잘 잡혀있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무선 인터넷 인프라가 대만보다 뒤쳐진다는 점은 안타깝기만 하다. 각 나라의 상황에 맞게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특화되어 있는 만큼 국내 무선 인터넷 서비스도 소비자의 편의를 돕기 위해서 제공하고 있어 이를 잘 이용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소비자에게 모바일·이동통신기기의 보급 및 확산이 되면서 Wi-Fi 서비스 지역도 같이 증가한.. 더보기
[리뷰] 맥스폰의 WiFi 기능을 사용해보니 [리뷰] 맥스폰의 WiFi 기능을 사용해보니 맥스(MAXX) 연관글... 2010/04/01 - [모바일(포터블)] - 맥스폰(MAXX)의 성능은 멀티미디어 재생에서 빛을 발한다. 2010/03/30 - [모바일(포터블)] - [리뷰] 맥스(MAXX), 스마트북의 성능을 담아내다. 2010/03/22 - [모바일(포터블)] - 맥스폰 일 개통수 1,000대 돌파 2010/03/18 - [Review] - [리뷰] 최고를 지향하며 최고의 사양을 지닌 피처폰 맥스 2010/02/24 - [모바일(포터블)] - 피쳐폰(휴대폰)의 고정관념을 깬 MAXX(LU9400) 2010/02/18 - [휴대폰] - 드디어 LG의 반격? 스냅드래곤을 담은 ‘맥스’ 공개 지금까지 맥스폰의 외형과 성능에 대해서 알아봤다. 맥스.. 더보기
SKY ‘웹홀릭’과 같은 피쳐폰도 Wi-Fi의 영역을 무너뜨린다. 모바일 브로드밴드(Mobile Broadband) 전략을 통해 무선 데이터 시장의 활성화를 주도하고 있는 KT가 그 영역을 스마트폰을 넘어 일반 휴대폰까지 확대하고 있다. KT는 Wi-Fi망을 통해 인터넷전화, 웹서핑,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일반 휴대폰인 SKY ‘웹홀릭(IM-U570K)’을 출시한다고 14일(일) 밝혔다. 팬택에서 만든 이번 휴대폰은 3인치 WQVGA 액정 스크린의 풀터치 휴대폰으로 Wi-Fi 기능뿐만 아니라 3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으며, 지상파 DMB 및 글로벌 로밍(WCDMA + GSM)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이번 출시한 ‘웹홀릭’은 데이터 완전 자유요금제 가입 시 KT에서 제공하는 ‘쿡&쇼존’(구 네스팟존)에서 인터넷전화, 웹서핑, 무선인터넷 서비스.. 더보기
제4 이동통신사를 이용하면 어떤 매리트가 있을까? 이동통신업체의 통신망을 서비스를 빌려 재판매하는 가상이동통신사업(MVNO)법이 지난 26일 국회 본회의에서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이 처리됐다.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구체적인 시행령안을 마련하기 위해 분주하다. 현재 2010년 1월말 기준의 시장 점유율을 보면 SKT텔레콤이 이동통신 가입자의 절반인 50.7%를 장악하고 있어 SK텔레콤이 의무제공 사업자로 지정될 확률이 무척 높다. 이번 개정안으로 인해 가상이동통신사업자가 등장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가상이동통신사업(MVNO)을 알고 넘어가자 간단하게 설명하면 이동통신 요금을 인하하기 위해 추진하는 개정안이 가상이동통신사업(MVNO)이다. 국회를 통과한 관련 개정안이 9월부터 효력을 발휘하면 가상이동통신사업(MVNO : Mobile .. 더보기
기술적으로 탈옥한 아이폰을 막을 수 있을까? 결론부터 얘기하면 불가능하다. “KT 탈옥폰, 아이폰 음성 통화 막는다”란 파이낸셜뉴스 기사를 살펴보면 아이폰 운영체제에서 탈옥(jail breaking)해서 인터넷 전화 사용데 대해 KT가 이를 막는 방안을 강구중이라고 보도했다. 아이폰이 급속도로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스마트폰 시장이 활기를 띄고 있다. 아이폰을 보급한 KT는 수익성이 낮은 아이폰이지만 데이터 통화료를 통해 이를 만회하려고 했었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Wi-Fi의 이용을 무료로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지역에서 사용하는 빈도가 늘어났다. 이 부분까지는 자사가 서비스하는 3W와 맞물리는 부분이 있어서 침묵으로 일관했다. 그동안 막아놨던 3G망을 이용한 스카이프(Skype) 통화가 가능해지자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면서 문제가 불거지기 시작.. 더보기
u헬스케어 서비스에 적용 가능한 모바일 무선 통신 기술 비트컴퓨터가 ‘무선 단말기 메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노드별 자동 망구성 방법 및 통신 고장 감내 방법’에 관한 특허권을 취득했다. 이 특허는 무선 단말기 간에 형성되는 메쉬망 네트워크에서의 망구성 방법과 고장 시 자가 치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혼재되어 있는 각 무선 단말기의 통신 노드별로 최적의 망을 구성하고, 구성된 망에 있어서 일부 노드의 통신 장애시에 네트워크 내의 다른 노드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갱신하는 무선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각 통신 노드마다 자동으로 망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장애 발생시 모든 해당 노드가 장애를 스스로 판단하여 라우팅을 갱신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망을 구성하고 스스로 장애를 치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비트컴퓨터는.. 더보기
무선 데이터 요금제 논란 어디까지가 진실인가? 스마트폰 무선 데이터 요금제에 대해 관심이 많은 요즘 국내 언론들의 관심이 뜨겁다. 주요 기사들의 제목들을 살펴보면 ‘스마트폰 요금폭탄’, ‘아이폰 요금폭탄 주의보’, ‘데이터 요금폭탄’과 같은 자극적인 기사부터 ‘카드 20만원 쓰면 무선데이터 공짜’, ‘무선 데이터 요금 인하’, ‘무한 데이터요금제 도입될까?라는 다양한 정보를 담은 기사까지 보도되고 있다. 무선 데이터 요금제가 도입논란은 어디까지인지 살펴보자.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촉발된 무선 데이터 무한 요금제’ 최근 이명박 대통령이 주재한 ‘비상경제대핵회의’에서 지식경제부는 ‘소프트웨어 강국 도약 전략’을 수립해 보고했다는 이후부터 언론사마다 해석한 부분이 조금씩 차이가 발생했다. 오보라는 기사도 올라온 상태라 언론사가 보도한 부분부터 살펴보자.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