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시바

[리뷰] USB 3.0 기반 2.5인치 도시바 외장하드 칸비오 3.0(Canvio 3.0) [리뷰] USB 3.0 기반 2.5인치 도시바 외장하드 칸비오 3.0(Canvio 3.0) 날이 갈수록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파일 용량이 커져감에 따라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하드디스크의 용량도 확장되고 있다. 특히 DVD급 동영상과 고압축 코덱이 적용된 멀티미디어 동영상 파일을 시리즈 별로 모으면 30GB에서 100GB를 훌쩍 넘는다. 이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저장매체를 이용해야 한다. 기존에는 CD나 DVD에 저장했지만 최근에는 NAS 또는 외장하드랙과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사용자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문제는 인터넷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면 좋지만 그런 상황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이동식 하드디스크를 통해 파일을 옮겨야 한다. 이 글을 읽기 전에 추천을 눌러주시면 더욱 많은 분들이.. 더보기
애플 아이패드2 출시. 삼성과 하이닉스에 달려있다? 애플 아이패드2 출시. 삼성과 하이닉스에 달려있다? 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아이패드2 낸드플래시를 공급하는 도시바가 가동이 중단되면서 아이패드2 출시가 더 늦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이어졌다. 지난 11일 미국 내에서 첫 출시한 아이패드는 물량 부족인해 미국내에서도 구입이 어려운 상황이다. 미국을 제외한 1차 출시일이 25일인 상황에서 일부 국가에서 1달 연기될 것이라는 공지가 올라오면서 아이패드2 국내 출시가 더욱 늦어지는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들려오고 있다. 세계 낸드플래시 물량의 3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도시바가 지진으로 인해 생산이 중단되면서 애플은 결국 대체 공급선을 찾아봐야 했다. 결국 애플의 현재와 같은 상황이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로 눈을 돌려야 하는 상황을 만들어낸 듯 하다. 현재.. 더보기
삼성 스마트폰에 이어 노트북도 애플과 경쟁한다? 삼성 스마트폰에 이어 노트북도 애플과 경쟁한다? 삼성이 갤럭시S라는 스마트폰을 가지고 전세계 1000만대 판매고를 기록한 성공 원인을 따져보면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 중에서 애플이라는 경쟁업체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도 볼 수 있다. 옴니아 시리즈로 극악의 평가를 받았던 삼성은 절치부심 아이폰을 목표로 대항마를 만들어냈고 결국 갤럭시S라는 제품을 만들어내 국내외적으로 좋은 평가와 판매고를 올렸다. 비록 구글 안드로이드라는 든든한 아군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결과였겠지만 다른 안드로이드폰과 비교해서 많은 판매량을 올렸던 것에는 분명 삼성만의 저력이 들어갔다고 볼 수 있다. 삼성의 이러한 성장을 통한 자신감은 스마트폰 시장 뿐만 아니라 랩탑 시장에도 전이되고 있다. 삼성은 2010년 약 9개월 동안 전.. 더보기
도시바 1200만 화소 안드로이드폰 ‘REGZA IS04’ 발표 도시바 1200만 화소 안드로이드폰 ‘REGZA IS04’ 발표 도시바는 1219만 화소 카메라를 내장한 안드로이드폰 ‘REGZA IS04’를 발표했다. ‘REGZA IS04’는 퀄컴 1GHz 스냅드래곤 프로세서와 4인치 FWVGA(854X480) 정전식 디스플레이, 안드로이드 2.1, 1219만 화소 AF 카메라를 내장하고 있다. LG전자에서 출시한 프라다 폰을 보는 듯한 유사한 디자인이 특징인 ‘REGZA IS04’는 내년 1월 출시임에도 안드로이드 2.1을 채택했다는 점이 다소 아쉽게 느껴진다. 더보기
도시바 안경 없이 보는 3D TV 공개. 도시바 안경 없이 보는 3D TV 공개. 도시바는 씨텍 동경 국제정보통신박람회(CEATEC)을 통해 12인치와 20인치 비안경식 3D TV ‘도시바 레그자 GL1’ 시리즈를 공개한다. 12인치 12GL1은 해상도 466 X 350를, 20인치 모델인 20GL1은 1280 X 720 해상도를 지원한다. 또한, 2D 콘텐츠를 3D로 전환하는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도시바 레그자 GL1’ 시리즈는 각 평면 프레임마다 9개의 시점을 다르게 제공하는 방식으로 입체 환경을 만들어 냈다. 또한, 사람의 뇌에 3D 영상을 지각하도록 하기 위해 얇은 막을 디스플레이에 붙여 좌우측의 눈이 서로 다른 영상 볼 수 있도록 했다. 안경 없이 시청할 수 있는 ‘도시바 레그자 GL1’ 시리즈의 단점은 시청하는 위치가 제한이 되어.. 더보기
듀얼 모니터를 담은 리브레토(Libretto) W110/11M 출시 듀얼 모니터를 담은 리브레토(Libretto) W110/11M 출시 도시바는 8월 말 출시로 예정되어 있던 7인치 듀얼 터치 디스플레이 노트북 'libretto(리브레토) W100/11M'를 11일로 앞당겨 판매를 시작했다. 일반적으로 내장되는 인텔 아톰 프로세서가 아닌 듀얼 코어 Pentium U5400(1.2GHz)를 내장하였으며 운영체제는 Windows 7 Home Premium 32bit, 메모리 2GB, 64GB SSD를 기본 사양으로 하고 있다. 202 X 25.4 X 123mm 크기와 699g 무게로 높은 휴대성을 보여준다. 듀얼 디스플레이를 담은 리브레또는 하나는 디스플레이로 또 하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로 사용할 수 있으며 2개 디스플레이를 모두 사용하여 좌우로 펼쳐 책과 같이 이북 컨텐츠.. 더보기
도시바 태블릿 PC ‘SmartPad’ 프로토 타입 공개. 도시바 태블릿 PC ‘SmartPad’ 프로토 타입 공개. 도시바가 자사의 태블릿 PC ‘SmartPad’ 프로토 타입을 공개했다. 올해 10월쯤 출시될 것으로 보이는 이 제품은 아직 정확한 사양이 공개되지 않았으며 운영체제 역시 윈도우 7으로 할지 또는 안드로이드 기반으로 할지 아직 결정이 내려지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다만 아이패드에서 단점으로 지적되던 외부 확장성에 대해 HDMI와 USB 단자 등을 지원할 것임을 언급하고 있다. 연내 다양한 태블릿 PC가 쏟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고 또, 올해 안에 애플이 내놓겠다고 한 신제품이 아이패드 나노(iPad nano)가 되지 않을까 하는 예상이 흘러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도시바는 태블릿 PC 시장에 약간 늦은 대응을 보이고 있는 듯 하다. 물론 누가 더.. 더보기
스마트북도 몰려온다! 도시바 ‘Smartbook AC100’ 공개 스마트북도 몰려온다! 도시바 ‘Smartbook AC100’ 공개 지난 1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렸던 CES에서 당시 이슈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제품들 중 하나로 스마트북이 선정되었다. 스마트북은 넷북 보다 더 얇고 더 오래가는 배터리 그리고 모바일용 OS를 얹어 휴대 중 사용하기 편리한 사용성 등의 장점을 지닌 제품이다. CES를 통해 몇몇 제품이 공개되었지만 전시 제품에 머물렀고 그나마 공개되었던 제품은 Windows 기반의 OS를 내장한 기존 UMPC의 그것과 큰 차이를 느낄 수 없었다. 하지만 하반기 LG전자는 물론 도시바, 샤프, 노키아, 아코스 등 진짜 스마트북을 선보일 예정이다. 그리고 가장 먼저 도시바에서 ‘Smartbook AC100’을 공개하였다. 스펙을 살펴보면 AC100의 프로세서는 .. 더보기
도시바 듀얼 터치 스크린을 담은 MID Libretto W100 공개. 도시바 듀얼 터치 스크린을 담은 MID Libretto W100 공개. 리브레또(Libretto) U100 이후 5년 만에 리브레또 네임명을 단 제품이 출시된다. 닌텐도 DSL와 같이 접이식 방식의 크램쉘 형태를 기본 베이스로 하고 있는 Libretto W100은 상하 듀얼 터치 LCD를 내장하고 있다. 즉, 하단에 내장된 키보드 대신 멀티터치를 지원하는 7인치 와이드 디스플레이를 내장하여 다양한 활용을 할 수 있다. 간단한 스펙을 살펴보면 Libretto W100 프로세스는 CPU Pentium U5400(1.2GHz)과 Windows 7 Home Premium을 운영체제로 채택하였으며 해상도 1024 X 600(WSVGA) 멀티터치 지원 듀얼 7인치 와이드 디스플레이, 2GB 메모리, INTEL QS.. 더보기
구글과 버라이즌이 만드는 안드로이드 태블릿 PC 구글과 버라이즌이 만드는 안드로이드 태블릿 PC 애플 아이패드에 좋은 경쟁이 될 수 있는 녀석이 또 하나 등장했다. 미국 내 최대 이동통신사인 버라이즌 CEO 로웰 맥애덤은 현재 버라이즌과 구글이 함께 태블릿 PC를 준비중이라고 밝혔다. 이 태블릿 PC는 안드로이드 OS를 채용할 예정이며 이번주내 세부스펙 등을 공개할 것이라고 한다. 버라이즌과 구글이 만났다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무게감이 느껴지는 상황에서 실제 이 제품을 제조하는 업체가 어디가 될 것인가에 따라 또 한번 큰 반향을 일으키지 않을까 한다. 현재 언급되고 있는 제조업체는 델, 도시바, MSI 등이 거론되고 있으며 이미 구글 넥서스원 등을 통해 기술력을 인정받은 HTC와 안드로이드폰인 드로이드로 짭짤한 재미를 본 모토로라도 안드로이드 태블릿 P..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