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LG유플러스향 갤럭시탭 SNS를 통해 반값 구매 찬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면 유플러스 SNS 서비스를 주목하라! 최근 급부상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인기에 힘입어, 이동통신사 주도로 소셜 쇼핑이 등장해 화제가 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자사가 운영하고 있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에서 갤럭시탭을 반값에 구매할 수 있는 프로모션을 15일부터 18일까지 나흘간 실시한다고 밝힌 것. '갤럭시탭 프로모션' 공지글에 대한 RT(리트윗)/좋아요/미투의 총합이 3천건이 넘어갈 경우 선착순 100명에게 갤럭시탭을 50% 할인된 가격에 제공할 예정이다. RT/좋아요/미투를 통해 참여한 사용자들 중에도 매일 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에서 각각 3명씩 추첨해 다양한 경품이 매일 제공된다. 이 외에도 매일 각 SNS 당 3.. 더보기
SNS 서비스 와글(Wagle)과 플레이스북(placebook) 살펴보기 한국 사용자들에게 맞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오픈 플랫폼(Open Platform)이 등장했다. LG유플러스가 와글(Wagle)과 플레이스북(placebook) 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2종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내놓으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사업에 진출하게 됐다. 국내 통신사업자 중에서 독자적으로 SNS를 개발해 출시한 것은 LG유플러스가 처음이다. 이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출시를 시작으로 SNS 사업에 본격적인 행보를 준비하고 있다. 그동안 LG 유플러스는 ‘탈통신’을 위한 미래 성장 동력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주목하고 지난 11월 페이스북과 SNS에 대한 포괄적 협력을 맺고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한바 있다. 새롭게 선보인 와글(W.. 더보기
넷북을 스마트폰에 연결해 활용성을 높여보자 스마트폰의 빠른 확산과 함께 전체인구의 스마트폰 가입자 수가 1/7(약 700만명)이 넘었다. 하지만 정작 트렌드에 뒤쳐지지 않거나 디자인이 예뻐서 구매하는 사용자가 상당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기능 중 인터넷 웹 서핑과 DMB 및 멀티미디어 감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점은 스마트폰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스마트폰으로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기능을 이용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으로 위치정보를 활용한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들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토론의 장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은 상당히 매력적이다. 이뿐만아니다. 테더링 기능을 이용해 모바일기기에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다. 이.. 더보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재 탄생한 교보문고 ebook 교보문고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가 접목된 아이폰용 전자책 애플리케이션 ‘교보 ebook’을 선보였다. 12월 현재 교보문고 전자책은 8만종에 달하는 콘텐츠에 매월 1000종 이상이 신규 등록되고 있는 상황에서 아이폰용 교보 ebook 애플리케이션의 출시는 눈길을 끈다. 먼저 아이폰 사용자들도 국내 서적을 맘껏 즐길 수 있게 됐다. 그동안 국내 전자책 서비스를 제한적으로 이용할 수 있었던 상황과 달리 새롭게 출시된 아이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자책 검색부터 구매, 책 읽기 등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 아이폰의 교보문고 eBook 어플리케이션은 출시 후 일 500건 씩 다운로드 되고 있다. 이로써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국내 전자책 시장의 표준 규격인 ePub기반 콘텐츠를 접할 수 있다. .. 더보기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카카오톡 서버 불안정 '해킹탓?' 스마트폰용 메신저 카카오톡의 잦은 접속장애로 해킹 의혹이 불거진 가운데 1시간 50여분만에 정상 복구됐다. 17일 카카오톡의 개발사인 아이위랩은 "서비스 장애 및 재인증 오류에 대한 사과 공지"를 올리며 이에 대해 해명했다. 아이위랩에 따르면, "17일 낮 12시 서버의 하드웨어 장애로 인하여 일부 유저에게 재인증을 받게 하는 현상이 발생했다"며, "이에 따라 급히 서비스를 중단하고 정상화 작업을 진행하여 오후 1시50분부터 서비스가 정상화 됐다"고 밝혔다. 이어 "재인증 오류를 경험한 유저분들의 채팅내역이 초기화된 점에 대해서 진심으로 머리숙여 사과드린다"며, "앞으로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서비스 안정화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일부 사용자들은 "단기간 가입자가 증가.. 더보기
2011년 국내 IT 시장 전망은? IT 시장 분석 및 컨설팅 기관인 한국IDC는 15일 주요 고객사를 초청해 개최한 ‘2011년 한국 IT 시장 전망 조찬세미나’에서 이 같이 전망하고, 아울러 2011년 예상되는 국내 정보통신 시장의 주요 이슈와 트렌드를 조망, 한국IDC가 내다본 2011년 10대 예측 (Top 10 Predictions)을 소개했다. 다음은 한국IDC가 선정한 2011년 10대 예측(Top 10 Predictions)이다. #1. 2011년 국내 IT 시장, 이전 성장세를 회복하며 정상궤도로 복귀 2011년 전세계 IT 시장은 1조 6천억달러를 기록하며 2010년 대비 5.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흥시장(Emerging Markets)의 회복세가 가속화됨에 따라 새로운 IT 순지출액의 절반 이상을 이 시장이 창.. 더보기
개방형 네트워크 '유플러스존 관리시스템'을 도입한 LG유플러스 무선 네트워크 무한 경쟁의 시대가 막이 올랐다. LG유플러스가 100Mbps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선보이게 된 것. 갤럭시 탭 와이파이(WiFi) 모델이 KT와 LG유플러스를 통해 출시되는 것에 발맞춰 LG유플러스는 지난 11월 29일 서울 LG광화문 빌딩에서 와이파이망을 하나의 네트워크처럼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네트워크 ‘U+zone(유플러스존)’을 공개했다. 새롭게 구축된 개방형 네트워크 U+zone은 타사와 달리 100Mbps의 빠르고 안정적인 유선망에 연결된 100만개의 와이파이 AP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며, 추가로 1만 6천개의 와이파이존을 원격으로 실시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U+zone 관리시스템’으로 서비스를 보완한다. 특히 태블릿PC와 스마트폰의 보급이 본격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가.. 더보기
[타블렛 코드 2010] 모바일 게임 개발 전략 더 넓은 세상을 향해 아이패드와 갤럭시 탭으로 촉발된 스마트 태블릿 시장의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타블렛 코드 2010이 30일 개최됐다. 이날 모바일 게임을 전문으로 개발하는 컴투스 심수광 이사가 나와 ‘모바일 게임전략, 더 넓은 세상을 향해’로 발표했다. 이날 컴투스 심수광 이사가 발표한 주요 내용을 정리해서 소개해보고자 한다. 미국시장의 게임 시장을 살펴보면 피처폰 게임 시장의 감소는 눈에 두드러지고 있으며, 스마트폰 게임 시장은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이마케터에서 발표한 2010년 7월 미국 모바일 수익 전망을 살펴보면, 유료 수익이 5억9천2백2십만달러, 광고 수익이 3천5백5십만달러에 불과했던 2009년에 비해 2010년에는 유료 수익이 7억9천3백4십만달러, 광고 수익이 5천5백5십만달러로 증가하고 오는 20.. 더보기
애플 아이폰 도입 1주년 무엇이 바뀌었나? 스마트폰인 아이폰이 지난 28일로 국내 도입 1주년을 맞았다. 스마트폰의 대중화를 촉발시킨 애플 아이폰은 우리 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온라인 생태계를 뒤바꿨다. 이동통신사와 제조사가 주도했던 폐쇄적인 모바일 시장을 개방시켰고, 수직적인 구조를 가진 콘텐츠-플랫폼-네트워크-단말기 간에 상호 유기적인 구조로 변화시켰다. 이는 하드웨어 중심의 산업에서 소프트웨어의 산업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아이폰으로 촉발된 스마트폰 시장 스마트폰 시장이 급속도로 확산된 이유로 아이폰의 출시와 아이폰의 시장 확대를 저지하기 위한 모바일 휴대폰 제조사간의 대결구도와 SK텔레콤과 KT의 스마트폰 주도권 싸움을 내건 힘겨루기를 꼽을 수 있다. KT가 아이폰3GS를 출시하며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났.. 더보기
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Wi-Fi IP 카메라 모듈 출시 웨이투텍은 지난 23일 메가 픽셀 영상을 압축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로 실시간 전송하는 ‘Wi-Fi IP 카메라 모듈(WTT-M442W)’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Wi-Fi IP 카메라 모듈은 기존 출시한 제품에 IEEE802.11b/g 무선랜 모듈을 추가한 제품으로 CCTV 카메라 제조업체가 CCTV 카메라를 유/무선 IP 카메라로 업그레이드 하려는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기획됐다. 이 제품은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채택하여 CCTV 카메라 업체가 별도의 하드웨어 추가 없이 박스 및 돔형 유/무선 IP 카메라 제품을 손쉽게 출시가능 하도록 하였다. 네트워크 카메라 모듈은 42mm X 42mm X 25mm 크기로 HD급(720P) 영상을 H.264, MPEG4 그리고 MJPEG 방식으로 압축가능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