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썸네일형 리스트형 [컬럼] 4G LTE 반발심리, 갤럭시 노트 해외 역수입 현상으로 발전 [컬럼] 4G LTE 반발심리, 갤럭시 노트 해외 역수입 현상으로 발전 갤럭시 노트가 국내 출시를 앞둔 가운데 국립전파연구소에 아직 출시되지 않은 해외판 갤럭시 노트가 몰려들고 있어 이목을 끌고 있다. 이 글을 읽기 전에 추천을 눌러주시면 더욱 많은 분들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dtalker.tistory.com http://www.dtalker.net http://blog.naver.com/dtalker 4G LTE용 갤럭시 노트가 12월 출시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그런데 국내 사용자들의 심상치 않은 움직임이 포착되면서 이상한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는 것. 특히 갤럭시 노트 구매로 인한 추가 비용까지 감수하면서까지 해외에서 출시된 갤럭시 노트를 구매하려는 사용자들이 줄을 잇고 있다. 더군다나 .. 더보기 국제전화 애플리케이션 스마트002보다 더 좋은 앱(App)은?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한 가정에 한대 이상씩은 보유하게 된 스마트폰. 기존의 휴대폰을 사용해왔던 사용자에게 스마트폰은 어려운 물건인 것처럼 느껴집니다. 그래서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방법을 간간히 소개하고자 이렇게 글을 작성해 봅니다. 해외 출장이나 해외 통화를 가끔해야 할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070 와이파이폰을 사용하거나 그와 관련된 앱 또는 스카이프(Skype)를 사용합니다. 그런데 주변을 둘러보면 아직도 001, 002, 00700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시는 분들도 상당수 계셨습니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면 각 국가별 번호를 일일이 눌러줘야 한다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했는데요. 때마침 LG유플러스에서 스마트폰용 국제전화 애플리케이션 ‘스마트002’를 출시했습니다. | 스마트002 애플리케이션의 특징.. 더보기 2D 동영상 이젠 3D로 보자 '3D 블루레이 광 디스크 드라이브 국내 첫 출시' LG전자가 일반 2D 동영상에 3D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3D 블루레이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 모델명: BE12LU30)’를 25일 국내 시장에 처음 선보였다. 이 제품은 일정 사양 이상의 PC와 3D 모니터에 연결해 일반 DVD 타이틀이나 다양한 포맷의 비디오 파일을 재생할 때 입체 효과를 느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에 보유한 PC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3D모니터와 안경만 추가로 구매해 3D 입체영상을 즐기기 원하는 실속파 소비자들을 겨냥한 제품이다.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로서의 기본 기능과 편의 기능도 강력하다. 세계 최고 수준인 12배속의 기록 속도를 갖춰 25기가바이트(GB) 용량의 블루레이 디스크를 단 .. 더보기 미러리스카메라의 후속제품 NX100 국내 출시 미러리스 카메라 시장의 주도권 전쟁이 시작됐다. 지난 9월 14일 홍콩에서 공개한 삼성 NX100을 국내 전국 삼성전자 매장을 통해 8일 선보인 것.삼성NX100 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 NX10과 마찬가지로 1,460만 화소 대형 APS-C 타입의 CMOS 이미지 센서를 채용했다. 전자식 뷰파인더를 적용해 DSLR 같은풍부한 색상과 섬세한 고화질을 구현했다. 그리고 가로 12cm, 두께 3.4cm, 무게 282g의 소형화도 실현했다. 또한 손가락 끝에서의 완벽한 사진을 컨셉으로 삼성이 독자 기술로 개발한 세계 최초 기능 조절 렌즈 i-Function렌즈를 적용, 사용자들이 렌즈 자체의 버튼을 이용해 카메라의 ISO(감도)•EV(노출)•WB(화이트밸런스)•셔터스피드•조리개 等 각종 설정값을 포커스 링으로.. 더보기 아이패드 출시부터 지금까지의 사건전개 아이패드 출시부터 지금까지의 사건전개 4월 15일이후 관세청이 국내 반입에 관련하여 전파인증과 형식등록을 거치지 않은 아이패드 반입을 제지하자 네티즌들의 거세게 반발하는 모습니다. 일련의 사건 전개를 살펴보면 이렇다. - 4월 3일 아이패드 출시에 맞춰 예약 구매한 아이패드를 개인사용자가 국내로 반입했고, 아이패드를 수령한 일부 사용자들이 온라인 공개 - 4월 7일 오전 10시 45분 온라인 IT매체(아이뉴스24)를 통해 아이패드 구매대행 기사화 “국내 얼리어탑터 “아이패드 지금 사자” - 4월 7일 오후 아이패드의 구매대행이 매체를 통해 공개되면서 커뮤니티로 아이패드 구매대행 열풍이 확산되기 시작. - 4월 10일 전후 11번가, G마켓, 옥션 등 아이패드 판매 매물 오픈마켓에 등장. - 4월 13일경.. 더보기 애플 iPad(아이패드)가 국내 출시하면 실패한다. “애플 iPad(아이패드) 과연 성공할까?” 27일 오전 10시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애플 신제품 발표가 공개된지 7시간(국내기준)이 지났다. 공개되자마자 애플 iPad(아이패드)를 놓고 온라인에서 열띤 토론 공방전이 팽팽하게 이어지는 분위기다. iPad(아이패드)가 공개되기 전까지 “애플이니까” “애플은 뭔가 기대하게 만드니까” “뭔가 새로운 퍼포먼스로 우리를 놀라게 하지 않을까?” 라는 기대감이 팽배했지만 기대가 컸던 만큼 아쉽게 느껴져서 일까? 생각보다 커다란 이슈가 되기엔 부족한 모습들을 여기저기서 노출했다. 이번 신제품 발표회에서는 이전에 공개한 맥북에어를 뛰어넘는 퍼포먼스를 보여줄 것으로 기대했지만 애플 iPad(아이패드)의 퍼포먼스는 너무 밋밋했다. 아마도 건강을 갓 회복한 스티브 잡스.. 더보기 국내 첫 안드로이드폰 모토로이 ‘예약가입 이벤트 실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탑재한 모토로이 예약가입실시” SK텔레콤은 국내 최초 안드로이드OS 탑재 모토로라社의 스마트폰 ‘모토로이(MOTOROI)’ 정식 출시에 앞서, 주요 온라인 쇼핑몰과 전국 SK텔레콤 대리점에서 26일 18시부터 다음달 4일까지 예약가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예약가입은 안드로이드 탑재 스마트폰을 기다려온 고객들에게 먼저 사용기회를 제공하고, 특히 한시라도 빨리 애플리케이션 테스트를 필요로 하는 개발자들을 위해 시행하게 되었다고 SK텔레콤은 덧붙였다. ‘모토로이’는 2월초 SK텔레콤에서 독점 출시할 예정으로, ‘구글 안드로이드OS 2.0’을 탑재하여 애플리케이션 개방성이 뛰어나며, 3.7인치 고해상도 풀터치 스크린과 800만 화소 카메라, 지상파 DMB 기능을 지원하는 등 하드웨어.. 더보기 국내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 시장 3,570억원대 예상 “국내 데이터베이스 시장 6.6% 성장했다” IT 산업분석 및 컨설팅 기관인 한국IDC가 최근 발간한 '한국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시장 분석 및 전망 보고서, '2009-2013'에 의하면, 2009년 상반기 국내 DBMS시장은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한 1,754억원대 규모를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에서 기업 인텔리젼스 구현을 위한 대용량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업체들도 데이터웨어하우스 어플라이언스나 신제품 출시를 통해 관련 수요에 대응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데이터의 가용성 확보나 운용 비용절감을 가능케 하는 관리 기능들을 제시하며 윈백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이러한 공급 업체들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및 윈백.. 더보기 국내 최초 트위터 기반 고객지원 서비스를 선보인 넷킬러 고객 지원 서비스를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연동이 가능한 서비스 클라우드 솔루션이 탄생했다. 넷킬러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넷킬러 IT 헬프 데스크’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바로 기업의 마케팅이 변화하면서 소셜 네트워크까지 진출했고, 트위터 활용이 많아졌기 때문. 트위터 기반 고객지원 서비스는 현재 델 컴퓨터와 구글 등이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델 컴퓨터의 경우 150만이 넘는 팔로우를 보유할 정도로 고객 영업과 지원 서비스에 잘 활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CNN이 아이티 재난 모금 행사를 트위터로 진행하기도 하였다. 넷킬러는 제품 출시에 맞춰 주요 고객사들에게 온라인 시연을 진행함과 동시에 관련 동영상과 자료를 홈페이지에 게시하였다. 또한, 넷킬러 트위터(twitter.com/NetkillerKorea)를.. 더보기 게임 마케팅을 접목해 국내 마케팅 트렌드를 이끌어 간다. SEOUL, Korea (Dtalker David) – “점차 치열해지는 국내 마케팅 시장 각광받고 있는 마케팅은 무엇일까?” 요즘 10~20대의 구매력은 온라인에서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대부분 국내 온라인 마케팅은 유행에 민감한 10~20대를 타겟팅한 마케팅으로 소통하고자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으로 접근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최근 조명받고 있는 것이 In-Game Ad(게임 내 광고, 이하 IGA) 캠페인이다. 과거부터 1020세대의 여가활동 수단인 ‘게임’을 활용하는 방법은 시도되어 왔지만, 온라인 배너와 비교할 때 턱없이 오래 걸리는 준비기간과 부담스러운 예산으로 인하여, 사실상 몇몇 빅 브랜드들만이 시도할 수 있는 매체로 범위가 한정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몇 년 전부터 집행결과를 객관적으로 ..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