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폰 썸네일형 리스트형 LG전자 첫 윈도우폰 7 프로토 타입 공개 LG전자 첫 윈도우폰 7 프로토 타입 공개 엔가젯을 통해 LG전자의 윈도우폰 7 프로토 타입이 공개됐다.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애론우드만은 엔가젯(Engadget) 쇼에 이 기기를 공개했다. 프로토 타입인 만큼 차후 디자인이나 스펙에 있어 사양이 변경될 가능성이 높은 듯 하다. 쿼티(QWERTY) 키패드를 내장하였으며 Zune HD를 닮은 UI, MS 기반의 스마트폰에 항상 담겨있는 홈버튼, 500만 화소 카메라, 플래시, 3.5파이 이어폰잭 등이 담겨있다. 특히 두께의 경우 쿼티 키패드를 내장하여 아이폰, 넥서스원 보다 약간 두껍다고 한다. 더보기 MS 와 Asus 가 결합한 윈도우 폰 7 내년 출시 MS 와 Asus 가 결합한 윈도우 폰 7 내년 출시 윈도우 모바일의 마이크로 소프트(MS)와 노트북, 넷탑, 스마트폰 등 제조업체인 아수스(언제부터냐고 물어본다면 2006년 이미 보다폰을 통해 출시한 이력이 있다.)가 퓨전으로 결합하여 내년 윈도우폰7 (Windows Phone 7)을 출시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담은 스마트폰을 HTC가 제조하고 구글 브랜드를 넣는 방식으로 판매하고 있는 구글폰 넥서스원과 동일하게 MS의 윈도우 모바일 7 운영체제를 넣은 스마트폰을 Asus가 제조하고 윈도폰이라는 브랜드로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사실 MS는 구글이 HTC를 통해 구글폰을 내놓는다는 점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낸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소식이 인터넷 검색페이지에서 마르기도 전.. 더보기 구글폰에 이어 MS폰 핑크폰? 무시무시할까? 구글이 넥서스원을 내놓을 때만 하더라도 MS는 구글을 비판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비판이 제 머리속에서 지워지기도 전에 MS폰을 내놓는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제프리스 증권 캐서린 에그버트 분석가는 MS가 다음달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는 모바일 월드컨그레스(MWC)나 3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TIA 행사에 공개될 것이라는 소식입니다. 사실 이러한 이야기는 작년부터 흘러나왔던 것으로 핑크폰이라는 이름으로 불려지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다양한 디자인의 핑크폰이 기즈모도를 통해 공개된 적도 있습니다. 이 핑크폰이라는 이름이 사실일지 어떨지는 모르겠지만 MS가 폰을 만든다고 할때 가장 먼저 또오른것은 바로 준HD(Zune HD)였습니다. CES 2010 엔비디아 부스에서도 볼수 있었지만 준HD의 UI를.. 더보기 구글 넥서스원(Nexus One) 스펙 공개 - 구글에서 출시하는 안드로이드폰 스펙 공개 SEOUL, Korea (Dtalker Edith) – 구글이 직접 휴대폰 업계에 뛰어든다는 소식만으로 큰 이슈를 이끌어낸 넥서스원(Nexus One)의 스펙이 엔가젯(engadget)을 통해 공개되었다. 원문 출처 : http://kr.engadget.com/2009/12/28/nexus-one/ 제조는 물론 판매까지 직접 진행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넥서스원은 현재 구글 내부에서 테스트중으로 내년 1월 판매될 것이라고 전해졌다. 엔가젯을 통해 공개된 넥서스원의 스펙을 보면 3.7인치 WVGA(800X480) AMOLED 정전식 터치스크린, 퀄컴의 스냅 드래곤(Snapdragon, 1GHz, Qualcomm QSD 8250), RAM 512MB, 내장메모리 51.. 더보기 2009년 모바일 시장의 정답은? 스마트폰? 터치폰?, No!! 터치 스마트폰! [IT News BlogTimes] 2009년 모바일 시장의 정답은? 스마트폰? 터치폰?, No!! 터치 스마트폰! 지난 2월 12일 2009, 대격돌하는 스마트폰 vs 터치폰!(http://media.blogtimes.org/218)이라는 제목으로 2009년 모바일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스마트폰과 터치폰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모바일 시장에서 선보일 전략폰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겠다. 국내에선 2005년 4월부터 적용한 무선 인터넷 표준화 정책(WIPI)이 스마트폰의 활성화에 걸림돌로 작용한 반면, 해외에서는 스마트폰이 모바일 시장에서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올 4월부터 무선 인터넷 표준화 정책(WIPI)이 의무적인 규제 조항을 삭제하는 방식으로 ‘전기통신설비상호접속기준’을 개정하..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