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갤럭시S

[CES2011] LG 또 하나의 옵티머스 ‘옵티머스 블랙’을 선보이다. [CES2011] 또 하나의 옵티머스 ‘옵티머스 블랙’을 선보이다. LG전자는 또 하나의 옵티머스 옵티머스 블랙(Optimus Black)을 CES2011을 통해 공개했다. 옵티머스 블랙은 측면 최소 6mm에서 최대 9.2mm 두께, 109g 무게 등 초슬림한 디자인을 채용했으며 업계 최초로 700nit 화질을 제공하는 4인치 노바(NOVA) LCD 디스플레이를 내장하였다. 우연의 일치인지 삼성 역시 8.99mm 인퓨즈4G를 선보이며 올 한해 초슬림형 스마트폰이 대세로 이어지지 않을까 하는 성급한 예상도 흘러나오고 있다. 참고로 갤럭시S와 아이폰 4보다 얇은 두께를 자랑한다. 옵티머스 블랙이 담고 있는 노바 디스플레이는 기존 IPS LCD 패널 대비 더욱 작은 격자무늬를 적용하여 더 많은 빛을 통과하면서.. 더보기
[CES2011] 삼성 스마트폰 생각보다 볼 것이 없다? [CES2011] 삼성은 스마트폰 생각보다 볼 것이 없다? 전세계 1000만대 판매를 이끈 갤럭시S로 삼성 스마트폰 분야의 전환점을 이끌어낸 삼성은 한해의 시작을 알리는 CES2011에 거는 기대가 클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막상 열린 첫날 삼성 스마트폰 부스를 보면 4G 제품은 아직 베일에 가려져 있고 나머지 제품들 역시 그간 보여준 삼성만의 놀라움을 보여주지 못한 듯 하다. CES2011을 통해 공개된 삼성 스마트폰은 통신사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출시된 갤럭시 S 시리즈와 현재 구글 레퍼런스폰 넥서스S, 바다플랫폼을 담은 웨이브폰2 그리고 윈도폰7 1위를 달리고 있는 포커스 정도만 있을 뿐 새로울 것이 없다라는 분위기다. 물론 CES2011 AT&T 개발자 대회 부스를 통해 8.99mm 두께의 초슬.. 더보기
갤럭시 플레이어의 가능성과 문제점은 무엇? 갤럭시 플레이어의 가능성과 문제점은 무엇? 1월 3일인 어제 삼성은 첫번째 안드로이드 기반의 MP3 갤럭시 플레이어를 처음 공개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 행사는 갤럭시 플레이어에 대한 자세한 스펙 및 가격 그리고 블로거들의 다양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갤럭시 플레이어의 가능성을 보다! 갤럭시 플레이어(이하 갤플)는 갤럭시S와 거의 흡사한 모습을 하고 있다. 차이점은 전화기능이 없으며 4인치 Super Amoled가 아닌 Super clear LCD 그리고 320만 화소 카메라와 약간의 디자인의 변화 정도일뿐 그 외는 갤럭시S와 동일하다. 그렇다면 갤럭시S를 사지 왜 갤플을 사? 여기서 첫번째 가능성을 볼 수 있다. 스마트폰인 갤럭시S와 겹치는 부분이 분명 있지만 통신사와의 약정 없이 .. 더보기
삼성 레퍼런스 폰 넥서스S 국내 출시될까? 삼성 레퍼런스 폰 넥서스S 국내 출시될까? 삼성은 구글 레퍼런스폰 넥서스S를 출시했다. KT를 통해 구글 넥서스원이 출시된 만큼 넥서스 S도 곧 국내 시장에 출시될 것이다라는 추측이 흘러나왔다. 하지만 넥서스S가 정말 출시될 수 있을까? 결론적으로 말하면 넥서스S 출시는 부정적이다. 일각에서는 SKT를 통해 현재 검토중이라는 소식도 흘러나오지만 넥서스S에 대해 조금만 들여다 보면 그 가능성은 상당히 낮다고 보여진다. (아이폰만 보더라도 SKT가 검토만 참 잘하는 업체이기도 하다.) 그 첫번째 이유는 넥서스S가 레퍼런스폰이기 때문이다. 모든 단말기에는 이동통신사화된 서비스들이 들어간다. 예를 들면 SKT 폰에 들어가는 T스토어나 T맵, 멜론등이 대표적이다. 커스톰화된 서비스를 출시 단말기에 담아냄으로써 통.. 더보기
삼성 모바일폰 시장 3년 내 노키아를 넘어선다? 삼성 모바일폰 시장 3년 내 노키아를 넘어선다? 삼성은 휴대폰, 스마트폰 등 모바일 폰 시장에 있어 노키아를 넘어 세계 1위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삼성은 휴대폰으로 처음 세계시장을 두드린 이후부터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갤럭시S로 1000만 판매를 이끈 지금까지 꾸준한 성장을 이끌었으며 앞으로도 더욱 가파른 상승을 이끌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금의 자리를 지켜나가고 또 1위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삼성은 내년을 중요한 해를 보고 전체 모바일폰 생산 중 절반 이상을 스마트폰과 프리미엄급 폰으로 출시할 예정이고 밝혔다. 더불어 내년 중국, 베트남 등 생산라인을 확대할 예정으로 중국은 전체 생산량의 60%를 베트남은 15%, 브라질 6%, 인도 5% 정도로 생산을 계획하고 있으며.. 더보기
갤럭시S 후속모델 내년 2월 출시된다? 갤럭시S 후속모델 내년 2월 출시된다? 1000만대 판매고를 기록한 갤럭시S 후속모델은 과연 어떤 제품일까? 삼성전자 갤럭시S의 후속모델이 내년 2월 출시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갤럭시S 후속모델은 듀얼코어 프로세서를 담고 있으며 4.3인치 AMOLED와 안드로이드 2.3 진저브레드를 채용했다. 여기에 넥서스 S에도 내장된 근거리 통신기술 NFC와 자이로스코프를 담고 있다. 내년 LG전자 옵티머스 2X등을 시작으로 듀얼 프로세서를 채용한 단말기가 대거 출시될 것으로 보이면서 갤럭시 S 후속모델 역시 성능을 향상을 위해 듀얼 코어 프로세서를 채용 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갤럭시S 후속모델은 일정에 차질이 없을 경우 내년 2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 모바일 월드콩그레스를 통해 첫선을 보인다는.. 더보기
바다폰 S5330, 중국 시장으로 출시? 삼성전자의 바다 플랫폼을 탑재한 Wave 2 Pro(S5330)이 중국에 출시됐다. 갤럭시S와 비슷한 디자인을 가진 Wave 2 pro(S5330)는 Wave 2(S5250)와 달리 쿼티(QWERTY) 키보드가 장착됐다. 보급형 스마트폰인 Wave 2 Pro은 3.2인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채용했다. 지원해상도는 WQVGA급(240 x 400)을 제공하고 슬라이드 방식의 쿼티(QWERTY) 키보드를 탑재했다. 그리고 내장메모리 100MB, 외장 메모리 16GB 카드 슬롯, 300만 화소의 웹캠, GPS 등을 탑재했다. 통신방식은 쿼드밴드(EDGE/GPRS) 850/900/1,800/1,900 MHz를 제공하고 WAP 2.0 방식의 브라우징을 환경을 지원한다. 한편, S5330은 영국에서 최저 290달.. 더보기
넷북을 스마트폰에 연결해 활용성을 높여보자 스마트폰의 빠른 확산과 함께 전체인구의 스마트폰 가입자 수가 1/7(약 700만명)이 넘었다. 하지만 정작 트렌드에 뒤쳐지지 않거나 디자인이 예뻐서 구매하는 사용자가 상당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기능 중 인터넷 웹 서핑과 DMB 및 멀티미디어 감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점은 스마트폰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스마트폰으로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기능을 이용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으로 위치정보를 활용한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들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토론의 장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은 상당히 매력적이다. 이뿐만아니다. 테더링 기능을 이용해 모바일기기에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다. 이.. 더보기
삼성 갤럭시 S 올 한해 최고의 기기로 선정되다. 삼성 갤럭시 S 올 한해 최고의 기기로 선정되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S만 바라봐도 흐뭇한 미소가 지어질 듯 하다. 단순히 판매량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우수한 제품으로 선정까지 되었으니 말이다. 전세계 1000만대 판매고를 올려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한 갤럭시 S가 그 완성도면에 있어서도 공신력 있는 매체를 통해 우수제품으로 선정되었다. 월스트리트저널 칼럼리스트 월터 모스버그가 선정한 올해 최고의 전자기기에 1위 아이패드 2위 4G 무선 네트웍 그리고 3위에 아이폰 4와 갤럭시 S를 선정했다. 갤럭시 S 선정 이유에 대해 스마트폰 시장에서 안드로이드의 위상을 높이는데 큰 몫을 했다는 이유를 들었다. 반면 월터 모스버그가 선정한 최악의 제품은 KT를 통해 출시되는 델 스트릭이 1위를 차지했고 2위는 갑작스레.. 더보기
2010년 IT 모바일 5대 핫 이슈 다사다난했던 2010년을 뒤돌아보면,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이슈가 만들어졌다. 디토커(Dtalker)는 2010년 한 해 동안 국내 IT시장에서 이슈가 되었던 사건들을 꼽아봤다. 이름하여 '2010 IT 모바일 5대 핫이슈'이다. 스마트폰 열풍(아이폰4vs갤럭시S) 먼저 첫번째로 꼽고 싶은 이슈는 스마트폰 열풍이다. 12월 현재 국내에 보급된 스마트폰이 500만대를 넘어설 정도로 휴대폰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 상황이 이러다보니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아이폰, 갤럭시S와 같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을 정도로 스마트폰 대중화가 진행되고 있다. 아이폰으로 시작된 스마트폰 열풍은 삼성전자가 야심차게 내놓은 갤럭시S로 인해 아이폰vs갤럭시S의 대결구도는 경쟁을 부추겼다. 또한 스마트폰 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