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러리스 및 보급형 카메라 최초로 AMOLED를 채용한 NX10
“제 3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다”
“세상을 보는 제 3의 눈, NX10”
“DSLR의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한 미러리스 카메라”
2008년부터 올림푸스(G 시리즈)와 파나소닉(PEN E-P 시리즈)에서 제품들이 출시되며, 마이크로 포서드라는 새로운 포맷 기준이 마련됐다. 마이크로 포서드 시스템은 등장과 함께 DLSR 카메라와 일반 콤팩트 디지털카메라 시장으로 양분되어 있던 시장에 작은 파문을 던졌다.
새로운 디지털카메라 규격으로 떠오른 마이크로 포서드는 휴대성에서 뒤떨어지는 DSLR 카메라를 극복하고자 탄생하게 됐다. 소형과 및 경량화를 꾀하기 위해서 미러리스 방식을 적용한 올림푸스와 파나소닉은 마이크로 포서드 규격을 준수한 제품군을 선보이며 조금씩 자리잡아 나갔다.
미러리스 방식이란 미러(반사 거울)와 광학식 뷰파인더를 제거하고 플랜지백 거리(센서와 마운트 사이의 거리)를 획기적으로 줄인 카메라이다. DSLR 카메라의 특징인 미러박스와 광학식 뷰파인더가 없는 대신 DLSR 카메라의 다양한 렌즈를 사용할 수 있고, 전자식 뷰파인더를 사용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포서드 시스템은 디지털 DSLR 카메라를 겨냥한 통일된 이미지 센서 크기와 규격을 공유한다. 일반 콤팩트 디지털카메라에 비해 큰 센서를 채용했기 때문에 DSLR 카메라처럼 화질이나 표현력이 콤팩트 디지털카메라에 비해서 뛰어나다.
이렇게 DLSR 카메라와 경쟁하던 렌즈 교환식 미러리스 카메라는 휴대성과 DSLR급 사진 퀄리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기대이상의 사랑을 받으며 디지털카메라가 시장에서 새로운 다크호스로 떠올랐다.
그런 가운데, 디지털카메라 시장이 점차 치열해지면서 디지털카메라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점차 성장폭이 둔화된 반면 보급형 DSLR 카메라 시장이 오히려 눈에 띄게 늘어났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소비자의 니즈가 변화하자 삼성전자는 기다렸다는 듯이 NX10을 출시했다. 바로 DSLR GX-10, GX-20을 출시한 경험을 바탕으로 하이브리드 디지털카메라 NX10을 출시한 것.
그동안 삼성전자에서 가장 먼저 출시된 DSLR GX-10, GX-20은 중급형 DSLR 시장에 초점을 맞춘 제품으로 보급형 DSLR 카메라 시장을 효과적으로 공략하기 어려웠다. DSLR 카메라는 일반 디지털카메라보다 화질이 뛰어난 장점이 있지만 일반 디지털카메라보다 무거워 휴대성이 떨어지고 렌즈, 플래시, 삼각대 등 부수기재를 별도로 구매하고 휴대해야 한다는 점에서 불편했다. 더구나 성능에 따라서 가격이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간다는 점은 소비자가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DSLR 카메라와 디지털카메라의 장점을 적절하게 접목시킨 하이브리드 디지털카메라 NX10의 출현은 미러리스 카메라 시장 확대 측면에서 볼 때 DSLR 구입을 고려하고 있는 소비자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군살을 쏙 뺀 슬림한 디자인”
삼성 NX10 디자인에 대한 유저들의 평가는 극과 극을 달린다. “하이브리드 카메라의 개성이 없다”라는 비판적 평가와 “미니 DSLR 카메라를 연상시키는 디자인, 한 손에 쏙 들어오는 크기는 매력적이다”라는 긍정적 평가가 엇갈렸다. 특히 작은 크기와 휴대성을 중시하는 여성 사용자들에게 후한 평가를 받은 점은 주목할 만하다.
미러리스 방식으로 설계된 삼성 NX10은 렌즈 마운트부터 센서 사이의 거리를 줄여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였기 때문에 깔끔하게 세련된 초박형 디자인을 강조했다. 뿐만 아니라 마감의 완성도가 뛰어나 고급스러운 면모도 갖고 있다.
삼성 NX10은 직선적인 멋을 강조한 필름카메라의 외형과 아날로그적인 느낌을 접목한 하이브리드 디지털카메라와 달리 안정감 있는 전통적인 DSLR 카메라 디자인과 현대적인 스타일을 풍긴다. 라운드 처리된 바디 상단의 내장플래시 겉부분은 NX10을 전체적으로 아기자기한 느낌을 전해준다. 그립 부위를 살펴보면 작은 바디의 크기를 고려했을 때 손의 밀착감과 미끄럼 방지 기능은 우수한 편이다. 특히 안정적인 사용감을 위한 고무 재질의 그립부는 복고풍의 디자인이 적용돼 필름 카메라나 DSLR 카메라 등 아날로그의 향수를 불러 일으킨다.
또한 장시간 들고 다닐 수 있도록 DSLR의 휴대성을 극대화한 점도 눈에 띈다. 123(W) x 87(D) x 39.8(H) mm의 크기를 가진 NX10은 렌즈 미장착시 420g, 30mm 렌즈(캡 포함) 장착시 497g, 18-55mm 렌즈(캡 포함) 장착시 618g으로 가볍다. 특히 배터리를 포함한 무게이기 때문에 배터리 55g의 무게를 제외하면 더욱 가벼워 진다. DSLR의 보급형 제품들 중 배터리, 메모리카드 바디캡을 제외한 무게가 평균 500g이다. 여기에 NX10처럼 바디캡, 메모리카드, 배터리의 무게를 감안하면 약 80g정도 되기 때문에 합산하면 평균치는 580g에 육박한다. 또한 DSLR이 금속재질의 바디를 채용했다면, NX10 바디는 생활흠집에 강한 재질과 무게를 줄인 강화 플라스틱을 사용해 휴대성을 높였다. 군살을 쏙 뺀 날씬한 몸매 덕분에 DSLR 카메라 GX20 대비 두께는 45%, 무게는 43% 줄어든 두께와 크기를 갖고 있다. DSLR을 구입하고도 무거운 무게 때문에 컴팩트 카메라를 다시 구입하거나 촬영 횟수가 줄어들었다면 NX10으로 인해 그럴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제품명 |
NX10 |
제조사 |
삼성전자(구 삼성디지털이미징) |
브랜드 |
삼성전자 |
구분 |
하이브리드 카메라 |
줌 |
렌즈 교환식 |
화소 |
1460만 화소 |
LCD/해상도 |
3.0인치 - 61만 4천화소(AMOLED-640 x 480) |
LCD방식 |
고정식 |
센서방식 |
CMOS |
센서크기 |
1:1.5인치 |
ISO지원감도 |
자동, ISO 100, 200, 400, 800, 1600, 3200 |
셔터스피드 |
30 - 1/4,000초 |
초점방식 |
형식 : 콘트라스트 자동 초점 방식 |
접사영역 |
30mm 접사 렌즈(지원) |
AF 보조광 |
내장 플래시/외장 플래시(SEF-42A, SEF-20A) |
기록 해상도 |
3:2 |
연사 |
초당 3매 |
부가기능 |
한글지원,HDMI출력,벌브지원,HD동영상,라이브뷰 |
얼굴인식(최대 10명),뷰파인더,먼지제거,손떨림방지 | |
스마트오토,뷰티샷,미러리스 렌즈 교환식 카메라 | |
전원공급 |
리튬이온 배터리SLB-07B |
저장방식 |
SD/SDHC |
측광방식 |
TTL 247분할(19x13) 멀티 패턴 |
I/O 인터페이스 |
USB 2.0 (Hi Speed), 비디오출력 (NTSC / PAL) |
동영상 |
1,280 x 720 / 640 x 480 / 320 x 340 - 30fps |
먼지감소기능 |
초음파 진동방식 |
배터리 사용시간 |
약 408매 촬영가능 (리튬이온 1,300mAh) |
색상 |
블랙 |
크기 |
123(W) x 87(D) x 39.8(H) mm |
무게 |
353 g (메모리카드, 배터리 제외) |
구성품 |
NX10본체, 배터리, 충전/USB DATA 케이블, 번들렌즈 |
출시일 |
2010/01 |
“DSLR 카메라와 컴팩트 디카의 장점을 훔치다”
◆ 이미지 센서를 통해 마이크로 포서드 시스템에 도전장을 던지다 = 삼성전자는 NX10을 기존의 하이브리드 카메라와 차별화를 꾀하기 위해 마이크로 포서드 타입이 아닌 APS-C 타입 센서를 내장했다. 중급형 DSLR GX20에 채용된 바 있는 ‘APS-C’ 타입 센서를 개량해 미러리스 카메라 시리즈 중 NX10에 최초로 적용했다.
삼성 NX10에 적용된 APS-C 타입의 CMOS 센서(23.4 x 15.6 mm) 크기는 마이크로 포서드 타입 의 이미지 센서(17.3 x 13 mm)를 채용한 제품들보다 크기 때문에 빛을 받아 들이는데 유리하다. 또한 넓은 화각과 함께 1.5배의 크롭비율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보급형 DSLR 카메라의 유효 화소수가 평균 1,000만 화소 ~ 1,300만 화소, 신형디지털 카메라가 1400만 화소를 지원하는 점을 감안하면, 1,460만 유효 화소수를 가진 NX10은 DSLR의 화질과 콤팩트 디카의 크기를 구현한 제품으로 부족함이 없어 보인다.
특히 대부분의 DSLR이 APS-C타입의 이미지 센서를 채용하고 있다는 것을 미루어 볼 때, NX10은 마이크로 포서드가 추구하는 이상과는 조금 다르다는 것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마치 마이크로 포서드가 놓치고 있는 부분을 완성해 내놓은 제품으로 미러리스 카메라의 또 다른 이정표를 제시하고 있는 것처럼 비춰진다.
◆ 아몰레드 DSLR 카메라 시대 개막 = 렌즈 교환식 미러리스 카메라인 NX10은 3인치 AMOLED 디스플레이(지원해상도 : 61만 4천 화소)가 적용됐다. 일반 TFT-LCD에 비해 두께와 무게가 1/3 수준으로 NX10이 소형화를 이루는데 한 몫하기도 했다.
NX10에 적용된 아몰레드(AMOLED:능동형유기발광다이오드)는 높은 명암비, 높은 색재현, 낮은 소비 전력, 높은 야외 시인성, 넓은 시야각, 선명한 영상을 구현한 특징을 갖고 있다. 특히 야외 시인성이 뛰어난 디스플레이를 통해 촬영한 사진을 야외에서 바로 확인 할 때 유용하다. NX10에 적용됨에 따라서 앞으로 DSLR 제품에 AMOLED 디스플레이가 적용될 가능성은 더욱 높아졌다.
한편 보급형 DSLR과 미러리스 카메라 중에서 AMOLED를 채용한 제품을 개인적으로 찾아봤지만 은 AMOLED가 적용된 제품은 찾아 볼 수 없었다. 만일 위의 내용이 사실일 경우 보급형 DSLR 카메라와 미러리스 카메라 중에서 세계최초로 AMOLED를 내장한 제품은 NX10이 될 것이다. 일전에 공개된 VLUU WB1000시리즈는 세계 최초로 AMOLED를 내장한 미니 DSLR이라는 호칭이 따라다녔지만 엄밀하게 따지만 콤팩트 디지털카메라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줬기 때문에 논외로 하자.
◆ HD급 동영상을 내 손안에! = NX10은 Full HD급은 아니지만 HD급(720P)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APS-C 타입의 이미지 센서를 채용해 기대 이상의 HD급 화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에서 주로 채택하고 있는 프로그레시브 방식을 채택해 NX10은 선명한 화질을 제공한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매우 높은 압축률을 가지는 MPEG-4/H.264 코덱을 사용해 디지털비디오 포맷을 채용했다. 최대 해상도는 1,280 x 720 / 640 x 480 / 320 x 340 등 30프레임을 지원하지만 아쉽게도 전면에 있는 마이크 센서에서 스테레오가 아닌 모노를 지원한다.
◆ DSLR 카메라의 특징을 담아내다. = DSLR의 대표적인 특징 5가지 중 첫번째는 광학식 뷰파인더가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NX10에서 적용된 미러리스 방식은 미러(반사 거울)와 광학식 뷰파인더를 제거하고 플랜지백 거리(센서와 마운트 사이의 거리)를 줄였다는 것이다. 따라서 92만 화소의 전자식 뷰파인더가 광학식 뷰파인더를 대체하고 있다.
광학식 뷰파인더에 비하면 부족한 것이 많지만 꾸준히 개선되고 기술도 많이 발전해 그 격차는 점점 좁혀지고 있다. 아쉽게도 현재의 기술력으로는 전자식 뷰파인더가 광학식 뷰파인더의 만족감을 100% 대체할 수 없을 것 같다. 한편, 전자식 뷰파인더 하단에 접안센서가 위치해 있어 사용자가 뷰파인더를 보기 위해 접안센서에 근접하면 뷰파인더 모드로 자동 전환된다.
두번째는, 신제품이나 고사양에 주로 채용되는 ‘초음파 먼지제거’ 기능이다. 렌즈 교환식 카메라라 들이 공동적으로 겪는 문제로 촬영환경에 따라서 렌즈를 교환할 때, NX10 내부 센서에 먼지가 유입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에 유입된 먼지는 사진의 품질 저하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출시되는 DSLR에는 초음파 먼지 제거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는데, NX10에서도 이를 지원한다. 초음파 자동 먼지제거를 지원하는 NX10은 전원이 들어올 때 이미지 센서 크리닝 기능이 자동으로 작동한다. CMOS 앞면의 로우 패스 필터에 달라 붙은 먼지를 초당 6만회 진동하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해 먼지를 제거한다
세번째는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를 꼽을 수 있다. 바디 상단에는 아날로그의 모습을 간직한 모드 다이얼로 각종 촬영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카메라의 다양한 모드를 조작하는 사용감은 아날로그적 감수성을 높이고 조작의 편의성을 높였다.
바디 후면에는 메뉴, AMOLED 디스플레이, Fn(펑션), 사진뷰어, 휴지통, 4방향 OK버튼, 플래쉬, 다이얼, 그린, 촬영 방식 설정 버튼 등 삼성 디지털카메라 또는 DSLR을 조작해본 사용자라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쉽게 조작이 가능하다.
네번째는 렌즈 교환식 카메라의 특성을 살렸다는 점이다. 심성전자가 NX 시리즈를 전면에 내세우면서 NX 전용으로 출시된 18-55mm 표준렌즈와 30mm 팬케익 렌즈, 50-200mm 망원렌즈 등 총 3종의 렌즈를 함께 선보였다. 다양한 렌즈군을 갖추지 못한 것이 흠이지만 휴대성이 우수한 단렌즈를 중심으로 활용성이 뛰어난 편이다.
단렌즈로 스냅(일상) 사진을 촬영하게 될 경우 빛을 받아들이는 양이 많아 선명한 화질을 제공한다. 단, 초점거리가 제한되어 있어서 피사체를 화면에 담아낼 수 있는 영역이 제한적이라 표준렌즈와 망원렌즈를 적절히 사용해야 한다.
다섯번째는 AF(오토 포커스)모드와 MF(매뉴얼 포커스)모드를 지원한다는 것이다. NX10으로 반셔터만 누르면 초점을 자동을 잡아주는 AF 모드와 색의 차이가 미묘하거나 어두운 곳에서 조리개를 조절해서 수동으로 초점을 잡아주는 MF 모드를 통해 다양한 사진을 연출할 수 있다.
싱글 AF 모드(SAF: Single Autofocus)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으로 정지된 피사체를 촬영할 때 사용된다. 피사체가 움직일 때, 반셔터를 누른 상태로 피사체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카메라를 이동하면서 촬영하는 연속 AF 모드(CAF: Center Autofocus)는 피사체를 초점 포인트의 중간에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이 원하는 초점을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수동 초점 모드(MF: Manual Autofocus)는 포커스 링으로 좀 더 다양한 느낌의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다.
◆ 디지털카메라의 기능 따라잡기 = 수동 모드가 어려운 사용자에게 스마트오토 모드를 추천한다. NX10은 카메라의 다양한 모드를 지원하는 모드다이얼을 통해 스마트오토 모드, P(프로그램)모드, A(조리개 우선)모드, S(셔터 우선)모드, M(매뉴얼)모드, 씬(Scene)모드, 풍경 모드, 동영상 모드, 인물 모드, 야경 모드 등 다양하게 촬영 할 수 있다.
NX10에서 제공하는 스마트 오토의 경우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 여러 가지 촬영 환경을 자동으로 인식해서 풍경, 화이트, 야경, 야경 인물, 역광, 역광 인물, 인물, 매크로, 매크로 텍스트, 삼각대, 액션, 매크로 인물, 푸른 하늘, 석양, 매크로 컬러, 자연 등 총 16가지 모드를 제공해서 최적의 장면을 얻을 수 있게 도와준다.
한편, 최대 10명까지 얼굴을 동시에 인식하고 초점을 맞춰주는 얼굴인식 기능과 뽀샤시한 얼굴을 표현할 수 있는 뷰티샷 기능, 촬영 환경을 분석해 발광량을 자동 조절하는 스마트 플래시 기능 등을 제공해 편의성을 높였다. 이밖에도 자동, 자동+적목제거, 강제발광, 강제발광+적목제거, 선막 동조, 후막 동조, 발광 금지 기능들이 제공된다.
사용자의 설정에 맞춰 촬영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NX10은 저속 연사 초당 3매, 고속 연사 초당 10매, RAW 촬영 모드에서는 초당 3매에서 버스트 고속 촬영 모드에서는 초당 30매 촬영이 가능하다.
ISO 감도는 조리개 수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어두운 곳에서 ISO 감도를 높일 경우 손떨림 방지엔 이득을 얻는 반면 이미지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고감도에서 노이즈 억제력이 뛰어난 제품이 좋은 평가를 받고 있어 ISO 감도는 디지털카메라를 선택할 때 중요한 요소로 손꼽히고 있다.
ISO 3200까지 지원하는 NX10의 경우 APS-C 규격 이미지 센서를 채용해 크롭바디를 채용한 DSLR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ISO 800부터 3200까지 노이즈가 두드러지게 증가했지만 리사이징을 해주고 난 뒤에는 크게 눈에 띄지 않았다. 스냅 사진촬영과 블로그, 미니홈피 등 웹 사이트 업로드용으로 사용한다면 흠잡을 데 없는 제품이다.
또한 NX10은 본체 왼쪽에서 HDMI단자, USB 2.0, Video-Out, AC 어댑터 인풋단자 등 다양한 입출력 단자를 제공한다. 일반 Composite 출력 뿐만 아니라 음성과 영상 출력 단자인 HDMI 단자를 통해 초당 30프레임의 HD급 동영상 출력도 제공하고 있다. 단, NX10의 경우 케이블을 연결하면 재생기능만 제공된다.
◆ 2% 아쉬운 NX10 = 지금까지 하이브리드 카메라 NX10 모습을 살펴보았다. 렌즈 교환식 미러리스 카메라를 통해 기존 DSLR들이 가지고 있던 단점들을 보완하면서 이미지센서에서 차별화를 줬다. 마치 디지털카메라와 DSLR의 장점을 적절히 배합한 느낌이다. NX10은 고화질, 휴대성, 편의성 등 3박자를 고루 갖춘 삼성전자의 야심작이다. NX10은 트랜드에 민감한 소비자들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마이크로 포서드 진영의 올림푸스, 파나소닉과는 조금 다른 길을 선택했지만 마이크로포서드 제품과 견주어 손색이 없다.
하지만 AF(오토포커스)의 속도와 전자식 뷰파인더, 부족한 렌즈군, 어두운 부분 표현시 특정색상이 노출되는 부분은 개선이 필요하다. 다소 느리게 잡히던 AF(오토포커스)는 잘 잡는 방법을 찾아보다가 기본 포커스 영역을 축소시켜봤더니 훨씬 개선된 모습을 보여줬다.
당초 제품의 출고가가 예상보다 높게 책정되어 NX10이 좀 더 보급되지 못해 아쉽게 느껴진다. 하이브리드 카메라로 출발한 NX10은 휴대성을 중시했기 때문에 DSLR의 다양한 성능과 기능을 뛰어넘기 어렵다. 그런 만큼 소비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가격대를 유지했더라면 더 좋은 반응을 얻었을 것이다.
소비자들은 완성도가 높은 제품을 원하지만 완성도가 높고 가격도 저렴한 제품을 원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NX10은 이 부분에선 조금 못 미친다. DSLR과 디지털카메라 시장의 틈새를 노리기 위해서는 좀 더 소비자들이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가격대를 유지하면서 휴대성(렌즈, 바디)과 DSLR과 견주어 손색 없는 성능을 유지하는 것이 관건이 될 것이다.
비싼 가격과 무거운 DSLR의 휴대성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는 사용자라면 하이브리드 카메라를 선택해보는 것도 또 하나의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NX10으로 촬영한 사진
NX10으로 촬영한 사진
NX10으로 촬영한 사진
NX10으로 촬영한 사진
NX10으로 촬영한 사진
NX10으로 촬영한 사진
NX10으로 촬영한 사진
'음향&영상장비 > DSL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니콘 루머스를 통해 니콘 D3100 유출. (1) | 2010.08.17 |
---|---|
캐논 EOS 7D EISA 어워드 수상 (0) | 2010.08.16 |
소니 새로운 ‘알파’ 카메라 8월 24일 런칭 이벤트 (0) | 2010.08.13 |
소니 알파 구매고객 대상 정품등록 이벤트 (0) | 2010.07.16 |
소니 보급형 DSLR A290, A390 공식 발표 렌즈보다 바디? (0) | 2010.06.10 |
NX10 사진 갤러리 (0) | 2010.05.20 |
펜탁스 K-7 ‘Silver Limited 에디션’ 1000대 한정판매 (0) | 2010.02.23 |
캐논 500D 후속모델 ‘550D’ 공개 이번에 제대로? (0) | 2010.02.09 |
한정판의 달인 라이카 M7 Hermes 사진 공개 (0) | 2010.02.05 |
알파 플래쉬 3종 구매고객에게 사은품 증정 이벤트 실시 (0) | 2010.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