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스플레이

3D TV에 대한 오해와 진실(LG전자 3D TV 발표회)

사용자 삽입 이미지

3D 영상 카메라로 촬영하고 있는 모습


3D TV에 대한 오해와 진실(LG전자 3D TV 발표회)

 

요즘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는 키워드는 단연 ‘3D 3D TV’라고 할 수 있다. 아바타의 출현으로 3D 영상 콘텐츠의 가능성을 엿봤고 그것을 즐길 수 있는 하드웨어 산업에 이슈가 집중됐다. 올 초 CES2010에서 주요 가전업체의 핵심 화두가 3D TV였다는 것은 향후 3D산업(하드웨어, 소프트웨어)에 대한 기대감을 고조시켰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CES2010에서 공개한 3D

 

게다가 3D TV콘텐츠 시장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됨에 따라서 업계는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정확한 집계가 어렵지만 한국형 3D 입체영화 산업 발전과 미래 탐색이란 3D 입체영화 토론회에 참석해 본 결과 최근 3D 영화가 출시되고 있고 출시를 앞두거나 국내에서 2D에서 3D 변환작업 중인 영화가 약 20여편이 넘을 정도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내용 참고 : 2% 부족했던 3D 입체영화 토론회 : http://dtalker.tistory.com/256>

<내용 참고 : [CES2010] 게임도 3D. 3D 모니터 'W2363D' http://dtalker.tistory.com/112>

<내용 참고 : CES2010 결산 - 3D 모니터에 사활을 건 IT기업들 http://dtalker.tistory.com/117>

 

3D 산업이 조망받기 시작하면서 글로벌 기업들의 3D 기술특허 경쟁이 가속화되기 시작했고 국내기업들 중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정면으로 대치하고 있어 최신 기술이 접목된 3D TV가 잇따라 출시될 전망이다. 최근 이슈가 집중되고 있는 만큼 3D TV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해 보고자 지난 25일 오후 7 LG전자가 INFINIA Full LED ‘3D TV’ 신제품 발표회에 참석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INFINIA FULL LED 3D TV’

프리미엄 전략을 선보인 LG전자

이날 발표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G전자는 2010 3D TV 시장규모를 380만대에서 2014년에는 8,350만대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따라서 다양한 차별화 전략을 통해 LG전자는 2010년 글로벌 3D TV시장의 25%( 95만대)까지 시장을 점유하겠다는 목표를 수립했다.

 

제품의 기본전략은 깊이 있고 실감나는 입체영상을 만드는 Full LED를 삼고 있고, 보더리스(BORDERLESS) 디자인, 3D 표준 기술 지원, Advanced 3D Technology 등을 세가지 집중 전략을 통해 차별화를 꾀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고객 취향과 시청 환경에 따라 다양한 선택 옵션(안경, 콘텐츠, Total Solution)을 준비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LG전자가 공개한 LX9500(47”, 55”)은 보더리스 디자인이 적용되어 얇은 베젤과 슬림한 두께를 갖고 있다. 제품의 사양은 얇고 슬림한 47”/55” Full LED,  지원해상도 1920 x 1080(Full HD), Wireless AV link, NetCast, Magic Remote Control, DLNA, USB 2.0(DivX HD, MP3, Jpeg, MPF), Intelligent Sensor, HDMI x 4(1.4)가 내장되어 있다. Full LED 3D TV의 경우 명암비는 일반 에지 LED가 평균 600 만대 1을 가지고 있는데 반해 업계 최소 수준의 1,000만대 1에 달하는 명암비를 갖고 있다.

 

더구나 LG전자는 화면 전체에 LED 소자를 가득 채운 풀 LED기술과 함께, 잔상을 없앤 트루모션 480Hz 기술도 적용돼 빠르게 전환하는 3D 화면에서 풍부한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다고 전했다.


 

하드웨어에 초점을 맞춘 LG전자

모든 제조회사가 그렇듯이 하드웨어 기술이 소프트웨어보다 한 단계에서 두 세단계 정도 진보해서 시장의 인프라를 선점한다. 그리고 제품이 보급되기 시작할 즈음 소프트웨어들이 하드웨어를 보조해서 시너지 효과를 발산하는데, 이러한 시장의 구조는 장점과 단점이 존재한다.

 

앞서나간 하드웨어 시장이 소비자에게 인기를 끌면 좋겠지만 소비자에게 외면 받을 경우 시장이 정체되거나 도태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이와 비슷한 정체기를 겪고 있는 플랫폼 서비스를 찾아보면 IPTV시장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시장이 어우러진 IPTV 서비스는 한 단계 이상의 진보한 서비스를 지녔지만 IPTV는 소비자들의 관심보다는 통합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들의 전략에 가입자를 꾸준히 모으고 있지만 시장의 주류로 부상하지 못했다.

 

사단법인 미디어미래연구소가 발간한 ‘2009 MFI 미디어산업 전망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IPTV가입자는 222 9천 가구, 디지털케이블 방송의 경우 245만 가구, 아날로그케이블 방송은 1,238 5천가구에 이르고 있다는 부분은 IPTV가 시장을 주도하는 서비스가 아님을 알 수 있다.

 

LG전자에서 선보인 3D Full HD 3D TV도 하드웨어 플랫폼과 소프트웨어 콘텐츠가 결합해야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는 산업이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이날 참가해서 발표회를 지켜보니 하드웨어적인 기술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춰서 소비자들에게 마케팅 공략을 하는 모습으로 비춰졌다. 그러다 보니 이번 행사에 기자들과 IT블로거들을 초대해서 발표회를 개최한 것만 해도 그런 측면이 강하게 풍겨졌다.

 

물론 국내 사용자들이 하드웨어 스펙에 민감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는 대기업이기 때문에 이런 전략을 내세웠을 수도 있다. 하지만 최근 소비자의 성향이 기업들이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정보에 의존하지 않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끈 아바타가 마케팅보다 3D를 체험한 소비자를 중심으로 인기를 모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일반TV와 달리 3D 체험을 경험해봐야 그 진가를 알 수 있기 때문에 그 어느 때보다도 소비자에게 접근하는 방식을 달리해야 할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런 부분의 노력이 부족해 보여서 발표회가 끝나고 LG마케팅 담당자와 일문일답하는 시간을 가졌다.

 

- 3D TV 하드웨어 시장이 너무 앞서나갔다. 소프트웨어 시장과의 제휴를 통해 콘텐츠를 배급할 계획은 없는가?

 

LG마케팅 담당자 = 기자들에게도 그런 질문을 많이 받았지만 아직 공개할 단계는 아니다. 다만 현재 헐리우드 제작(·배급)사와 접촉하고 있으며, 좋은 소식을 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 주변에서 3D TV를 오직 3D를 시청할 때만 보는 것으로 아는 사람들이 많다. 어떻게 생각하는가?

 

LG 마케팅 담당자 = 그렇게 생각하는지 전혀 예상치 못했다. 소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한마디를 덧붙인다면, 3D TV 3D로 제작된 영상 콘텐츠를 비롯해 기존의 2D 영상 콘텐츠도 함께 즐길 수 있다.

 

- 삼성전자에서도 2D 영상 콘텐츠를 3D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는 제품이 출시된 것으로 알고 있다. LG전자에서는 보급화가 쉽게 이뤄질 수 있는 2D to 3D 제품을 전시회에 비치시켜 놓고 발표회에서 선보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LG 마케팅 담당자 = 타사에서 2D to 3D를 선보인 것을 알고 있다. 그 이유는 우리도 2D to 3D TV를 공개하고 싶었지만 소비자들이 3D 효과를 느끼기엔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현재 공개되고 있는 2D to 3D 기술은 3D TV에 비해서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범위가 미미하다. 뿐만 아니라 2D 영상으로 제작된 콘텐츠를 임의적인 기술로 3D로 변환시켜서 보여준다는 것은 한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Full HD 3D TV를 체험한 것에 비하면 효과가 떨어져서 좀 더 보완하고 보급하기로 결정했다.

 

- 3D TV를 보기 위해 3D전용 안경을 장착하게 될 경우 눈의 피로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해결책은 무엇인가?

 

LG 담당자 = 그 부분은 고민을 많이 했다. 백라이트 스캐닝(Backlight Scanning)을 통해 1초에 60장인 3D 영상신호를 받아 480장의 화면으로 구현함으로써, 3D TV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지러움의 원인인 영상 겹침(Cross-Talk) 현상을 최소화했다.

 

- 현재 시장의 상황을 보면 3D TV는 고급형 제품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제품 싸이클 주기를 감안하면 2010년 상반기나 하반기쯤에 보급형 제품들이 쏟아질 것 같다. 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

 

LG 마케팅 담당자 = (사적인 견해임을 밝히면서) 개인적으로 공감한다. 현재 프리미엄 제품군인 인피니아(INFINIA) Full HD 3D TV를 중심으로 소비자에게 기술력을 인정받은 뒤에 보급형 제품확산에 주력하지 않을까 싶다.

 

- 3D TV 3D 콘텐츠만 즐겨서는 뭔가 부족하다 다른 마케팅 전략을 갖고 있는가?

 

LG 마케팅 담당자 = 구체적으로 언급하긴 어렵지만 3D TV를 이용할 수 있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제조사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서 현재 다양한 방법으로 프로모션을 계획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글을 마치며

 

LG전자뿐만 아니라 삼성전자를 비롯해 3D TV시장을 준비하고 있는 대부분의 하드웨어 제조사들이 공통적으로 안고 있는 문제점이지만 3D TV만은 좀 더 다른 측면으로 접근했었으면 좋았을 것이다. 물론 풍부한 얼리어댑터 층이 지식을 갖고 제품의 장단점을 전파하면 일반인들도 정보를 접할 수 있지만 3D TV는 체험이라는 핵심 키워드가 존재하고 있어 이를 만족시켜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소비자가 알고 싶어하는 부분은 얼마나 최신기술이 접목되어 생생한 3D 체험을 할 수 있을까에 대한 부분이 3D TV시장이 성장할 수 있는 모멘텀이 아닐까. 또한 소비자가 기존의 브라운관 TV, PDP, LCD TV를 제쳐두고 3D TV를 구매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서 소비자에게 접근하는 것이 3D TV가 보급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