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시회

실시간 웹은 마이클 잭슨 사망소식부터 시작됐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실시간 웹은 마이클 잭슨 사망소식부터 시작됐다?

 

금일 실시간 웹 컨퍼런스(Real Time Web Conference) 2010에 다녀왔다. 실시간 웹이라는 것이 과연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를 얻고 이를 통한 비즈니스 사업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다녀오게 되었는데 결과부터 이야기 하자면 실시간 검색 서비스인 라이브K(Live K) 홍보를 가장한 컨퍼런스가 아니였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1. 최신 검색 서비스 동향과 실시간 웹의 중요성

2. 실시간 검색과 검색의 미래

3. 실시간 검색 인터페이스의 디자인 이슈 및 패턴

4. 실시간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본 IT 이슈 분석

5. 모바일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6. 실시간 검색 마케팅 최신 핫 이슈

7. 실시간 검색을 이용한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 분석

 

이렇게 총 7개의 세션으로 나눠져 7명의 발표자가 각 25분씩 실시간 웹과 관련한 내용을 발표하는 방식이었는데 5 세션의 아이위랩 이제범 대표와 마지막 세션인 라이브K 이재철 대표는 자신들이 준비한 서비스인 라이브 K와 카카오 아지트 홍보를 하는 시간으로 대체되었으며 그 외 발표는 실시간 웹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아닌 실시간 웹이란 이런 것이 아닐까 하는 의견 발표가 대부분이었다. 더구나 25분이라는 짧은 시간으로 자신이 생각하는 실시간 웹에 대해 언급하기 힘든 듯 보였으며 준비된 자료 역시 부족한 느낌이 있었다.

 

차라리 마지막 세션에서 발표한 라이브 K에 대한 더욱 자세한 설명과 이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채웠으면 더욱 많은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한다.(다분히 개인적인 생각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실제로 실시간 웹이 무엇인지를 눈으로 확인하고 싶었고 이를 통한 비즈니스 수익모델이 어떤 것이 있을지가 궁금했다.)

 

첫번째 세션 발표자의 경우 이와 같은 트위터를 받았다고 한다. 실시간 웹 컨퍼런스 첫 강의에서 트위터, 페이스북을 이야기 하고 나면 다음 사람들은 무슨 이야기를 할까? 궁금해서 참가신청, 괜히 되도 않는 이야기 할거면 차라리 노래를 불러달라는…’ 실시간 웹이 정말 트위터와 페이스북밖에 없는 것이고 이거에 국한되는 것일까? 아닐 것이다. 트위터와 페이스북은 실시간 웹의 한 부분일 뿐이고 현재로써 크게 사용되고 있는 서비스 중 하나일 뿐일 것이다.

 

그렇다면 실시간 웹이란 무엇일까? 컨퍼런스를 통해 공개된 몇몇 이야기를 조합하면 이렇다.

 

가장 적합한 표현은 컨퍼런스 중 나온 이야기로 인용하면 오래된 10만개 중 10개만 보여주는 서비스이냐? 혹은 막 나온 10개의 검색 결과를 10만개로 보여주는냐?’ 의 차이다. 또 하나가 있다. 기존 검색과 실시간 웹 검색의 차이를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 네이버를 대표하는 기존 검색 서비스는 과자로 만든 집. 즉, 과자로 만든집에 들어가면 너무나 달콤한 유혹들이 가득 있어 내가 여기 왜 왔는지를 잊고 한참을 머무르는 곳인 반면 그 반대의 경우는 나니아 연대기의 옷장과 같이 겉보기에는 보잘 것 없지만 그 문을 열면 새로운 세계가 보이는 것이다.

너무 억지스런 표현일 수 있지만 이 말이 실시간 웹이라는 서비스에 가장 가까운 말이 아닐까 한다. 그리고 여기서 전제가 되어야 하는 사실은 실시간이란 단어는 정보, 컨텐츠에만 있어서는 안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 정보를 필요로 하는 누군가가 있어야 하며 그제서야 이 정보는 실시간 웹 검색이라는 정의에 어울리게 된다. (이렇게 글을 쓰고 있지만 아직 실시간 웹이라는 명확한 정의에 대해서는 자꾸 번복되는 듯 하다.)

 

얼마 전 발생한 지진의 경우 지진이 발생하고 한참이나 이와 관련된 소식을 접할 수 없었다. 오히려 커뮤니티 게시판이나 트위터가 더욱 빠른 정보가 구축되었다. , 쇼셜 미디어가 발전할수록 기존 검색 서비스는 무너질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트위터와 게시판에 올라오는 정보는 언론매체를 통해 올라오는 소식보다는 정확성 면이나 신뢰성 면에서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 하지만 실시간이라는 측면만을 봤을 때는 그 누구보다 강력한 서비스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하나의 예를 보면 제목에서 달았지만 트위터가 급 성장할 수 있었던 요인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마이클 잭슨 사망 소식이 구글에서 1~2시간이 넘도록 전해지지 않았던 반면 트위터를 통해 가장 먼저 전해지면서 실시간 정보 습득에 대한 가능성을 기반으로 트위터가 크게 성장하지 않았나 한다.

 

실시간 웹의 장점은 바로 이런 것이다. 누구든 기자가 될 수 있고 독자가 될 수 있다. 잡담이냐 기사냐의 기준도 컨텐츠 중심이 아닌 구독자의 입장에서 결정될 수 있다. , 경계의 벽이 무너질 수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실시간이라는 단어에서 보여지듯 시간이라는 강한 제약에 걸리게 된다. 트위터만 보더라도 트위터 검색 서비스가 있긴 하지만 흘러간 정보에 대해서는 그 가치가 급격하게 감소된다. 그리고 지난간 정보에 대한 DATA 구축이 어떻게 이뤄지고 이를 어떻게 활용하고 이를 어떻게 서비스할 것인가 역시 해결해야 할 부분이 아닐까 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를 통해 실시간 웹은 기존 검색 정보 방식보다 비즈니스 측면에 있어 공격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한다.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한 예로 들은 내용을 적어보면 소녀시대의 소원을 말해봐라는 노래가 처음 공개되었을 때 마린룩이 검색어 1위를 차지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 마린룩이라는 검색어를 보고 한 의류업체가 마린룩 키워드로 광고를 진행 상당한 매출을 차지했다는 이야기이다.

 

상당히 재미있는 이야기이다. 기존 광고는 막연히 한자리를 차지하고 누가 봐주길 바라는 방식이지만 실시간 웹은 현재 가장 이슈가 되는 것이 무엇이며 트위터나 페이스북 방식 혹은 커뮤니티 게시판의 내용이 실시간으로 공개되면서 정말 필요한 사람들에게 찾아가는 광고로 바뀔 수 있다는 점이다. 광고가 직접 대상이 누군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고 이들을 찾아가서 나 여기 있소 하고 당당히 나설 수가 있는 것이다.

 

라이브 K가 내세우는 비즈니스 측면은 이것이다. 물론 이외에도 정말 많은 수익모델이 있겠지만 가장 큰 기틀이 되지 않을까 한다. 사실 트위터나 페이스북 자체로는 수익성을 가진다고 할 수 없다. 독자적인 서비스를 진행할 수 없는 것도 다 이러한 이유일 것이다.

 

이렇게 비즈니스 모델을 언급하는 이유는 이러한 서비스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는 것도 아니고 새로운 문화 창출을 위한 것도 아닌 단순히 돈을 벌기 위함이 분명하다. 기존 검색 방식은 분명 한계를 노출하고 있으며 이를 넘어서는 새로운 무언가를 필요로 할 때 실시간 웹을 바탕으로 한 검색 서비스가 등장했고 더욱이 모바일에 맞춘 App을 공개하면서 모바일 시장으로 빠르게 진행을 하고 있다.

 

네이버, 다음, 네이트, 구글 등이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지 그리고 실시간 웹이라는 서비스가 과연 어떤 방식으로 정착할지는 아무도 모를 일이다. 사실 컨퍼런스에 다녀와서 두서없이 글을 작성했지만 필자 역시 정리하지 못하고 작성한 듯 하다. 분명한 것은 실시간 웹에 대한 가치를 모두가 충분히 느끼고 있다는 점이고 이를 통한 꾸준한 시도와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할 것이라는 사실이다.

이러한 서비스가 시작되고 막연히 이 흐름에 몸을 맡기기 보다 한발 앞서 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를 준비를 하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