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T LTE-A] 대전 -> 동서울 LTE-A 속도 측정(사용단말 갤럭시S4 LTE-A)
집안 일로 인해 갑작스럽게 대전으로 내려가게 되었는데요. 서울로 올라오기 위해 대전 복합 터미널에서 기다리던 도중 대전->동서울행 고속버스에서 SKT LTE-A 속도측정을 하면 어떤 결과를 보여줄 지 궁금해 이동하는 도중 측정을 해봤습니다.
|대전 복합 터미널 -> 동서울 터미널
저도 자가용이 있긴 하지만 피곤 할 때에는 종종 고속버스나 기차를 이용하는 것처럼 아직까지 많은 사람들이 고향이나 서울로 이동하기 위해 비행기, 기차, 버스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이용곤 합니다. 그 중에서도 고속버스는 저렴한 가격으로 기차가 가지 못하는 곳까지 이동해 빼놓을 수 없는 교통수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주로 사람들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을 통해 LTE-A의 속도측정을 해야 신뢰할 수 있는 정보가 되지 않을까라는 판단도 한 몫 했습니다. 자, 그럼 SKT LTE-A 속도 측정을 하기 위해 대전 복합 터미널에서 동서울 터미널까지 이동하며, 측정한 주요 지역 정보를 먼저 알려드릴까 합니다.
주요 지역 명칭 |
이동 거리에 따른 구글맵 측정 오차 범위 |
대전 복합 터미널 |
측정 오차 범위 100m내외 |
대전 IC |
측정 오차 범위 약 1m 내외 |
신탄진 IC |
측정 오차 범위 약 1.5km내외 |
죽암휴게소 |
측정 오차 범위 약 1.4km내외 |
서청주IC |
측정 오차 범위 약 1.9km내외 |
오창IC |
측정 오차 범위 약 1.5km내외 |
진천IC |
측정 오차 범위 약 1.9km내외 |
음성휴게소 |
측정 오차 범위 약 1.4km내외 |
호법IC |
측정 오차 범위 약 1.5km내외 |
이천휴게소 |
측정 오차 범위 약 1.5km내외 |
곤지암IC |
측정 오차 범위 약 1.4km내외 |
하남IC |
측정 오차 범위 약 1.3km내외 |
강일IC |
측정 오차 범위 약 1.1km내외 |
올림픽대로 암사역입구 인근 |
측정 오차 범위 약 900m내외 |
올림픽대교 북단 |
측정 오차 범위 약 1km내외 |
동서울터미널앞(강변역앞) |
측정 오차 범위 약 50m내외 |
이 글이 마음에 드시면 추천해 주세요.
|대전 복합 터미널 -> 동서울 터미널 구간별 속도 측정
SKT가 구축한 LTE-A의 속도측정을 하기 위해 대전 복합 터미널을 시작으로 동서울 터미널까지 이동하였고, 속도측정시간은 약 2시간 08분 정도 걸린 것 같네요. 측정의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 각 플랫폼 GPS를 활성화 시킨 후 현재 위치를 캡쳐 한 뒤 일괄적으로 속도 측정을 시작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속도 측정에 사용한 스마트폰 어플은 거리오차가 심해질 수 있으므로 벤치비(Benchbee)만 사용하였습니다.
대전 복합 터미널 -> 동서울 터미널 구간별 속도 측정(대전 복합 터미널)
1. 대전 복합 터미널(출발 전 측정)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은 최소한 40~60Mbps의 속도를 유지해야 한다고 생각했었는데, 대전 복합 터미널의 SKT LTE-A를 속도 측정해 보니 괜찮네요. 다운로드 속도는 62.2Mbps, 업로드 속도는 19.2Mbps, 지연시간은 39.6ms가 나왔습니다. 일전에 내려와서 측정해본 속도보다는 빠르게 나와서 만족스럽네요. 좀 더 빠른 속도와 안정적인 서비스가 유지되길 기대해 봅니다.
대전 복합 터미널 -> 동서울 터미널 구간별 속도 측정(대전 IC)
2. 대전 IC 인근(톨게이트 통과 시점 측정)
GPS를 활성화 했는데 오차가 좀 있네요. 대전IC를 막 통과할 시점에 측정을 시작했습니다. 고속도로 진입 전이라 주행속도가 낮아 꽤 빠른 속도를 보여주지 않을까 기대해 봤는데요. 아쉽게도 다운로드 속도는 27.4Mbps, 업로드 속도는 20.2Mbps, 지연시간은 43.1ms가 나왔습니다.
대전 복합 터미널 -> 동서울 터미널 구간별 속도 측정(신탄진 IC)
3. 신탄진 IC 인근(100~110km 주행 중 측정)
신탄진IC를 막 통과하기 전에 측정을 시작했습니다. 고속 주행 중에 어떤 속도를 보여줄 지 기대됩니다. 측정 해보니 다운로드 속도는 28.3Mbps, 업로드 속도는 18.4Mbps, 지연시간은 41.1ms가 나왔습니다.
대전 복합 터미널 -> 동서울 터미널 구간별 속도 측정(죽암휴게소)
4. 죽암휴게소 인근(100~110km 주행 중 측정)
죽암휴게소를 통과하는 도중 측정을 시작했습니다. 보통 휴게소 인근에는 사람들이 많이 몰리기 때문에 안정적인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구축하지 않았을까라는 기대감을 가지고 측정을 시작했습니다. 죽암휴게소 인근의 다운로드 속도는 32.4Mbps, 업로드 속도는 15.6Mbps, 지연시간은 39.9ms가 나왔습니다. 대전 IC 및 신탄진 IC에서 측정했던 것보다는 빠른 결과를 보여주네요.
대전 복합 터미널 -> 동서울 터미널 구간별 속도 측정(서청주 IC)
5. 서청주 IC 인근(100~110km 주행 중 측정)
서청주 IC를 진입하는 도중 측정을 시작했습니다. 서청주 IC 인근의 다운로드 속도는 33.4Mbps, 업로드 속도는 21.4Mbps, 지연시간은 41.4ms가 나왔습니다. 이동하면 할 수록 다운로드 속도는 점차 빨라지는 것 같네요.
대전 복합 터미널 -> 동서울 터미널 구간별 속도 측정(오창 IC)
6. 오창 IC 인근(100~110km 주행 중 측정)
오창 IC를 진입한 이후 측정을 시작했습니다. 아쉽게도 오창 IC 인근의 다운로드 속도는 13.2Mbps, 업로드 속도는 14.5Mbps, 지연시간은 41.4ms가 나왔습니다. 현재까지 측정한 IC중에서는 가장 속도가 안 나오는 구간입니다.
대전 복합 터미널 -> 동서울 터미널 구간별 속도 측정(오창휴게소)
오창 휴게소를 옆을 지나면서 측정을 시작했습니다. 오오~ 오창휴게소 인근의 다운로드 속도는 43.1Mbps, 업로드 속도는 19.8Mbps, 지연시간은 41.1ms가 나왔습니다. 현재까지 측정한 구간 중에서는 가장 빠른 속도를 기록했습니다. 이 기록이면 신도림역 5-4 플랫폼에서 측정한 속도와 비슷하네요.
[SKT LTE-A] 갤럭시 S4 LTE-A 지하철 2호선 주요 역사 LTE-A 속도 측정 참고 링크 : http://dtalker.tistory.com/3046
대전 복합 터미널 -> 동서울 터미널 구간별 속도 측정(진천 IC)
SKT LTE-A 측정을 할 수록 서울과 점점 가까워지네요. 잠시 딴생각을 하다 진천 IC를 지나칠 즈음 측정을 시작했습니다. 타이밍을 놓쳐서 그런지 진천 IC에서 좀 떨어진 곳에서 속도가 잘 안나오네요. 다운로드 속도는 22.5Mbps, 업로드 속도는 11.1Mbps, 지연시간은 40.6ms가 나왔습니다.
대전 복합 터미널 -> 동서울 터미널 구간별 속도 측정(음성휴게소)
음성휴게소 근처를 진입하면서 측정을 시작했습니다. 음성휴게소의 다운로드 속도는 25.6Mbps, 업로드 속도는 17.2Mbps, 지연시간은 41.7ms가 나왔습니다. 아무래도 대도시의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SKT LTE-A를 구축했나 봅니다. 고속도로 구간에서는 60Mbps를 넘지 못하네요. 그래도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고속도로인데, 운전자는 주행 중 휴대폰을 사용할 수 없지만 다른 사람들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사용한다는 부분을 SKT 담당자 분들은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대전 복합 터미널 -> 동서울 터미널 구간별 속도 측정(호법 JC)
벌써 호법 JC까지 왔네요. 서울까지 약 74km 정도 남았네요. 호법 JC를 지나며 측정을 시작했습니다. 다운로드 속도는 17.8Mbps, 업로드 속도는 17.1Mbps, 지연시간은 49.0ms가 나왔습니다.
대전 복합 터미널 -> 동서울 터미널 구간별 속도 측정(이천휴게소)
이천휴게소 진입로를 지나며 측정을 시작했습니다. 다운로드 속도는 30.1Mbps, 업로드 속도는 12.0Mbps, 지연시간은 43.9ms가 나왔습니다.
대전 복합 터미널 -> 동서울 터미널 구간별 속도 측정(곤지암 IC)
곤지암 IC를 지나며 측정을 시작했습니다. 다운로드 속도는 6.38Mbps, 업로드 속도는 16.1Mbps, 지연시간은 54.8ms가 나왔습니다. 아 대전-동서울 구간의 최저속도는 곤지암 IC에서 기록하는 것 같네요.
대전 복합 터미널 -> 동서울 터미널 구간별 속도 측정(하남 IC)
동서울톨게이트를 지나고 하남 IC를 진입하면서 측정을 시작했습니다. 다운로드 속도는 10.0Mbps, 업로드 속도는 12.1Mbps, 지연시간은 44.1ms가 나왔네요. 여기서부터는 그래도 수도권이라고 할 수 있는 지역인데, 조금은 아쉬운 측정 속도 결과네요.
대전 복합 터미널 -> 동서울 터미널 구간별 속도 측정(강일 IC)
강일 IC에서 올림픽대로를 진입하는 도중 측정을 시작했습니다. 이 근처에는 서울도시철도공사 고덕차량기지(5호선)이 있는 곳인데요. 다운로드 속도는 45.7Mbps, 업로드 속도는 16.3Mbps, 지연시간은 43.8ms가 나왔습니다.
대전 복합 터미널 -> 동서울 터미널 구간별 속도 측정(올림픽대로 암사역입구)
암사생태공원과 암사역 사이에 있는 올림픽대로를 지나며 측정을 시작했습니다. 아쉽게도 다운로드 측정 속도는 7.58Mbps, 업로드 속도는 12.8Mbps, 지연시간은 45.3ms가 나왔네요. 이 곳도 LTE-A 품질 개선이 필요해 보입니다.
대전 복합 터미널 -> 동서울 터미널 구간별 속도 측정(올림픽대교 북단)
올림픽대교 북단을 지나며 측정을 시작했는데요. 업로드 측정을 하면서 네트워크가 불안한지 중간에 측정이 중단됐습니다. 다운로드 속도는 66.8Mbps, 업로드 속도는 4.57Mbps, 지연시간은 43.0ms을 기록했는데요. 추후 이 곳을 이동해 본다면 다시 측정을 해봐야 겠네요.
대전 복합 터미널 -> 동서울 터미널 구간별 속도 측정(동서울터미널)
버스에서 내린 뒤 동서울터미널 앞에서 측정을 시작했는데요. 속도가 짱짱하게 나오길 기대했었는데, 다운로드 속도는 9.17Mbps, 업로드 속도는 17.4Mbps, 지연시간은 46.8ms을 기록하네요. 많은 분들이 이 근처에서 담배를 피우며 인터넷을 사용하시던데.... SK텔레콤 관계자 분이 이 글을 보신다면, 제가 측정한 위치를 중심으로 LTE-A 속도 안정화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3개월 동안 SKT LTE-A를 사용해봤는데요. 전국망을 구축했지만 아직까지 좀 더 보완이 필요한 구간이나 지역들이 간간히 보이네요. 당연히 유동인구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LTE-A를 구축하고 있겠지만 은근히 취약지역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더욱 더 많은 사람들이 LTE-A 서비스 품질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의견을 제시하면, 소비자는 좀 더 좋은 LTE-A 네트워크 품질을 이용할 수 있고, SK텔레콤은 서비스 취약지역을 보완해 LTE-A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SK텔레콤은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끌어들일 수 있는 원동력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이제 막 LTE-A 네트워크 서비스를 시작하고 서비스 지역을 확대하는 만큼 조금 더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가 이뤄지길 기대해 봅니다.
'휴대폰/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HP Split X2 리뷰]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office 업무를 어느 곳에서나 (0) | 2013.11.02 |
---|---|
[갤럭시 노트3 리뷰] 향상된 디자인과 성능으로 돌아온 갤럭시 노트3 (1) | 2013.10.31 |
[HP Split X2 리뷰] HP Split X2로 노트북과 사용자 경험을 동시에 (0) | 2013.10.28 |
[갤럭시S4 LTE-A] SKT 광대역 LTE 서비스를 통해 LTE-A/LTE서비스를 더욱 빠르게… (0) | 2013.10.25 |
[HP Split X2] 출시 예정인 태블릿 겸용 노트북 HP Split X2 디자인 및 스펙 리뷰 (0) | 2013.10.21 |
갤럭시 노트3의 진정한 킬러 콘텐츠는 보안 솔루션 KNOX(녹스) (2) | 2013.09.30 |
[SKT LTE-A] 갤럭시 S4 LTE-A 지하철 2호선 주요 역사 LTE-A 속도 측정 (0) | 2013.09.25 |
전국 SKT LTE-A 망 구축 대전지역 LTE-A 서비스 속도는 어떨까? (0) | 2013.08.26 |
[LTE vs LTE-A] 갤럭시S4 LTE-A LTE보다 얼마나 빠를까? - 자동차편- (0) | 2013.07.29 |
[갤럭시S4 전용 액세서리] 열지 않고 보고 전화도 받는 갤럭시 S4 S View Cover (0) | 2013.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