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시장에 분 패블릿 바람, 중요한 승부처는?
최근 스마트폰 시장에서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키운 패블릿(Phablet)이 새로운 스마트폰 카테고리로 자리매김하는 추세다. 더욱이 최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2013에서 5~8인치급 패블릿이 공개됐다. 스마트폰 시장의 새로운 카테고리로 떠오른 패블릿. 스마트폰 시장에서 최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패블릿 넌 누구냐?
최근 스마트 기기간 장벽이 허물어지면서 디바이스 컨버전스가 접목된 하이브리드(변종) 제품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패블릿(Phablet)이다. 패블릿은 폰(Phone)과 태블릿(Tablet)을 합성한 신조어로 스마트폰보다 높은 휴대성, 태블릿에 준하는 높은 해상도, 더욱 커진 디스플레이까지 갖춰 소비자들로부터 인기를 얻고 있다.
디스플레이의 사이즈가 통상 5인치 이상 7인치 이하의 제품을 패블릿(Phablet)으로 지칭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9인치 이하의 제품들도 패블릿으로 포함하기 시작했다. 현재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장점이 접목된 하이브리드 제품은 패블릿(Phablet)으로 구분하는 분위기다.
|패블릿의 원조격은 델 스트릭
패블릿(Phablet)의 원조격이라면, 2010년 선보인 델 스트릭(Dell Streak)이 있다. 5인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태블릿PC 또는 태블릿폰으로 불리며, 많은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당시 스마트폰 시장 분위기가 휴대성과 그립감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여, 생각보다 큰 인기를 얻지 못했다. 델 스트릭(Dell Streak)은 출시한지 얼마 되지 않아 판매를 중단했다.
시장의 니즈는 충분했다고 판단한 제조사들은 이와 비슷한 컨셉을 지닌 제품들을 연이어 출시했다. 하지만 연이어 선보인 스마트폰, 태블릿폰, 슈퍼폰은 소비자에게 외면 받았다. 결국, 제조사들은 사실상 실패했다는 평가를 내리며,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장점을 접목한 패블릿에 대해 회의적인 시선과 함께 출시에 대한 부담감이 더해졌다.
그런데 그런 편견을 삼성전자 갤럭시노트(Galaxy Note)가 갈아치웠다. 2011년 9월 삼성전자가 IFA(Internationale Funkausstellung,베를린 국제가전박람회)에서 발표한 갤럭시노트(Galaxy Note)가 대중들의 이목을 끌기 시작한 것. 이 때부터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들도 5~6인치급 스마트폰을 선보이며, 패블릿(Phablet) 시장에 동참하게 된다.
|패블릿 시장을 개척한 갤럭시 노트 시리즈
헤럴드경제가 지난 1월 23일 보도한 기사(이동통신사와 제조사 집계를 취합한 결과)에 따르면, 2012년 한 해 동안 국내에서 판매된 2200만대 중 패블릿이 차지한 비중은 33%에 달했다. 그 중 삼성전자가 내놓은 갤럭시 노트, 갤럭시 노트2의 인기에 힘입어 76%를 차지했고, 옵티머스뷰, 옵티머스뷰2를 선보인 LG전자가 13%, 베가S5와 베가 R3를 출시한 팬택이 11%를 기록했다.
원문 기사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30215000017&md=20130218003716_AN
즉,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2200만명 중 약 730만명은 패블릿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갤럭시노트 시리즈가 76%의 점유율로 약 555만명의 국내 사용자를 확보했다. 이쯤 되면, 갤럭시 노트 시리즈가 패블릿 시장의 기폭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패블릿 시장을 개척한 갤럭시 노트 시리즈는 장밋빛 전망을 기대한 글로벌 업체들이 뛰어들게 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갤럭시노트 시리즈에 힘입어 패블릿(Phablet) 시장은 본격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는 해외 시장조사기관에서 발표한 전망 보고서에서도 잘 드러난다. 시장조사기관 IHS아이서플라이는 지난 1월 16일 CES관련 보도자료를 배포하며, 글로벌 패블릿 시장(Global Phablet Market)이 2013년에는 6,40만대로 2012년 2,560만대 대비 136%나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2016년에는 1억 4,600만대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까지 출시 또는 공개된 패블릿은?
통상적으로 패블릿이라고 분류되는 스마트폰을 살펴보면,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 갤럭시노트2, 갤럭시그랜드, LG전자는 옵티머스뷰, 옵티머스뷰2, 팬택은 베가 R3, 베가, S5, 베가 NO6, 소니는 엑스페리아Z, 엑스페리아ZL, HTC는 HTC J Butterfly, 화웨이는 아센드 메이트(Ascend Mate), 아센드 D2(Ascend D2), ZTE는 그랜드S, 레노버는 아이디어폰 K900 등이 있다.
제조사 |
제품명 |
화면크기 |
해상도 |
삼성전자 |
갤럭시노트 |
5.3인치 |
1280x800 |
|
갤럭시노트2 |
5.5인치 |
1280x720 |
|
갤럭시그랜드 |
5인치 |
800x480 |
|
갤럭시노트 8.0 |
8인치 |
1280x800 |
LG전자 |
옵티머스뷰 |
5인치 |
1024x768 |
|
옵티머스뷰2 |
5인치 |
1024x768 |
|
옵티머스G 프로 |
5.5인치 |
1920x1080 |
팬택 |
베가 R3 |
5.3인치 |
1280x720 |
|
베가 S5 |
5인치 |
1280x720 |
|
베가 NO6 |
5.9인치 |
1920x1080 |
소니 |
엑스페리아Z |
5인치 |
1920x1080 |
|
엑스페리아ZL |
5인치 |
1920x1080 |
HTC |
HTC J 버터플라이 |
5인치 |
1920x1080 |
화웨이 |
아센드 메이트 |
6.1인치 |
1920x1080or1280x720 |
|
아센드 D2 |
5인치 |
1920x1080 |
ZTE |
그랜드S |
5인치 |
1920x1080 |
레노버 |
아이디어폰 K900 |
5.5인치 |
1920x1080 |
델 |
델 스트릭 |
5인치 |
800x480 |
모바일의 새로운 지평(The New Mobile Horizon)을 주제로 열린 MWC 2013에서 글로벌 제조사들이 다양한 패블릿을 전시했다. 국내 제조사 중 삼성전자는 S펜의 기능을 강화한 갤럭시노트 8.0와 5인치 대화면의 갤럭시 그랜드를 새롭게 선보였고. LG전자는 최근 국내 출시한 옵티머스 G Pro와 옵티머스 뷰2를 내놓았다.
이외에도 화웨이는 6.1인치 아센드 메이트(Ascend Mate)와 5인치 아센드 D2(Ascend D2)를, ZTE는 5.7인치 그랜드 메모와 5인치 그랜드S LTE를, 레노버는 인텔 전시관을 통해 5.5인치 아이디어폰 K900을, 소니는 5인치대 엑스페리아Z와 ZL 그리고 6.44인치 풀HD 화면을 채택한 패블릿을 각각 공개했다.
|패블릿(갤럭시노트)의 성공요소
델 스트릭(Dell Streak)은 실패했지만 삼성 갤럭시노트(Galaxy Note)는 성공했다. 삼성 갤럭시노트의 성공요인은 무엇일까? 어떤 요인으로 패블릿 시장을 개척하게 되었는지 함께 살펴보자.
패블릿이라고 불리는 갤럭시노트는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장점이 접목된 만큼 디스플레이의 특징이 두드러진다. 5.3인치 HD Super AMOLED 디스플레이와 강력한 하드웨어가 어우러져 다양한 Full HD(1080p) 동영상 재생은 물론이고 웹서핑, 전자문서, 동영상 녹화 및 재생까지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생하게 즐길 수 있는 사용환경을 갖췄다. 또한, 고화질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N스크린 서비스와 통신환경(LTE)이 조성되면서 패블릿의 단점은 장점으로 바뀌었다.
이 뿐만 아니다. 갤럭시노트가 인기를 얻은 가장 큰 이유는 S펜의 도입을 꼽을 수 있다. 새로운 사용자 환경을 제공한 S펜은 S펜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기능들이 접목되면서, 차별화된 특화 기능으로 거듭났다. 특히 S펜을 통해 섬세하고 자연스러운 필기감과 풍부한 표현이 가능하게 되면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마지막으로 배터리 성능을 꼽을 수 있다. 사실 갤럭시노트는 강력한 최신 하드웨어를 탑재하고, 새로운 기능을 중심으로 소비자들에게 사랑을 받았지만 배터리 성능에 대한 불만이 꾸준하게 제기됐다. 삼성전자는 이러한 불만을 빠르게 잠재우기 위해 차기작 갤럭시노트2에서 배터리 용량을 2500mAh에서 600mAh 늘린 3100mAh로 출시했다. 결국, 배터리 용량이 늘어나자 소비자 불만은 온/오프라인에서 빠르게 잦아들었다.
배터리 성능 비교 결과 관련 기사 :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2100802010351759002
사실 배터리 성능은 사소하게 생각될 수 있지만, 휴대성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매우 중요한 요소다.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웹서핑을 비롯해 모바일 메신저, N스크린 서비스, 웹툰, 스트리밍 서비스와 같은 인터넷 서비스는 스마트폰의 배터리 사용시간을 매우 빠르게 단축시킨다.
LTE 스마트폰이 출시 이후 짧은 배터리 사용시간으로 인해 꽤 많은 제품들이 소비자들에게 외면 받았다. 아무리 고성능 스펙을 갖추고 있더라도 반나절도 가지 않는 짧은 배터리 수명을 가지고 있다면, 그 제품을 외면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 아닐까.
어쩌면, 최신 하드웨어를 탑재하는 것에 발맞춰 개선된 배터리 성능을 갖추는 것이 패블릿 시장의 성공을 위한 핵심 키워드가 될지도 모르겠다.
이 원고는 삼성 SDI 블로그에 기고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Via : http://sdistory.com/60185540639)
'휴대폰/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S4 속도와 성능, 그리고 화질을 사로잡다 (1) | 2013.05.29 |
---|---|
소비자 베네핏을 좀 더 보여주지 못한 갤럭시S4 미디어데이 (0) | 2013.04.29 |
[이슈정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갤럭시노트3 출시 소식 (0) | 2013.03.26 |
[갤럭시S4 Unpacked 2013 총정리] 하드웨어 스펙이 아닌 소프트웨어 사용자 경험을 외친 삼성전자 (0) | 2013.03.19 |
VEGA No6의 재발견, 가성비가 뛰어난 번들 이어폰 (1) | 2013.03.07 |
[이슈 총정리] 갤럭시S4 초대장 공식 배포, 애플을 향한 정면 도발 (0) | 2013.02.27 |
갤럭시탭 7.7의 모습이 엿보인 갤럭시노트 8.0, 기대반 걱정반 (0) | 2013.02.27 |
[MWC2013] 글로벌 모바일 3대 관전 포인트는? (0) | 2013.02.26 |
가격과 실속을 챙긴 알뜰폰, 단말기 자급제 활성화 기폭제 될까? (2) | 2013.02.22 |
삼성 갤럭시 브랜드 가치, 구글 안드로이드를 넘어서나? (1) | 2013.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