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휴대폰/모바일

갤럭시S3 3G 모델 및 LTE 모델 국내출시 전략 살펴보기

갤럭시S3 3G 모델 및 LTE 모델 국내출시 전략 살펴보기

 

삼성전자가 지난 3일 영국 런던에서 공개한 갤럭시S3가 3G와 LTE 모델로 출시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출시가 임박한 국가를 중심으로 갤럭시S3의 스펙 사양이 공개되고 있는데, 차등 사양을 두고 있어 이에 대한 이슈가 뜨겁다. 더욱이 삼성전자가 동일한 제품에 차등 사양을 적용한 이유를 밝히지 않고 있어 논란이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에 해외 출시 전략을 미루어 국내 출시 전략을 살펴보도록 하자.

 

 

 

영국과 일본으로 출시되는 갤럭시S3 스펙 비교

먼저 이슈가 되고 있는 영국 런던에서 공개된 갤럭시S3 스펙과 일본 NTT도코모에서 출시되는 갤럭시S3의 스펙을 비교해보자. NTT도코모가 공개한 갤럭시S3 LTE 모델 SC-06D(코드네임)은 영국에서 공개된 스펙이 일부 다르다.

 

영국에서 공개된 갤럭시S3 3G(HSPA+) 모델에는 엑시노스 기반으로 출시되는 반면, 일본 NTT도코모가 출시하는 갤럭시S3 LTE 모델의 경우 스냅드래곤S4로 출시된다. 또한 RAM용량에서도 갤럭시S3 3G 모델 1GB(영국), 갤럭시S3 LTE 모델 2GB(일본-NTT도코모) 차이를 보인다.

 

 

갤럭시S3 3G

모델명

갤럭시S3 LTE

영국

국가

일본

3G HSPA+ / 4G LTE

네트워크

4G LTE

삼성 엑시노스 4412 1.4GHz 쿼드코어

CPU

퀄컴 MSM8960 1.5GHz

스냅드래곤S4 듀얼코어

DDR2 1GB

RAM

2GB

4.8인치 슈퍼아몰레드 HD 디스플레이

720×1280 (펜타일 방식-306ppi)

Display

해상도

4.8인치 슈퍼아몰레드 HD 디스플레이

720×1280 (펜타일 방식-306ppi)

Mail-400 쿼드코어

GPU

Mail-400 쿼드코어

16GB/32GB 내장 메모리

저장용량

32GB 내장 메모리

800만화소 후면 / 190만 화소 전면

AF / LED Flash

Camera

800만화소 후면 / 190만 화소 전면

AF / LED Flash

802.11 a/b/g/n

Wi-Fi

802.11 a/b/g/n

블루투스 4.0

Bluetooth

블루투스 4.0

사운드얼라이브(SoundAlive)

Sound

사운드얼라이브(SoundAlive)

Li-ion 2,100mAh 교체형

배터리

Li-ion 2,100mAh 교체형

133.6 x 70.6 x 8.6mm

크기

133.6 x 70.6 x 9mm

133g

무게

139g

안드로이드 v4.0.4

OS

안드로이드 v4.0.4

 

두께와 무게에서도 미묘한 차이를 보인다. 일본에서 출시되는 갤럭시S3 LTE의 두께는 9mm로 갤럭시S3 3G(영국)의 두께보다 0.4mm 두껍다. 두껍기 때문에 무게도 6g 늘어났다.

 

아직 일본에 출시된 갤럭시S3 LTE의 상세사양이 공개된 것이 아니라서 DMB의 탑재여부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이 상황을 본다면 갤럭시S3 3G 모델에는 삼성 엑시노스 프로세서와 1GB 메모리를 갤럭시S3 LTE 모델에는 퀄컴 스냅드래곤S4와 2GB 메모리로 탑재될 것이 유력해 보인다.

 

Source : http://www.galaxys3newsblog.com/ntt-docomo-announces-dual-core-samsung-galaxy-s3-for-japan/

 

 

갤럭시S3 3G와 LTE 스펙에 차등을 두는 이유?
삼성전자가 동일 제품에 차등 사양을 적용한 이유는 무엇일까? 공식적으로 언급하진 않았지만 국가별 현지화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명목상으로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힌다는 것을 내세울 수도 있을 것이다.

 

갤럭시 노트가 해외에서는 3G와 LTE 모델이 모두 출시된 선례를 가지고 좋은 반응을 이끌어 냈다는 점이 비춰볼 때, 근본적으로는 갤럭시S3의 브랜드 파워에 힘입어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

 

글로벌 시장에서 모바일 브랜드 갤럭시가 가진 가치는 상당히 높다. 벌써부터 프리미엄 이미지를 구축했고, 갤럭시 노트가 국내외에서 호평을 받으면서 스마트폰 시장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삼성전자의 후속 제품인 갤럭시S3로 3G와 LTE 시장을 동시에 공략할 수 있는 여력을 확보했다는 것이다.

 

더군다나 갤럭시S3의 스펙을 3G와 LTE 모델로 차등을 두는 것이 좀 더 많은 소비자가 삼성전자 스마트폰 갤럭시S3를 선택할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이는 3G 스마트폰 시장과 LTE 스마트폰 시장의 점유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이처럼 삼성전자가 갤럭시S3를 3G와 LTE 모델로 선보이면서 다양한 소비자층을 공략하겠다는 의지를 엿볼 수 있다. 결국, 삼성전자는 갤럭시S3를 3G 모델과 LTE 모델로 스펙에 차등을 두어 원활한 시장공략을 계획하고 있을 것이다.

 

 

국내에 출시되는 갤럭시S3 3G와 LTE 모델의 스펙은?
그렇다면 동일 제품에 스펙 차등을 두어야 하는데, 국내 출시 시에는 삼성전자가 어떤 선택을 하게 될까? 아마도 해외 출시되는 제품들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유력해 보인다.

 

우선 메모리(RAM)는 3G 모델 1GB와 LTE 모델 2GB이 탑재될 것은 확실해 보인다. 그래야 2GB 메모리를 지닌 LG전자의 옵티머스 LTE2와 경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스펙의 차등을 두어 마케팅 포인트로도 활용하기 위함도 있을 것이다.

 

중요한 부분은 프로세서가 모두 삼성 엑시노스를 탑재하느냐 아니면 3G 모델 엑시노스, LTE 모델 스냅드래곤S4가 내장되는지의 여부와 DMB를 LTE 모델에만 탑재하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다. 소비자들의 욕구 또한 엑시노스 프로세서에 대한 선호도가 높기 때문에 사전 시장조사를 통해 삼성전자가 인식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만일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 출시 때 불거진 엑시노스 모델 역수입 사건을 기억하고 있다면 삼성 엑시노스를 선택할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

 

그리고 DMB의 내장여부는 논란이 많지만 3G 모델에서는 DMB 제외 4G LTE 모델에서는 DMB가 탑재되지 않을까 싶다. 그 이유는 3G 모델은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통해 공중파 방송을 볼 수 있는 앱을 이용하면 DMB가 제외된 부분을 커버할 수 있고, 4G LTE 모델은 DMB의 탑재로 실시간 스트리밍 콘텐츠를 확보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녀 데이터 요금제에 대한 압박을 우회할 수 있게 된다.

 

즉, 두 가지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고 차별화 전략을 강점으로 내세울 수 있어 DMB의 장착여부는 3G 모델은 제외 4G LTE 모델은 탑재로 좁혀지지 않을까 싶다. 이는 (해외용 제품이라 없었을 수도 있지만) 갤럭시S3를 직접 만져보면서 DMB 안테나를 찾지 못했다는 부분에서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해준다.
 

갤럭시S3 3G

모델명

갤럭시S3 LTE

HSPA+(21Mbps)

네트워크

LTE(73Mbps)

삼성 엑시노스 4412 1.4GHz 쿼드코어

AP와 통신칩(투칩)

CPU

삼성 엑시노스 4412 1.4GHz 쿼드코어

AP+통신칩 결합(원칩)

DDR2 1GB

RAM

2GB

4.8인치 슈퍼아몰레드 HD 디스플레이

720×1280 (펜타일 방식-306ppi)

Display

해상도

4.8인치 슈퍼아몰레드 HD 디스플레이

720×1280 (펜타일 방식-306ppi)

Mail-400 쿼드코어

GPU

Mail-400 쿼드코어

16GB/32GB 내장 메모리

저장용량

32GB 내장 메모리

800만화소 후면 / 190만 화소 전면

AF / LED Flash

Camera

800만화소 후면 / 190만 화소 전면

AF / LED Flash

802.11 a/b/g/n

Wi-Fi

802.11 a/b/g/n

블루투스 4.0

Bluetooth

블루투스 4.0

미탑재(예상)

DMB

탑재(예상)

사운드얼라이브(SoundAlive)

Sound

사운드얼라이브(SoundAlive)

Li-ion 2,100mAh 교체형

배터리

Li-ion 2,100mAh 교체형

133.6 x 70.6 x 8.6mm

크기

133.6 x 70.6 x 9mm

133g

무게

139g

안드로이드 v4.0.4

OS

안드로이드 v4.0.4

 

결국 갤럭시S3 3G 모델과 LTE 모델이 출시되어야 정확한 스펙이 모두 드러나겠지만 감춰진 상태에서 추측해 볼 수 있는 한계는 여기까지가 아닐까 싶다. 최근 증권사와 SK텔레콤 대리점을 통해 갤럭시S3 예약판매를 시작한 가운데 갤럭시S3가 어떤 평가를 받을 수 있을지 무척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