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가레이서2(Vegaracer2)의 장점은 소프트웨어 최적화
WIS2012에 참가한 SK텔레콤을 통해 팬택 스카이가 야심차게 내놓은 베가레이서2(Vegaracer2)를 만났다. 큰 기대감을 가지고 있던 터라 주저하지 않고 화이트 색상이 전시된 베가레이서2(Vegaracer2)를 직접 만져봤다.
트렌디한 모습을 갖춘 베가레이서2(Vegaracer2)
스마트폰 시장에 유행처럼 불고 있는 심플하고 세련된 디자인을 베가레이서2(Vegaracer2)에서도 만나볼 수 있었다.
9.35mm의 두께와 130g의 무게는 베가레이서2의 슬림한 디자인을 돋보이게 만들어준다.
여기에 화이트 색상의 바디와 실버 메탈의 소재가 조화된 외형을 갖고 있어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풍긴다.
베가레이서2(Vegaracer2) 상단에는 5핀(Pin) 규격의 micro USB 연결단자, 3.5mm오디오 단자가 하단에는 DMB 안테나가 내장되어 있다.
베가레이서2(Vegaracer2) 좌/우측에는 볼륨조절 버튼과 전원버튼이 자리잡고 있다. USB 단자가 상단에 위치함으로써 거치 시 충전도 용이해졌을 뿐만 아니라 사용 편의성도 높아졌다.
디자인 평가 : ★★★★☆
만지면 만질수록 매력적인 베가레이서2(Vegaracer2)
베가레이서2를 만지면 빠른 반응속도에 감탄하게 된다. 스냅드래곤 S4 프로세서를 비롯해 하드웨어 성능이 충분히 받쳐줄 수 있는 면모도 있겠지만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및 소프트웨어 최적화가 잘되어 있다. 이는 애플리케이션이나 기능 앱을 실행할 때의 반응속도에서도 잘 나타난다.
하드웨어의 스펙이 뛰어나도 발적화(최적화의 반대 개념)가 되었다면 빠르고 부드럽게 실행될 수 없다. 따라서 운영체제 및 소프트웨어 최적화가 무척 중요하다. 그런 측면에서 팬택 스카이의 베가레이서2는 애플리케이션이나 기능 앱을 실행 속도가 빠르고 UI의 움직임이 부드러워 최적화가 잘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례로 베가레이서2에 있는 제로 셔터 랙 기술을 이용해 사진을 촬영할 때에도 이미지 저장되는 속도가 촬영하는 속도를 따라가 버벅이는 현상을 느낄 수 없었다.
기능&사용성 : ★★★★☆
양날의 검이 되어버린 음성인식기능
팬택 스카이는 세계최초 대화형 한국어 음성 기능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탑재했다. 이 기능은 블링고(vlingo)에서 제공하는 음성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음성으로 스마트폰의 조작성을 극대화시켜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화를 걸거나 사진을 촬영 할 때, 업데이트를 하거나 인터넷 검색을 할 때, 수신한 문자를 답장할 때 음성으로 말한 내용을 텍스트로 입력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편의성을 가져다 준다.
하지만 아직 음성인식 기능이 초기단계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음성 인식률이나 기술적인 보완이 필요해 보인다. 당시 주변이 시끄러운 것도 있었지만 음성어로 웹 검색을 위해 네이버라는 단어를 반복해서 불러보았지만 인식률이 현저하게 떨어졌다. 사용자의 환경을 고려할 때, 최악의 상황을 염두 해두어야 하는 만큼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대화형 한국어 음성 기능을 지원한다고 한 만큼 좀 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수준까지 기술이 업그레이드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 못한다면 베가레이서2에 탑재된 음성인식기능은 단지 마케팅 상술로 치부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베가레이서2(Vegaracer2)에 탑재된 음성인식기능은 차별화된 서비스로 거듭나 소비자에게 호평을 받느냐 마케팅 상술로 치부되어 소비자에게 원성을 듣거나 둘 중 한가지로 좁혀질 것이다. 문제는 얼마나 빠르게 음성 인식률이나 기술적인 보완이 이뤄지느냐가 관건이다.
소프트웨어의 편의성 : ★★☆☆☆
베가레이서2(Vegaracer2)의 장점은 소프트웨어 최적화
결국 베가레이서2(Vegaracer2)에서 주목할 부분은 소비자가 쉽게 체감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최적화 부분이 될 것이다. 그것은 베가레이서2의 장점을 극대화 시켜줄 것이고, 하드웨어 스펙의 격차를 좁혀줄 것이다.
단지 최적화 및 안정성 문제로 인해 안드로이드 업데이트가 타사에 비해 늦다는 점은 최대 단점으로 꼽힌다. 순정상태의 베가레이서2(Vegaracer2)가 워낙 최적화가 잘되어 있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사용자의 입장에서 업데이트가 느리기 때문에 불만이 커질 수 있을 것이다.
삼성전자 갤럭시S3와 결전을 앞둔 상황에서 베가레이서2가 소비자들에게 좋은 평가를 얻어낸다면, 전작 이상의 판매량을 기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제품으로 보인다.
'휴대폰/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S3 3G 모델 및 LTE 모델 국내출시 전략 살펴보기 (0) | 2012.05.31 |
---|---|
페이스북 애플 엔지니어 고용, 페이스북폰 출시 가속화? (0) | 2012.05.29 |
인텔 2세대 i5프로세서 탑재한 삼성 크롬박스 출시 확인 (1) | 2012.05.25 |
2GB 메모리로 무장한 옵티머스 LTE2의 전략은 무엇? (0) | 2012.05.25 |
갤럭시S3 출시 전, 갤럭시S3 전용 HD 필름 출시? (0) | 2012.05.23 |
국내 시장 점유율 2위를 노리는 베가레이서2 vs 옵티머스LTE2 (2) | 2012.05.10 |
MP3P/PMP시장의 몰락을 예고하는 아이스테이션 사태 (2) | 2012.05.09 |
세가지 아쉬움과 새로운 기대감을 선보인 갤럭시S3 (1) | 2012.05.08 |
[출시소식] 슬림베젤이 돋보이는 더 넥스트 갤럭시(갤럭시S3) (0) | 2012.05.03 |
LTE 품질평가로 드러난 LTE 데이터 속도의 불편한 진실 (6) | 2012.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