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삼성 스마트TV 무엇이 달라졌을까?
지난 2월 8일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열린 삼성 스마트TV 신제품 발표회에서 2012년형 삼성 스마트TV 시리즈가 공개되었습니다. 이날 삼성전자에서 선보인 스마트TV 신제품은 ES6000, ES7000, ES8000 시리즈입니다.
46인치, 55인치, 60인치, 65인치로 판매되는 삼성 스마트TV는 스마트 인터렉션(Smart Interection)을 비롯해 다양한 기능들이 접목되어 보고(See), 듣고(Listen), 실행(Do) 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 글을 읽기 전에 추천을 눌러주시면 더욱 많은 분들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dtalker.tistory.com
http://www.dtalker.net
http://blog.naver.com/dtalker
그 중 삼성전자가 강조한 부분은 음성인식 기능입니다. 사용자의 음성을 통해 TV를 제어할 수 있는 음성인식 기능은 미래지향형 서비스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스마트(똑똑한)TV라고 합니다.
사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하이 티비(Hi TV)라고 말하, 음성 인식 기능을 시작하고 제어가 가능한 키워드들을 표시해 줍니다. 채널 제어하기 위해서는 채널 올려나 채널 내려라고 말하면 되고, 음성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볼륨 올려 또는 볼륨 내려라고 말하면 됩니다. 물론 채널 바로가기도 지원한답니다.
또한 주변 소음으로 인한 음성인식 기능의 정확성을 좀 더 높이기 위해 스마트 터치 리모컨에서도 음성인식을 TV에 전달하도록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합니다. 스마트 터치 리모컨은 이외에도 전면부에 위치한 터치패드 부분을 마우스 패드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음성 인식 기능 중에서 가장 필요하게 생각되었던 기능인데요. TV의 볼륨이 높게 올라가 있는 상태에서도 사람의 음성을 정확하게 인식 할 수 있는 기능이 적용되어 있었다는 점입니다. 시연장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몰려 시끄러운 상황이 연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정확한 인식률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런데 이런 음성 인식 기능을 IPTV 셋톱박스를 사용하는 가정에서도 사용할 수 있을까라는 궁금증이 들었는데요. Q&A시간에도 이와 같은 질문이 나왔습니다. 삼성전자 관계자에 의하면 스마트TV를 구매한 사용자들이 IPTV를 함께 사용할 경우. IPTV 셋톱박스와 연동되는 별도의 액세서리(와이어리스 IR 블레스터)를 구매하면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고 하니 유용하게 사용될 기능으로 보입니다.
두번째로 얼굴 인식 기능이 눈에 띄였는데요. 스마트TV에 사용자의 얼굴을 등록해 놓으면, 로그인이 필요한 개인화된 콘텐츠 서비스(스마트 허브, 스카이프)를 즐길 수 있습니다. 즉, 사용자의 얼굴을 스마트TV가 자동으로 인식해 각각의 계정으로 로그인을 가능하게 도와줍니다.
이와 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앱)이 늘어날 경우 개인화된 서비스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능들이 출현하게 될 것 같네요. 예를 들면, 아이들의 얼굴을 미리 등록시키고 시청할 수 있는 채널을 제한한다던가 시청시간을 조절해 건전한 스마트TV 시청이 가능하도록 도와줄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또한 사용자의 얼굴 정보를 인식해 즐겨찾는 채널을 손쉽게 이동할 수 있는 개인화된 채널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겠네요.
세번째로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패밀리 스토리와 올쉐어 플레이 기능이 주목 받았습니다. 스마트TV가 가정에서 사용되는 만큼 가족이라는 키워드에 서비스가 접목되었는데요.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패밀리 스토리(Family Story)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인 사진, 동영상을 가족끼리 공유할 수 있고 스마트폰, 태블릿 등을 통해서 남긴 메시지와 가족행사의 주요 일정을 스마트TV로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더불어 삼성전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공유할 수 있는 올쉐어 플레이(Allshare Play) 서비스도 함께 선보였습니다. 와이파이(Wi-Fi) 기반의 공유서비스는 와이파이(Wi-Fi) 기반의 공유서비스인 올쉐어(Allshare) 서비스가 한층 강화된 콘텐츠 공유 서비스입니다.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삼성전자 제품 중에서 올쉐어(Allshare)를 지원하는 단말기(스마트폰, 태블릿)와 가전제품(스마트TV, 블루레이)을 보유해야 하고, 동일한 네트워크상의 공유기(SSID)에 접속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 두가지 서비스로 인해 삼성 스마트TV의 공유 서비스가 한층 강화되면서 타사와 차별화되는 경쟁력을 지니게 된 것 같네요.
그리고 네번째로 VOD 콘텐츠 서비스인 피트니스(FITNESS)와 키즈(KIDS) 서비스가 이목을 끌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삼성전자가 이 두 서비스를 주부들에게 맞춰 차별화된 서비스로 내세우는 것 같았습니다. 특히 경제의 주도권을 지닌 주부들에게 맞춰 특화된 VOD 서비스로 보였습니다.
특히 교육열이 극에 달한 현 시점에서 키즈(KIDS) 서비스를 통해 100가지 이상의 무료 교육프로그램 VOD와 전자책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은 주부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충분해 보입니다. 스마트TV는 가전 제품에 민감한 30~40대 층을 중심으로 이 제품을 어필할 것으로 보이네요. 따라서 삼성전자의 마케팅도 이러한 부분에 초점이 맞춰지지 않을까 싶네요.
이와 함께 여성들을 타겟으로 한 피트니스(FITNESS) VOD 서비스를 선보였는데요. 피트니스(FITNESS) 서비스는 최근 자신을 가꾸는 여성들이 늘어나면서 내세우는 서비스 같습니다. 이 서비스의 특징은 피트니스(FITNESS) 동작을 스마트TV에 내장된 카메라로 확인하고 교정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주부들은 해야 할 일이 많기 때문에 자신을 가꾸는 것이 쉽지 않죠.
하지만 삼성전자에서 선보인 스마트TV의 피트니스(FITNESS) 서비스를 이용한다면 큰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집에서 손쉽게 운동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스마트폰을 통해 운동한 결과를 체크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유용한 서비스라고 할 수 있겠네요.
마지막으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모았지만 호불호가 극명하게 나뉘었던 동작인식 기능입니다. 이 날 많은 블로거들도 영화 속에 나왔던 미래 지향적인 서비스를 직접 이용할 수 있다는 사실에 큰 관심을 보였습니다. 동작인식 기능은 스마트TV 제어용 제스처(동작) 인식기술로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해 스마트TV를 제어하는 기술입니다.
이 기능을 접해본 블로거들은 대체적으로 두 가지 반응을 나타났습니다. 동작인식 기술을 긍정적으로 보거나 아직은 이르다는 반응으로 나뉘었습니다. 먼저 긍정적인 시각으로 본 블로거들은 동작인식 기술 하나만 놓고 본 것이 아니라 음성인식을 포함한 스마트TV를 말하긴 했습니다만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적용됐다는 점에 높은 점수를 주었습니다.
그 이유는 경쟁사인 LG전자가 TV 리모컨을 통해 음성 및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데, 그치고 있지만 삼성전자는 리모컨을 통하지 않고 음성 및 손동작으로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이죠. 물론 각기 장단점이 있습니다. LG전자는 매직 모션 리모컨을 구매하면 기존의 스마트TV를 제어할 수 있는데 반해 삼성전자는 이를 지원하는 스마트TV를 구매해야 하는 비용 지출이 크다는 것입니다. 이런 작은 차이지만 사용자가 느끼는 부분은 크지 않을까 싶네요.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스마트TV에 동작인식 기능이 적용되면서 엔터테인먼트 분야로 시장을 넓힐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이는 스마트TV에 적용된 동작인식 기능이 XBox(엑스박스)가 지닌 게임 시장까지 포용할 수 있기 때문이죠. 먼저 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야 하지만 불가능한 영역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좀 더 하드웨어의 성능과 관련 기능이 개선되고, 게임 개발자들이 뒷받침 해준다면 또 엔터테인먼트 게임기기 시장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처럼 보입니다.
반면,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 본 저와 제 주변 블로거 분들은 동작인식 기술의 반응이 느렸다는 점을 지적하며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CES2012를 통해 살펴보았지만 이 날 소개된 동작인식 기능을 냉정하게 (개인적인 기준으로) 평가해 본다면 스마트TV에 적용된 동작인식 기능은 제가 기대했던 반응속도보다 느렸다는 것입니다. 물론 스마트TV에 적용된 동작인식 기능의 성능은 XBox(엑스박스)의 동작인식 기능의 성능과 매우 비슷했습니다.
그러나 사용자가 동작인식 기능을 통해 리모컨보다 빠르게 조작하는 것은 불가능했다는 것이죠. 이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매우 사소하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빠르게 적응하기 위해서는 기존보다 빠르고 간편한 조작성을 제공해야 하는데 스마트TV에 적용된 동작인식 기능은 그렇지 못했습니다. 사용자가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학습하는 것에 불편함을 느끼거나 자주 사용하지 않게 된다면 있으나 마나겠죠.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스마트TV에 있는 동작인식 기능은 이를 보조해주는 인터페이스로 생각해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를 주된 인터페이스로 사용한다고 한다면 불편함이 뒤따를 것 같습니다. 하지만 동작인식 기능이 좀 더 개선된다면 그 때의 평가는 좀 더 달라지게 될 것 같네요.
지금까지 삼성전자가 공개한 2012년 스마트TV를 살펴봤습니다. 스마트 인터렉션(Smart Interection)이 적용된 2012년 스마트TV는 소비자들의 눈을 자극하며, 새로운 세상을 개척하고 있습니다. 영화 속에 나오는 고차원적인 수준의 기술은 적용되지 않았지만 음성인식 기능이나 동작인식 기능을 통해 앞으로 스마트TV가 어떻게 변화할지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는 계기가 된 것 같네요.
한가지 고무적인 부분은 삼성전자가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영역을 조금씩 강화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앞으로 사용자 중심으로 스마트TV가 발전해 나아갈 가능성이 높은 만큼 이는 반가운 소식으로 보이네요. 이제 막 새로운 입력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스마트TV가 첫 출현하게 된 만큼 해가 지날수록 변화할 스마트TV가 어떤 변화를 보여줄지 주목할 만한 시점이 아닐까 싶네요.
'디스플레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큘러스 리프트와 Gear VR의 정식 출시 시기와 탑재될 디스플레이 예측 (0) | 2014.08.01 |
---|---|
2013년형 삼성 스마트TV가 내세운 3대 핵심 요소 (0) | 2013.02.25 |
삼성 스마트TV가 있다면 놓친 2012 런던 올림픽 경기 네이트TV로 다시 보자! (0) | 2012.08.07 |
2012년 런던 올림픽, 삼성 스마트TV를 통해 3D TV 중계 시청하기 (0) | 2012.08.02 |
아이 트래킹 기술이 적용된 무안경 시네마 3D 모니터 (0) | 2011.07.12 |
홍콩에서 빛난 LG 시네마 3D 스마트 TV (0) | 2011.04.01 |
LG전자, ‘TV 리모콘으로 기부하세요’ (0) | 2011.03.30 |
LG전자 모텔 TV시장 공략을 위해 3D 성인물을 공급한다! (1) | 2011.03.29 |
앞은 TV 리모콘 뒤는 쿼티자판. 삼성 스마트 리모콘 출시 (0) | 2011.03.28 |
LG전자, 국내외 3D 콘텐츠업체와 연합전선 구축 (0) | 2011.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