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지털/과학

2012년 스마트폰 시장을 주목해야 할5대 키워드–삼성전자와 바다폰(Bada)

[컬럼] 2012년 스마트폰 시장을 주목해야 할5대 키워드–삼성전자와 바다폰(Bada)

5회에 걸쳐 기획된 이번 컬럼은 이동통신사와 스마트폰의 제조사의 전략을 분석해 2012년 스마트폰 시장 전망을 진단해볼까 한다. 세번째 키워드로 이동통신사와 윈도폰(윈도우폰7) 살펴봤다. 지금 살펴볼 네번째 키워드는 삼성전자와 바다폰(Bada)을 꼽고 싶다. 삼성전자와 바다폰(Bada)을 왜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하는지 지금부터 함께 살펴보자.



이 글을 읽기 전에 추천을 눌러주시면 더욱 많은 분들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dtalker.tistory.com
http://www.dtalker.net
http://blog.naver.com/dtalker



다섯번째 키워드-삼성전자와 바다폰(Bada)
삼성전자 이건희 회장이 복귀하면서 자사의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소프트웨어(SW) 경쟁력 강화를 주문했다. 특히 올 하반기 삼성전자가 바다폰(Bada)의 운영체제인 바다(Bada)를 오픈소스로 공개할 것을 밝혀 업계의 이목을 주목시키기도 했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소프트(MS)와 포괄적 파트너쉽을 체결, 각자가 보유한 특허 라이센스를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이런 배경에는 유럽시장에 출시한 삼성전자의 바다폰(Bada)이 MS 윈도우폰보다 성공적으로 시장에 진입하게 된 것이 결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가트너가 발표한 2011년 3분기 전세계 스마트폰 판매 현황을 살펴보면 알 수 있다.


 


표를 살펴보면 안드로이드 52.5%, 심비안 16.9%, iOS 15%, 리서치 인 모션 11%, 바다 2.2%, 마이크로소프트 1.5% 등을 기록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난해 대비해서 성장한 것은 안드로이드폰과 바다폰이였다. 아직까지 10%대 진입은 꿈 같은 일이지만 시장 가능성을 충분히 엿봤다.


예상컨데 삼성전자 2012년 바다폰 목표 예상치는 전세계 시장점유율 최소 5%에서 최대 10%까지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삼성전자 내부적으로도 지난해 대비 100%의 성장을 일궈냈기 때문에 분명 2012년 최소 100%이상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바다폰은 유독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다. 그 이유는 짧은 주기로 빠르게 변화하는 국내 스마트폰 시장의 특수성이다. 국내 스마트폰 시장은 아이폰의 출시 이후 빠르게 변했다. 더욱이2010년 하반기 아이폰4가 출시되면서 2011년 스마트폰 트랜드는 더욱 빠르게 변화한 것. 중요한 것은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애플 아이폰과 차별화를 두기 위해 빠른 반응속도를 갖춘 스마트폰으로 제품 차별화를 꾀하면서 하드웨어 스펙 경쟁이 불붙었다.

이 때문에 높은 사양을 지닌 스마트폰이 대거 출시되면서 사용자들의 이목이 집중됐고, 이동통신사의 보조금 지원으로 무료로 구매할 수 있는 길이 열리면서 고사양의 스마트폰 대중화 시대에 접어들었다. 결국 스마트폰 대중화라는 타이틀을 달고 등장한 웨이브 시리즈는 국내 사용자가 원했던 하드웨어 스펙을 갖추지 못해 이슈도 되지 못하고 잊혀졌다. 당시 소비자가 원하는 트랜드에 부합하지 못했던 웨이브 시리즈는 보급형 스마트폰이라는 이미지가 강했던 탓일까?자신만의 색깔을 드러낼 기회를 잃어버린 듯 했다.


그런데 2012년 1월초 바다2.0을 탑재한 바다폰(Bada) 웨이브3를 출시하면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바로 바다폰(Bada) 웨이브3의 스펙이 최근 출시되고 있는 스펙과 비슷하다는 것. 스냅드래곤 1.4GHz 프로세서(싱글코어), 4인치형 슈퍼아몰레드(Super-AMOLED) 디스플레이, 블루투스 3.0, 500만 화소 카메라, 와이파이(WiFi) 802.11 a/b/g/n, A-GPS 등을 탑재하면서 국내 소비자의 입맛도 어느 정도 맞췄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2012년 3월까지 바다 모바일앱 공모전을 열고 앱 확보에 나섰다. 삼성전자가 준비하고 있는 앱스토어를 통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빠르게 확보하면서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계획을 수립한 것. 내년 상반기부터 삼성앱스를 통해 수 많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이 지속적으로 공개될 전망이다.

해외에서 좋은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는 바다폰(Bada) 웨이브 시리즈는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이끌어 내지 못해도 글로벌 시장을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리서치 인 모션의 시장점유율을 위협할 수 있을 정도로 바다폰(Bada)이 본격적인 성장궤도에 진입하는 시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