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휴대폰/모바일

조작된 삼성 갤럭시S3 외형 이미지와 스펙 정보


조작된 삼성 갤럭시S3 외형 이미지와 스펙 정보

한 장의 사진으로 온라인이 후끈 달아올랐다. 그 주인공은 바로 갤럭시S3로 추정되는 슬라이드 이미지 때문이다. 이 사진은 익명의 제보자가 Phandroid(팬안드로이드)에 제공한 사진인데, 이 사진에는 갤럭시S3 외형 이미지와 스펙 정보가 담겨 있었다. 이 때문에 온라인에서는 진위여부에 대해서 갑론을박이 한창이다.

Phandroid(팬안드로이드)에 따르면, 삼성 갤럭시S3의 스펙은 4.6인치 슈퍼 아몰레드 플러스 HD 디스플레이, 듀얼코어로 추정되는 1.8GHz 엑시노트 4212 프로세서, 2GB 메모리, 1200만 화소 이면조사 CMOS 센서, 근거리무선통신(NFC), 4G LTE(4세대 이동통신) 등이 탑재된다고 한다.


이 글을 읽기 전에 추천을 눌러주시면 더욱 많은 분들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dtalker.tistory.com
http://www.dtalker.net


이미지를 대충 훑어보면, 제일 오른쪽의 이미지에는 갤럭시S3로 보이는 제품명 위의 숫자가 2012년으로 되어 있고, 내년에 출시될 스펙과 유사한 면모를 보여 국내 포털사이트의 실시간 검색어 순위가 갤럭시S3가 차지할 정도로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다.

그러나 이 이미지가 공개되자 해외 IT유력매체 엔가젯에서도 몇 가지 요소를 지적하며, Fake에 가깝다라고 지적했고, 국내 커뮤니티에서도 삼성전자에서 사용하는 필수적인 요소가 빠져있다라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사실이 아닌 쪽으로 기울면서 커뮤니티와 온라인은 진위여부에 대해서 뜨거운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현재 공개된 이미지가 조작되었다라고 근거는 다음과 같다. 제품의 구도 배치와 화살표의 방향, 오타가 보이는 등 내부자료로서 사용하는 PPT의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보통 제품의 이미지는 누끼(제품의 배경)를 딴 이미지를 사용하는데 그러지 않았고 Copying을 Copiying라고 표기하는 실수를 저질렀다. 또한, HD Super AMOLED 명칭을 Super AMOLED Plus HD라고 표기한 것도 정확한 명칭 표기를 중시하는 삼성전자의 업무 특성상 반하는 상황이다.

사진을 좀 더 세밀하게 보면 포커스가 맞지 않는 부분이 아래쪽의 2개 제품인데 이는 평면적인 2D차원 물체를 촬영하는데, 절대 일어날 수 없는 현상이다. 또한 중간부분의 왼쪽 부분 선상은 NOT ALLOWED라고 읽을 수 있지만 그 오른쪽의 두번째 제품 오른쪽 텍스트는 블러현상이 생겨 읽을 수 없다는 데 있다. 아울러 내부자료로서 사용되는 필수 요소가 몇 가지 빠져 유출된 이미지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있다.(몇 가지 필수요소는 기업 기밀에 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언급하지 않음을 알려드린다.)

또한 해외 언론이 삼성전자 관계자의 인터뷰를 인용해 2012년초 2GHz 스마트폰 출시를 밝힌 인터뷰가 있었다는 점이다. 스마트폰 프로세서 로드맵과 제품 출시 사이클, 그리고 전시회를 통한 마케팅 효과 극대화 전략을 예측하면, 갤럭시S3로 추정되는 전략형 스마트폰이 2012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릴 CES2012 또는 MWC2012에서 공개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 예측이 맞는다면 CES2012나 MWC2012 전시회 이후 출시되는 전략형 스마트폰의 경우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스펙이 2GHz로 상향조정이 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타사의 제품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프로세서의 성능이 현존하는 최고의 프로세서를 탑재해야만 2012년 하반기까지 이후까지 경쟁 라인업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현재 온라인에 공개된 갤럭시S3의 이미지는 조작됐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해프닝은 아이폰4S에 대한 실망감과 갤럭시S3에 대한 기대감이 높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이목을 끌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결국 이목을 끌고 싶어했던 누군가에 의해서 벌어진 해프닝 때문에 갤럭시S3를 기다렸던 이들에게 허탈감만 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