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휴대폰/모바일

4G LTE 스마트폰을 추천하지 않는 4가지 이유!

 


4G LTE 스마트폰을 추천하지 않는 4가지 이유! / [4G LTE]스마트폰을 추천하지 않는 4가지 이유!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로 떠오른 4G LTE 서비스가 필연적으로 이용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인 가운데 4G LTE가 주목을 받고 있다. 4G LTE 스마트폰이 대거 출시되며, 그 열기도 뜨겁다. 삼성전자와 LG전자를 중심으로 4G LTE 스마트폰을 출시하며, 본격적인 4G 시대가 활짝 열리게 됐다.

 

그리고 통신서비스 업계를 중심으로 긍정적인 기대치가 팽배해 있는 가운데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동통신사가 선보인 4G LTE가 새로운 혁명의 바람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인가에 관심이 높다. 특히 이동통신사는 4G LTE에 관한 마케팅 전략으로 속도를 내세웠고, 네트워크 품질이 우수할 것이라는 기대치가 높은 상황이다.

 

하지만 4G LTE의 새 바람이 항상 긍정적일 수만은 없다. 일부 IT 언론들도 4G LTE에 대해 부정적인 부분을 지적하며, 4G LTE 서비스가 (현재로서는) 좀 더 개선되어야 4G LTE가 성공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얼마 전 일부 이동통신사가 트래픽 과부하로 인해 3G 데이터망이 불통되는 초유의 사태를 겪었기 때문에 불안심리도 남아 있다. (여기서 말하는 불안심리란 안정적인 4G 네트워크망 운영이 가능한 것인가를 뜻한다)



이 글을 읽기 전에 추천을 눌러주시면 더욱 많은 분들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dtalker.tistory.com
http://www.dtalker.net

 

현재 이와 관련되어 온라인에서는 갑론을박이 펼쳐지고 있다. 빠른 네트워크(4G LTE)와 우수한 하드웨어 스펙을 가진 4G LTE 스마트폰을 구매해야 한다는 입장과 전국 네트워크망을 갖추지 못한 4G LTE 스마트폰은 시기상조라는 입장이 대립하며, 4G LTE에 대한 이슈를 부각시키고 있다. 이쯤 되면, 4G LTE에 관련된 이야기를 꺼낼 수 밖에 없다. 개인적으로도 4G LTE 스마트폰은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관련된 이야기를 풀어볼까 한다.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4G LTE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갖고 있다고 언급했다. 4G LTE 단말기는 훌륭하지만 외적인 요소에 의해서 4G LTE 스마트폰의 매력이 반감될 수 밖에 없다는 판단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럼 지금부터 4G LTE 스마트폰을 추천하지 않는 4가지 이유를 함께 알아보자.

 

4G LTE 스마트폰을 추천하지 않는 4가지 이유!

첫번째, 완벽하게 구축되지 않은 4G LTE 서비스를 꼽을 수 있다. IT언론을 통해 공개된 것처럼 4G LTE 전국망을 가장 빠르게 구축하는 LG유플러스가 2012년말에 갖춰지며, SK텔레콤과 KT2013년에 82개 전국도시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한다. 쉽게 말해 2011년에는 수도권을 포함한 6대 광역시를 중심으로 지역으로 제한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원인은 이동통신사가 무리하게 4G LTE 네트워크 서비스를 앞당긴 데 있다. 이 때문에 4G LTE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는 소비자는 4G LTE 네트워크 서비스와 3G 네트워크 서비스를 번갈아 이용하며, 2013년까지 전국망이 구축되길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결국, (현재로서는) 주요 대도시에서는 4G LTE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지만 그 이외의 지역에서는 3G 네트워크를 이용해야 하는 반쪽짜리 서비스가 되어 버렸다.


 

두번째, 무제한 요금제가 사라진 4G LTE 요금제이다. 최근 방통위의 심의를 받은 SK텔레콤의 요금제를 살펴보면 사실상 무제한 요금제가 사라졌다. 4G LTE 스마트폰 사용자 중 대부분은 3G 무제한 데이터 사용자가 상당수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데이터 종량제를 사용하는 소비자라면 초과할지 모르는 4G LTE 데이터 요금에 대한 걱정거리를 안겨준 것이다. 물론 3G 무제한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를 의식했는지 SK텔레콤도 이를 방지하기 위해 두 가지 부가서비스를 내놓았다.

 

LTE 데이터 요금 계단식 할인 서비스(자동적용) LTE 안심 옵션이다. LTE 데이터 요금 계단식 할인 서비스는 종량제 데이터를 초과하는 경우 최대 83%까지 요금할인이 자동 적용되는 서비스이고, LTE 안심 옵션 서비스는 종량제 데이터를 초과하는 경우 4G LTE 네트워크가 아니라 3G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서비스인데 데이터 용량제를 초과했을 경우 문제가 발생한다.

 

한가지는 최대 83%까지 요금할인이 정해지지만 초과량에 따른 정확한 요금 할인기준이 발표되지 않았고, 초과량에 따라 30% 또는 50%의 할인율이 적용될 수 있어 소비자가 추가 요금 할인에 대한 가늠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는 소비자가 예상한 것보다 과다 요금이 청구될 수 있다는 문제로 이어진다.

 

또 다른 한가지는 사실상 3G 무제한 네트워크 서비스인 LTE 안심 옵션 서비스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전체적인) 4G LTE 서비스 품질저하라는 인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결국 4G LTE 서비스 불만족이라는 문제와 연결되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4G LTE 성장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빠른 것을 강조한 이동통신사의 마케팅 폐해의 단면으로 소비자가 빠른 네트워크 = LTE 안심 옵션 서비스라는 인식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세번째, 데이터 사용량이 턱없이 부족한 4G LTE 데이터 용량이다. 4G LTE 스마트폰 요금제의 꼼수 여기 있었네(http://dtalker.tistory.com/2803)에서도 밝힌 것과 같이 하루도 안되어서, 종량제 데이터 용량(10만원 요금제의 기준)의 최대폭인 10GB를 소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삼성전자가 출시한 갤럭시S2 HD LTELG전자가 옵티머스 LTE의 셀링포인트(Selling Point)HD급 동영상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는 더욱 커진다.

 

4G LTE 네트워크 전송속도가 빨라지면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반면 종량제 데이터의 용량이 부족해지기 때문이다. 이미 언론을 통해 2분만에 1.2GB의 영화 콘텐츠를 다운받을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기 때문에 고화질 동영상 콘텐츠를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재생할 경우 반나절도 되지 않아 종량데 데이터가 모두 소진될 수 있다. 이 사실은 소비자가 4G LTE 네트워크 굳이 이용해야 할 필요성을 반감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결국 대용량 콘텐츠를 많이 볼수록 4G LTE 네트워크 사용시간이 점차 줄어들고 종량제 데이터를 모두 사용할 경우 나머지 기간에는 데이터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거나 위에서 언급한 LTE 안심 옵션 서비스에 가입해 7배나 느린(SK텔레콤 기준) 3G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밖에는 없다. 이런 일련의 상황은 LTE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성능은 충분히 받쳐주지만 이동통신사의 서비스가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는 상황을 만들고 있어 4G LTE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가능성이 높다.

 

네번째, 완벽하지 않은 4G LTE 스마트폰을 꼽고 싶다. 하드웨어의 스펙 성능은 여타 다른 스마트폰과의 비교해도 월등하다. 하지만 4G LTE를 테스트하고 있는 사용자를 직접 만나 이야기를 나눠보면서 공통적인 문제점을 발견했다. 바로 배터리 사용시간이 이전 스마트폰에 비해서 더 빨리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발견된 것이다. 4G LTE 네트워크의 문제일까? 아니면 통신 칩셋의 문제일까?

 

정확한 답은 이동통신사나 스마트폰 제조사에게 들어야겠지만 삼성전자는 4G LTE 미디어데이 공식석상에서 배터리 관련 이슈는 추후 답변하겠다(기자단과 Q&A 시간 나온 질문)는 코멘트만 했을 뿐 이 사실을 직접적으로 확인해주지 않았다. 이동통신사도 이 부분에 대해서 직접적인 언급이 없었다. 하지만 4G LTE를 사용해본 사용자들의 4G LTE 스마트폰의 실 사용시간은 6시간 이하라고 답변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배터리 용량이 증가했지만 결국 더욱 커진 디스플레이의 크기와 4G LTE 3G 네트워크를 혼용할 수 있는 칩셋의 탑재로 완벽하지만 완벽하지 않은 4G LTE 스마트폰이 된 것이다. 배터리 사용시간이 짧은 것은 4G LTE 스마트폰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면서 이슈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선 4G LTE 네트워크 전국망이 구축되거나 4G-3G 네트워크 혼용 스마트폰이 아닌 4G 전용 스마트폰이 출시되어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4G LTE 스마트폰을 추천하지 않는 4가지 이유를 마치며….

지금까지 4G LTE 스마트폰을 추천하지 않는 4가지 이유를 살펴봤다. 빠른 네트워크 전송속도를 지닌 4G LTE 3G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주는 베너핏은 그리 크지 않아 보인다.

 

현재 3G 네트워크가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무제한 데이터라는 매력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종량제 데이터 요금제를 적용한 4G LTE 3G 단말기 사용자의 마음을 빼앗기 쉽지 않아 보인다.

 

개인적으로 위와 같은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2013년까지 4G LTE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은 추천하고 싶지 않다. 추후 4G LTE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리뷰를 보며, 4G LTE 서비스가 이용할만한 서비스인지를 관망하는 것도 나쁘지 않기 때문이다. 만일 4G LTE 스마트폰을 구매하게 될 경우 LTE 안심 옵션(LG유플러스나 KT에서도 이와 유사한 서비스를 내놓을 것으로 전망됨)과 같은 유사상품을 꼭 선택하라는 것은 권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