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출처 : 전자신문 한만혁 기자
SEOUL, Korea (Blogtimes 오세경) - 패킷 장벽의 무력화 전략 방안을 내건 KT 그 다음 행보는?
- 스마트폰의 성공 키워드는 ‘무제한’
KT컨버전스와이브로사업본부 김성철 상무는 지난 11월 25일 저녁7시에 열린 파워블로거를 대상으로 한 간담회에서 스마트폰 시장 확대를 위한 첫 단추로 소비자가 느끼고 있는 패킷 요금에 대한 적개심을 없애는 킬러 서비스인 3W<와이브로(WiBro), 무선랜(WiFi), 광대역 코드분할다중접속(WCDMA)>전략을 준비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Show(쇼) 마케팅 비용으로 2조나 투입되었으나 기대치에 못 미쳤고 그 대안으로 아이폰 출시를 결정했고 이를 계기로 스마트폰 시장이 급팽창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날 김성철 상무는 다양한 유무선 지원과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의 공포를 해소화 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Boom-Up 전략’을 공개했다.
KT컨버전스와이브로사업본부 김성철 상무 (사진출처 : 전자신문 한만혁 기자)
김 상무는 첫마디로 “Wi-Fi가 무선 인터넷 시장의 진입의 중요한 키워드이자 장벽이다”라고 언급했다. 이어 “고객이 Wi-Fi의 진입을 어렵게 느끼지 않도록 인터넷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스마트폰에서 충족되지 않는 부분을 채워주는 대안으로 감성에 다가서는 사용경험 디자인과 다양한 산업을 연결시키는 서비스 제공으로 새로운 고객 가치 혁신이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현재 스마트폰 시장은 Niche Market이 Mass Market을 잠식하고 있는 가운데 KT는 Niche Market(법인, B2B), Mass Market(초급, 중급 사용자)으로 시장을 나눠 공략할 계획이라고 한다.
또한 KT는 기존에 구축된 10,199개의 Netspot망과 34,000여개의 공용망을 가지고 전국망을 네트워크망을 체계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Wibro와 Wi-Fi를 통해서 유료/무료 컨텐츠를 쇼 앱스토어에서 무료로 다운 받고, 3G에서는 1kb에 0.5원으로 기존대비 1/7 수준으로 이용 가능하게 한다면, 컨텐츠가 활성화되고 고객들이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를 많이 이용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비스 개방 요금의 핵심 - 1M당 50원 미만, 정보이용료 무료>
이날 3W에 핵심 전략에 선두주자가 될 쇼옴니아(SPH-M8400) 전략폰과 함께 Qook 인터넷 전화, 7개의 홈스크린 서비스, Qook&Show(인터넷 전화), 3w 단말 탑재 서비스 Life형 서비스 등 단말 탑재 서비스를 소개했다.
쇼옴니아(SPH-M8400)은 3W 네트워크가 탑재된 국내 출시된 고사양의 스마트폰으로 단말디자인, UX/UI, LCD를 Key Factor로 단말 만족도 및 사용성 향상되었고, DMB를 제거한 보상으로 Wi-Fi를 제공했다.
김 상무는 DMB가 빠진 이유를 Wi-Fi가 가지고 있는 우수함을 강조하며 “전국 어디서나 30개 이상의 채널시청이 가능하며, 다양한 VOD 컨텐츠를 3W(WCDMA, Wibro, WiFi)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마지막으로 “지상파 DMB가 침투하지 못하는 곳까지 커버리지를 확대하고 전국망이 생성되면DMB의 영역과 Wi-Fi가 지원되는 영역을 고려해보면 무엇을 선택할지 답이 나올 것”이라고 확신했다.
이어진 질답 시간도 활발하게 진행됐다. 쇼 앱스토어의 발전방향에 대한 질문에 웹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주력 아이템으로 삼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서 다양한 개발환경을 지원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향후 UI는 제조사와 유통사의 조율이 필요한 시점이 도래한 것에 대한 견해로 김 상무는 "휴대폰 제조사나 이동통신사 모두 그동안 자사 UI를 서로 고수한 탓에 사용자 위주 UI에 대해 이번에는 삼성전자와 KT 모두 이런 욕심 버리고 양보했다"고 전했다.
또한 김문주 과장은 “데이터 시장을 형성해서 일반 고객들의 관심을 유도하는 부분이 가장 큰 부분이고, 단말기 UI부분에서 어떻게 이뤄갈 것인지 고민하고 제조사와 유통사의 협력을 통해 개선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으로 KT는 고급 개발자들 위해서 풀터치 기반의 라이브러리를 제공하고, 초·중급 개발자들을 위해서 위즈잇 방식으로 제공해 다양한 개발이 이뤄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이폰 3GS로 (직접)촬영한 사진
◆ 아이폰의 출시 그리고 KT의 향후 행보는?
KT에게 아이폰의 출시는 단지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실례로 애플에 내장되는 프로그램은 애플 앱스토어를 통해 내려 받아야 하는 만큼 애플과의 조율이 필요했다. 이런 부분에서 문제가 예견된 만큼 KT는 대부분의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KT용 어플리케이션의 구현은 아이폰 출시 이전부터 계획하지 않았고 후속으로 출시될 안드로이드 폰에 주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아이폰의 출시로 스마트 시장에 다시 한번 도약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 KT는 쇼옴니아로 확고하게 자리매김한다는 목표를 내비쳐 눈길을 모으고 있다. 쇼옴니아의 성공여부에 따라서 KT의 주전략은 스마트폰 또는 안드로이드폰을 선택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논코리아, 시야율 100% 논란 ‘환불로 종지부’ (0) | 2009.12.09 |
---|---|
이젠 USB 키패드 ‘Gboard’로 구글 Gmail을 즐기자. (0) | 2009.12.09 |
“스마트폰의 대변신 HTC Touch HD2, 아이폰 독주 멈췄거라” (0) | 2009.12.07 |
아이폰 후폭풍 KT에게 약이 될까? 독이 될까? (0) | 2009.12.03 |
애프터스쿨 유이 팬사인회가 열린 디지털 체험 매장 ‘삼성 모바일’ 1호점 (0) | 2009.12.01 |
[종합-3보] LGT 오즈옴니아, 사양 높아졌고, FMC 서비스 준비중 (0) | 2009.11.30 |
[속보-2보] LG텔레콤 FMC 서비스 내년 상반기 3, 4월 서비스 예정 (0) | 2009.11.18 |
[속보-1보] 오즈(OZ)옴니아(M7350) 내장 메모리 8GB로 확정 (0) | 2009.11.18 |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임베디드 CE 6.0 R3 출시 기념 블로거 간담회 개최 (0) | 2009.11.18 |
삼성전자, MP3 플레이어 YP-R0 기능을 담은 프로모션 동영상 유투브 공개 (0) | 2009.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