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Korea (Blogtimes 오세경) -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 11월 2일 와이브로 수요확충을 통해 사업자의 수익성 제고를 염두해두고 “무선인터넷 활성화, 다양한 서비스 개발, 와이브로 공공서비스 활성화 등 다양한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SK텔레콤과 KT간의 입장이 달라 이목이 쏠리고 있다.
그만큼 무선 인터넷 요금이 많이 나와 자살한 이가 있을 정도로 사회적 이슈가 지속되고 있다. 소비자에게 무선 인터넷 서비스 요금은 살인적인 비용을 지불해야 할 정도로 경계의 대상이 되어 버려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발전하기 위한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그런 가운데 최시중 방통위원장이 내년말까지 이동통신 요금을 20%인하 하겠다고 밝혀 통신사들은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분주하다.
한편, 아이폰 도입에 관련되어 무선랜 망개방에 대한 논의가 SK텔레콤과 KT를 중심으로 뜨거워지고 있다. 무선랜 망개방은 무선랜을 도입한 단말기를 중심으로 통신비를 절감할 수 있는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무선랜 망개방이 이뤄지면 유·무선 융합서비스와 호환되는 단말기를 활용해 무선랜을 사용할 수 있는 지역에서 무료로 이용하고 음성통화도 인터넷전화 요금(Skype)으로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새로운 통신시장의 새로운 컨버전스 상품으로 떠오른 ‘유·무선 융합서비스’에 대해서 SK텔레콤과 KT의 입장차가 뚜렷하게 대립하고 있으며, 방송통신위원회의 입장도 ‘오락가락 행보’를 보여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SK텔레콤측은 무선랜 강제인증은 현실상 어렵기 때문에 법제화하는 게 바람직하지 않고, 시내와 거주지를 중심으로 공유할 수 있는 사설 AP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겠다는 속내를 내비쳤다.
KT 김연학 가치경영실장은 외부 언론을 통해 “원칙적으로 AP에 접속하기 위해 인증이 필요하다는 게 기본 입장이며 여러 명이 동시에 접속할 경우 네트워크 품질도 떨어지기 때문에 경쟁사 가입자들에게 자사 AP를 개방할 수 없다고 못박아 방통위의 정책과 반대되는 입장을 취했다.
이처럼 유·무선 융합서비스를 도입하며 통신업계는 치열한 시장점유율 다툼을 하고 있는 가운데 방송통신위원회가 무선랜 인증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어 무선랜 망개방의 논란은 한층 뜨거워질 전망이다.
via : 방통위,‘와이브로 활성화 3대 정책방향과 8대 과제’발표
'디지털/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2010년 모바일 플랫폼 시장을 사로잡을 ‘바다’ (0) | 2009.11.10 |
---|---|
LG전자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Eve(GW620) 캐나다에서 베일을 벗다. (2) | 2009.11.10 |
건담 매니아라면 이것을 꼭 보유해야 진정한 매니아? (0) | 2009.11.09 |
SK텔레콤, 유·무선 융합서비스(FMS) 9일부터 실시 (0) | 2009.11.09 |
방통위, 무선랜 적용에 대한 이중적인 잣대 (0) | 2009.11.09 |
휴대폰의 트랜스포머 ‘람보르기니폰’ (0) | 2009.11.05 |
똑똑해진 로봇청소기 탱고로 청소 편하게 하세요 (0) | 2009.11.05 |
‘소프트웨어도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 한컴-안랩 전략적 제휴 (0) | 2009.11.05 |
아날로그 감성으로 다시 태어 난 2G 폴더폰 ‘모토클래식(MOTO Klassic)’ (0) | 2009.11.04 |
BlogGADJET의 좌충우돌 아이폰 개통기 체험기 (2) | 2009.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