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News BlogTimes] 와이브레인 M1 중국에서 eking라는 브랜드로 출시? 국내 출시 일정은?
IDF 2008에서 인텔 아톰프로세서 CPU를 채용한 M1을 공개하기도 했다. 4.8인치 WSVGA(1024 x 600) TFT-LCD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와 512MB~1GB의 메모리, Linux(리눅스)와 Windows XP를 기반으로 한다. Wi-Fi, HSDPA, 모바일 DTV 등의 기능을 지원하며 8GB, 16GB로 출시할 계획이지만 국내에선 32GB SSD를 기대할 수 없게 됐다. 슬라이딩 방식의 디스플레이와 풀 쿼티 키보드가 탑재된 것이 특징이다.
이미지출처 : UMPCPORTAL.COM
3월 31일 와이브레인 이상돈 이사가 국내 언론을 통해서 M1에 대한 뒷이야기를 풀어놨다. 현재 국내외 PC업체들과 제품양산을 위해서 접촉중이라고 하지만 중국의 eking이라는 브랜드로 공개된 것을 보면 와이브레인과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방식 또는 ODM(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방식으로 모종의 접촉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IDF 2008에서 인텔 아톰프로세서 CPU를 채용한 M1을 공개하기도 했다. 4.8인치 WSVGA(1024 x 600) TFT-LCD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와 512MB~1GB의 메모리, Linux(리눅스)와 Windows XP를 기반으로 한다. Wi-Fi, HSDPA, 모바일 DTV 등의 기능을 지원하며 8GB, 16GB로 출시할 계획이지만 국내에선 32GB SSD를 기대할 수 없게 됐다. 슬라이딩 방식의 디스플레이와 풀 쿼티 키보드가 탑재된 것이 특징이다.
한편, UMPC 및 MID를 생산하는 중소기업들은 글로벌 기업들의 시장진출로 입지가 줄어들어 판매량에서도 급감하고 있어 자금난이 가중되고 있다. 이를 비춰볼 때 와이브레인의 M1의 출시 일정이 늦춰질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 사이트 : http://www.ekingumpc.com/en/article.asp?nid=6
'디지털/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북(Netbook)이 실패 할 수 있는 3가지 요인 (6) | 2009.05.06 |
---|---|
Windows 7의 ‘XP 호환성 지원’은 VISTA 시리즈로 넘어가기 위한 포석? (0) | 2009.04.28 |
‘넷북형 닌텐도?’, 필기 인식 터치 패드를 지닌 Mebius 출시 (2) | 2009.04.22 |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업체가 출시한 HD 미디어 플레이어 ‘WD TV’ (0) | 2009.04.20 |
카메라폰이 진화했다. 뷰티 스마트의 대변화 (3) | 2009.04.20 |
사진촬영? 이제 터치로 찍어라! VLUU ST10 (0) | 2009.04.03 |
삼성전자, 아메리카 대륙 전체로 모바일 WiMAX 공략 (0) | 2009.04.02 |
LED 시계, USB로 충전하며, 심전도 측정까지? (0) | 2009.04.02 |
ASUS의 10인치 넷북, 1002H 공식 출시 (0) | 2009.04.02 |
사상 최강의 휴대성을 지닌 넷북이 돌아왔다. Vaio P15 (0) | 2009.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