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지털/과학

스마트폰이 국내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한 전략은?

[IT News BlogTimes] 스마트폰이 국내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한 전략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세계 이동통신의 최신 경향을 알 수 있는 'WMC 2009'에서 떠오르는 핫이슈는 단연 스마트폰이다. 현재 GSMA MWC 2009(Mobile World Congress)를 중심으로 다양한 전략폰이 공개되고 있는 가운데, 아날로그 방식의 키패드를 사용한 스마트폰군과 디지털 방식의 터치폰군으로 나뉘고 있다.

Windows Mobile과 같은 모바일 PC 운영체제를 통해 인터넷, E-mail, Data 문서 관리를 빠르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모바일 단말기다. 점차 치열해질 스마트폰시장에서 글로벌시장 및 국내시장을 장악하기 위해서는 특정 타겟을 중심으로 다양한 전략폰을 선보여야 한다.

2009년에는 4월부터 WIPI 규제가 풀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글로벌 모바일 제조사들의 참여로 스마트폰시장이 요동칠 전망이다. 소비자가 원하는 코드는 무엇이고, 스마트폰이 국내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한 전략은 무엇인지 살펴보기로 하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마트폰의 주요 승부처는 무엇일까?

하드웨어적인 부분 - 디자인과 제품의 완성도
소비자는 예쁘고 아름다운 디자인을 원한다. 우리나라 말 중에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는 말이 있다. 디자인이 예쁘다면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해 충동구매를 유발 할 수 있다. 그러나 아름답고 예쁘기만 해서 하드웨어적인 완성도가 떨어진다면 소비자는 구매하는데 있어서 거부감을 느낄 것이다. 자주 고장이 난다면 누가 그 제품을 들고 다니면서 사용하겠는가?

하드웨어적인 부분 - 다양한 기능
이제는 핸드폰으로 통화만하는 시대는 지났다. 핸드폰으로 전화도하고, 인터넷도 즐기며, 사진 촬영에 동영상까지 UCC로 올리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고 있다. 핸드폰을 통해서 영화와 어학공부까지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특정타겟에 맞춰 선택적인 기능을 제공하던지 아니면 기술집약적으로 모든 기능을 추가하는 형태의 제품으로 나뉘게 될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와 같은 기능들이 PC와 연결이 편리하게 이뤄져야 할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프트웨어적인 부분 - 직관적인 UI를 통한 쉬운 사용방법(아이콘)
소비자는 디자인이 예쁘면서 사용하기 편리한 제품을 주로 선호하지만 국내외를 막론하고 직관적으로 사용하기 편리한 제품은 시장을 선점하고 대중화에 앞장선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제품은 정말 잘 만들었는데, 일반인들이 사용하기 어렵다면 대중화는커녕 정작 매니아층만 사용하게 될 것이다. 아이폰의 경우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전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있다. 현재 추세는 2D UI기반에서 3D로 변화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삼성전자의 '터치위즈(TouchWiz) UI', LG전자의 'S클래스 3D UI'를 공개했고, 노키아도 '심비안' 프로그램을 개발자들에게 공개하며, 구글도 공개된 자체 운영체제 안드로이드를 적용한 스마트폰을 선보일 전망이다.

프트웨어적인 부분 - 오픈소스기반의 응용프로그램 제시
현재 삼성전자의 옴니아는 응용프로그램을 PC수준으로 끌어올렸고, 아이폰의 경우 오픈소스 기반의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지만, 국내 제조사의 경우 그렇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PC와의 호환성을 가져가고, 동기화가 잘 이뤄지는 등 오픈소스 기반으로 개방한다면 스마트폰 시장의 영역을 좀 더 넓혀갈 수 있을 것이다.

가격적인 부분 - 소비자는 실속형을 좋아한다.
올해는 휴대폰 시장이 역성장을 예고함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패턴을 잘 확인하는 것이 어느때보다 중요하다. 소비자는 프리미엄 제품을 원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가격대비 성능이 우수한 보급형 제품을 선택한다. 스마트폰을 구매하려는 국내 소비자들의 가장 큰 불만중 하나가 바로 높은 단말기 가격이다. 현재 환율이 높아 수출입 업체들이 가격경쟁력을 잃어 수출입을 자제하는 형편을 보이고 있어 불황기 속에서 고가의 전략 휴대폰보다는 '저가(보급형-50만원대 전후) 스마트폰'이 사랑받을 것이다.


 
(Blog Journalist  : 오세경 기자 iblogtimes@naver.com)

  이 포스팅이 유익하셨다 [↓추천]을 구독을 원하시면   눌러주세요
블로거뉴스에 추천하기   블로그 코리아에 추천하기   올블로그에 추천하기   믹시에 추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