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times IT News BlogTimes] PC시장의 후발주자 Acer, ASUS Eee PC를 물리치다.
이를 증명하듯 국내 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뱅크는 'Netbook 시장 전망 및 사업 전략'이라는 제목으로 다음과 같이 전망했다. "대만의 ASUSTek이 2007년 4분기부터 본격 출하하면서 새로운 시장을 형성한 Netbook 시장은 기존의 NotePC와는 다른 제품군으로 인식되며, 여러 업체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2008년 Netbook의 출하량은 1,460만대로 상용화 1년 만에 크게 성장하였다. 2009년에는 2008년 보다 크게 성장하여 NotePC 시장의 17.2%, 출하량 2,630만대를 기록할 전망"이며 "특히, 대만의 Acer와 ASUSTek는 2008년 Netbook 출하량의 7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이러한 점유율은 2009년에도 67% 이상 차지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2008년도 전체 노트북 PC시장의 11퍼센트 수준인, 1,462만 대로부터 80% 이상 성장한 수치이다.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2008년 기준 Top5 Netbook 출하 실적을 살펴보면 1위 Acer - 5,450 37.3%, 2위 ASUSTek - 4,850 33.2%, 3위 HP - 1,090 7.5%, 4위 MSI - 700 4.8% , 5위 Intel - 326 2.2%의 순으로 나타났고, 1위 Acer - 11,300(K units) 42.9%, 2위 ASUSTek - 6,450(K units) 24.5%, 3위 HP - 1,810(K units) 6.9%, 4위 MSI - 1,110(K units) 4.2%, 5위 Dell - 940 3.6%으로 나타났다.
한가지 놀라운 것은 ASUSTek에서 생산한 Eee PC가 전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시장을 먼저 선점했지만 Acer가 출하 실적이 더 높다는 의미는 시장 점유율에서 비슷하거나 더 우월하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예측 할 수 있다. 이는 새롭게 넷북 시장에 참여하는 글로벌 업체 및 중소기업에게 후발주자로 시작했지만 얼마든지 넷북 PC시장에 안착 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메세지를 담고 있다.
노트북 시장이 보편화되기까지 걸린 시간에 비한다면 2009년 Netbook, 전체 NotePC 시장의 17.2%를 차지하는 2,632만대라는 점유율은 일종의 패러다임을 형성하며 노트북/넷북(Netbook) 시장을 장악했지만, 현재 넷북이라는 의미는 화면의 크기가 7인치에서 10.2인치를 채택하는 넷북(Netbook)과 MID라는 제품군 중 일부가 이에 포함된다. 한편 인텔에서는 MID로 구분해서 분류하지만 외부에서 바라보는 시각은 넷북과 MID를 동일한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MID는 넷북과 차별화를 두지 않는다면 점차 넷북의 영역에 잠식될 것이다.
IT 업계의 위기가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PC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품목은 단연 넷북이다. Eee PC는 초창기 계획했던 프로젝트로 "100달러 노트북" PC라고 더 많이 알려졌다. 이후 2007년 10월 ASUS社에서 최초의 넷북(Netbook) ASUS Eee PC라는 브랜드로 일반적인 노트북 시세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대로 공략하며, 전세계를 넷북(Netbook)에 열광하게 만들었다.
Netbook의 출시 당시 업계의 회의적인 반응을 비웃기라도 하듯 Eee PC는 날개 돋친 듯 팔려 나갔고 출시 6개월 만에 100만대 판매를 돌파했다. 이후 글로벌 IT기업을 중심으로 시장 진출이 가시화 되기 시작했고, Acer, HP, Dell, MSI, Lenovo, 삼성, LG 등 기존 노트북 대비 50% 이상 저렴한 것을 장점으로 새로운 가격대인 '보급형' 시장을 주도함에 따라 '불황'이라는 키워드와 코드와 잘 맞아떨어져 당분간 넷북(Netbook)의 독주는 이어질 전망이다.
이를 증명하듯 국내 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뱅크는 'Netbook 시장 전망 및 사업 전략'이라는 제목으로 다음과 같이 전망했다. "대만의 ASUSTek이 2007년 4분기부터 본격 출하하면서 새로운 시장을 형성한 Netbook 시장은 기존의 NotePC와는 다른 제품군으로 인식되며, 여러 업체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2008년 Netbook의 출하량은 1,460만대로 상용화 1년 만에 크게 성장하였다. 2009년에는 2008년 보다 크게 성장하여 NotePC 시장의 17.2%, 출하량 2,630만대를 기록할 전망"이며 "특히, 대만의 Acer와 ASUSTek는 2008년 Netbook 출하량의 7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이러한 점유율은 2009년에도 67% 이상 차지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2008년도 전체 노트북 PC시장의 11퍼센트 수준인, 1,462만 대로부터 80% 이상 성장한 수치이다.
2008, 2009 Top5 Netbook 출하 실적/전망
순위 | 2008년 | 2009년(E) | ||||
업체 |
출하(K units) |
점유율 |
업체 |
출하(K units) |
점유율 | |
1 |
Acer |
5,450 | 37.3% |
Acer |
11,300 | 42.9% |
2 |
ASUSTek |
4,850 | 33.2% |
ASUSTek |
6,450 | 24.5% |
3 |
HP |
1,090 | 7.5% |
HP |
1,810 | 6.9% |
4 |
MSI |
700 | 4.8% |
MSI |
1,110 | 4.2% |
5 |
Intel |
326 | 2.2% |
Dell |
940 | 3.6% |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2008년 기준 Top5 Netbook 출하 실적을 살펴보면 1위 Acer - 5,450 37.3%, 2위 ASUSTek - 4,850 33.2%, 3위 HP - 1,090 7.5%, 4위 MSI - 700 4.8% , 5위 Intel - 326 2.2%의 순으로 나타났고, 1위 Acer - 11,300(K units) 42.9%, 2위 ASUSTek - 6,450(K units) 24.5%, 3위 HP - 1,810(K units) 6.9%, 4위 MSI - 1,110(K units) 4.2%, 5위 Dell - 940 3.6%으로 나타났다.
한가지 놀라운 것은 ASUSTek에서 생산한 Eee PC가 전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시장을 먼저 선점했지만 Acer가 출하 실적이 더 높다는 의미는 시장 점유율에서 비슷하거나 더 우월하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예측 할 수 있다. 이는 새롭게 넷북 시장에 참여하는 글로벌 업체 및 중소기업에게 후발주자로 시작했지만 얼마든지 넷북 PC시장에 안착 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메세지를 담고 있다.
노트북 시장이 보편화되기까지 걸린 시간에 비한다면 2009년 Netbook, 전체 NotePC 시장의 17.2%를 차지하는 2,632만대라는 점유율은 일종의 패러다임을 형성하며 노트북/넷북(Netbook) 시장을 장악했지만, 현재 넷북이라는 의미는 화면의 크기가 7인치에서 10.2인치를 채택하는 넷북(Netbook)과 MID라는 제품군 중 일부가 이에 포함된다. 한편 인텔에서는 MID로 구분해서 분류하지만 외부에서 바라보는 시각은 넷북과 MID를 동일한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MID는 넷북과 차별화를 두지 않는다면 점차 넷북의 영역에 잠식될 것이다.
'휴대폰/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UMID의 MID 'Mbook' T와이브로 내장모델 출시 기념 이벤트 실시 (0) | 2009.11.02 |
---|---|
라온디지털, UMPC와 함께 역사의 뒤안길로... (4) | 2009.08.18 |
스마트폰 활성화의 쟁점은 통신사의 'Wi-Fi' 정책 (0) | 2009.07.07 |
아이폰, 국내 출시에 관한 진실은? (8) | 2009.06.23 |
다음, 모바일 서비스로 '애플 아이폰' 을 공략하다. (0) | 2009.03.05 |
인텔에서 공개한 모바일 플랫폼은 모바일폰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전략? (0) | 2009.02.17 |
고진샤코리아 8.9인치 미니노트북 W130 출시 (0) | 2008.08.20 |
3G 아이폰의 실재 구매비용은 407달러 (2) | 2008.07.11 |
KT와이브로 네비게이션 PMP 출시 (0) | 2008.07.11 |
아수스 미니노트북(넷북) Eee PC 1000H도 예약판매 (0) | 2008.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