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News BlogTimes] 보이스 레코더가 진화했다. 사진으로 확인하는 YP-VP1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디지털 카메라, 핸드폰, MP3 등 다양한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제품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기록하는 것이다. 핸드폰, 디지털 카메라로 사진(이미지)을 저장하고 핸드폰으로 번호, 메모, 음성(MP3)을 저장한다. 시대적인 흐름은 사람들의 일상을 저장하고 기록하며, 그것을 다시 회상하는데 사용하는 것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다. UCC와 같은 동영상이 주목을 받는 것도 삶의 일상, 나의 모습, 주변의 모습을 동영상으로 기록한다는 특징을 갖고 공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했던 CES 2009에서 삼성전자 부스 내의 YEPP(옙) 시리즈를 선보였고 총 4가지 모델 YP-U5, YP-P3, YP-Q1, YP-VP1이 공개됐다. YP-P3는 3" 와이드 터치패널을 탑재했고 햅틱 기술과 위젯 기능을 채용한 모델이다. Blogtimes(http://media.blogtimes.org/133)에서도 소개했지만, CES 2009에서 혁신상을 수상하는 등 시리즈 제품에선 단연 돋보였다.
크래들과 함께 소개된 YP-Q1은 비디오 MP3 플레이어로 Diamond(다이아몬드)는 2.4인치 LCD를 채용하고도 저렴한 가격을 자랑하는 모델이였고, YP-U4의 후속작으로 CES 2009를 통해 처음 공개된 YP-U5는 MP3 플레이어로 USB 포트 일처형으로 4-Line OLED 패널을 채용했다.
마지막으로 삼성전자에서 고유 녹음 기술인 VoicePix™이 적용된 YP-VP1(보이스 레코더)을 새롭게 선보였다. 1.1" TFT LCD, Camera, 내장 스피커, 4GB, LP모드 적용시 최대 1040시간을 녹음 할수 있고 국내에서는 2GB, 4GB 모델로 출시 될 예정이다. 오늘 살펴볼 YP-VP1이라는 보이스 레코더는 평범한 보이스 레코더가 아닌 보이스 픽스(VoicePix™) 기술이 적용 새로운 개념의 제품이다.
특징을 간단하게 요약하면, 1.1" TFT LCD(65,000 컬러), 지원해상도 128 x 128, 2GB/4GB Flash Memory, 내장 Camera, DNSe 2.0 지원, AAA 배터리 2개, LP모드 적용시 최대 1040시간, (WMV, MP3만 지원), EmoDio 지원, Windows 2000, XP, VISTA에서 사용 가능하다.
그동안 삼성전자에서 출시한 보이스 레코더는 YV, BR, SVR 시리즈로 명시되어 VY-H200S, YV-150Z, YV-150X, YV-120V, YV-120H, BR-1320, BR-1640, SVR-S820, SVR-1330, SVR-B410 등 다양한 라인을 갖추며 출시했다. 하지만 CES 2009에서 선보인 보이스 레코더는 YEPP(옙)시리즈로 분류가 되었다는 것이 눈길을 끈다. 새로운 모습으로 나타난 YEPP YP-VP1(보이스 레코더)은 기존의 시리즈와 무엇이 달라졌는지 알아보자.
디지털 레코더 보이스픽스 VP1은 YEPP(옙)시리즈로 분류되어 박스 외형(포장 외관 크기 - 92 x 147 x 57mm)에서 최근 출시한 삼성전자의 P3(http://media.blogtimes.org/133)의 박스 외형과 비슷한 모습을 갖고 있다. 박스 외형에는 30시간의 배터리 사용시간, FM Radio, MP3 REC, Interview, Meeting 등 다양한 특징을 아이콘의 형태로 알기 쉽게 해놓았다. 측면에는 VP1의 Included Contents(구성품) Audio Cable, Phone Cable, USB Cable, 2 x AAA Batteries, Hand Strap, External Microphone, Phone Recording Adaptor, Earphones 등을 사진으로 알 수 있다.
박스를 개봉하면 위에서 언급한 제품들의 구성품들을 직접 확인 할 수 있고 YP-VP1의 구성품을 살펴보다 다양한 녹음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바로 폰케이블, 폰 레코딩 어댑터, 오디오 케이블을 이용해 주변의 다른 디지털 기기 소리나 전화음성을 녹음할 수 있다. YP-VP1은 내장배터리를 채용하지 않아 별도의 AAA 배터리 2개가 들어간다.
거의 풀패키지에 가까운 구성되어있지만 한가지 아쉬운 점은 이어폰은 상당히 고급스러웠으나 마이크의 경우 플라스틱의 재질로 되어있어 고급스러운 느낌을 느낄 수 없었다. 리뷰에 사용되는 YP-VP1 모델의 용량은 1GB이며, 국내 도입모델이 2GB와 4GB로 한정되어 있다.
VP1의 구성품을 포함한 박스 전체의 무게는 약 256g, VP1 디지털 레코더 본체의 무게는 약 61g(배터리포함-스펙상 60.6g), 본체를 제외한 Audio Cable, Phone Cable, USB, Hand Strap, External Microphone, Phone Recording Adaptor, Earphones 등 구성품의 무게는 약 117g이다. 제품 외관 크기는 34.7 x 109.6 x 15mm으로 들고 다니기에 부담없는 수준이다. YP-VP1은 블랙과 실버로 출시될 예정이며, 전체적인 디자인은 무난한 편이다.
4Way 방향(상, 하, 좌, 우) 버튼에 대각선(X)으로 4개의 기능키(시계 방향으로 메뉴 복귀, 서브 메뉴, 잠금, 전원)를 추가해 총 8방향으로 누를수 있는 메뉴버튼이 위치해 있다. 가운데 중심이 되는 키는 재생/일시정지/선택 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전면에 총 9개의 버튼이 자리잡고 있다. 버튼을 짧게 누르거나 길게 누르면 실행 또는 종료가 되거나 최상위 메뉴로 이동하는 등 다양한 특징을 갖고 있다.
뒷면에는 내장 카메라(카메라 해상도 208 x 200), 내장 스피커, 건전지 덮개가 위치해 있다, 뒷면을 기준으로 좌측면에는 내장마이크, 녹음(REC) 버튼, 폴더(Folder), 북마크(Bookmark), 구간 반복 (A↔B), 삭제 버튼이 위치해 있다. 그 반대편에는 마이크 모드 스위치(Interview, Meeting), USB 연결 단자가 위치해 있다.
VP-VP1에 내장된 LCD 화면(128 x 128 해상도)은 1.1인치의 작은 액정이지만 육안으로 확인하기 쉽다. 메뉴버튼을 누르면 모두 5개의 메뉴로 구성되어 음성녹음, 파일탐색기, 북마크, FM라디오, 설정과 같은 메뉴들을 제공한다.
음성녹음시 다음과 같은 메뉴를 제공한다.
- 녹음 품질 : LP, SP, HQ, SHQ, UHQ 모드로 지원하며, 제조사가 제시하고 있는 용량별 녹음음질에 따른 녹음시간은 다음과 같다.
- 잡음감소 : 주변이 시끄러운 경우에 사용하며, 잡음을 인위적으로 감소시킨다.
- AGC(Automatic Gain Control) : 마이크의 감도를 자동 조절하여 입력되는 소리의 크기를 일정하게 조절한다.
- 녹음 감도 : 녹음되는 음성의 감도를 효과적으로 조절 할 수 있다.
인터뷰를 진행하고 내용정리를 위해서 녹음파일을 찾다보면, 자신이 녹음된 파일을 쉽게 찾기 어렵다. 그러나 YP-VP1에서 제공하는 파일 탐색기를 살펴보면 사진과 함께 나오기 때문에 무척 편리하다. 재생속도를 0.5배에서 2배까지 조절 할 수 있으며, 오토-리버스(Auto-Reverse)로 반복 재생이 가능하다.
보이스 레코더에서 중요한 부분은 녹음된 파일을 듣거나 저장된 MP3/WMV 파일에서 중요하거나 원하는 위치에서 재생하기 편해야 한다. 이 부분을 지원하기 위해서 VP1에서는 북마크 기능을 지원한다. 재생 중 원하는 위치에서 B/MARK를 길게 누르면 그 부분부터 재생해서 들을 수 있다.
이어폰을 안테나처럼 사용하는 FM 라디오 기능은 이어폰을 연결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고, 무난한 기능이다.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VP1의 설정메뉴에서 컨트롤을 해야 한다. 설정메뉴 활성화시 다음과 같은 메뉴를 제공한다.
- 날짜&시간 : 날짜와 시간을 수정할 수 있다.
- 화면 꺼짐 시간 : 15초, 30초, 1분, 3분 5분, 항상켜기로 설정 할 수 있다.
- 취침 예약 : 꺼짐, 15분, 30분, 60분, 90분, 120분으로 설정 할 수 있다.
- 언어 : 한국어, 영어, 중국어를 비롯한 총 31개 국어를 지원한다.
- 비프음 : 버튼의 소리를 켜고 끌 수 있다.
- 음량 제한 : 음량을 제한 할 수 있다.
- VoicePix : VoicePix 기능을 켜고 끌수 있다.
- 셔터음 : 사진 촬영시 소리를 조절 할 수 있다.
- LED 설정 : LED를 켜고 끌 수 있다.
- 설정 초기화 : 초기 출고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 시스템 정보 : 시스템 펌웨어 버젼과 메모리 남은 용량을 확인 할 수 있다.
YP-VP1은 재생 지원파일이 MP3와 WMV에 불과하지만 헤드폰이나 이어폰에 연결하면 MP3 플레이어로 활용할 수 있다. 음악 재생시 DNSe 음장 종류를 선택해서 들을 수 있고, 고금 복원 설정의 하나 값인 EQ를 지원한다. 핸드폰이나 MP3 Player, PMP와 같은 디지털 기기에서도 비슷한 음성 녹음 기능을 지원하지만 부족하게 느껴지는 이들에게 좋은 제품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MP3 Player 'P3'를 가지고 인터뷰시 사용해봤지만 VP1보다는 부족해 보였다. 취재를 자주 다니거나 중요한 대화를 녹음해야 할때, VP1을 사용해서 기록해 두면 좀 더 편리할 것이다. 필자와 같이 보이스 레코더의 사용빈도가 높은 사용자에게는 유용할 제품으로 눈여겨 봐야 할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디지털 카메라, 핸드폰, MP3 등 다양한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제품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기록하는 것이다. 핸드폰, 디지털 카메라로 사진(이미지)을 저장하고 핸드폰으로 번호, 메모, 음성(MP3)을 저장한다. 시대적인 흐름은 사람들의 일상을 저장하고 기록하며, 그것을 다시 회상하는데 사용하는 것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다. UCC와 같은 동영상이 주목을 받는 것도 삶의 일상, 나의 모습, 주변의 모습을 동영상으로 기록한다는 특징을 갖고 공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했던 CES 2009에서 삼성전자 부스 내의 YEPP(옙) 시리즈를 선보였고 총 4가지 모델 YP-U5, YP-P3, YP-Q1, YP-VP1이 공개됐다. YP-P3는 3" 와이드 터치패널을 탑재했고 햅틱 기술과 위젯 기능을 채용한 모델이다. Blogtimes(http://media.blogtimes.org/133)에서도 소개했지만, CES 2009에서 혁신상을 수상하는 등 시리즈 제품에선 단연 돋보였다.
크래들과 함께 소개된 YP-Q1은 비디오 MP3 플레이어로 Diamond(다이아몬드)는 2.4인치 LCD를 채용하고도 저렴한 가격을 자랑하는 모델이였고, YP-U4의 후속작으로 CES 2009를 통해 처음 공개된 YP-U5는 MP3 플레이어로 USB 포트 일처형으로 4-Line OLED 패널을 채용했다.
마지막으로 삼성전자에서 고유 녹음 기술인 VoicePix™이 적용된 YP-VP1(보이스 레코더)을 새롭게 선보였다. 1.1" TFT LCD, Camera, 내장 스피커, 4GB, LP모드 적용시 최대 1040시간을 녹음 할수 있고 국내에서는 2GB, 4GB 모델로 출시 될 예정이다. 오늘 살펴볼 YP-VP1이라는 보이스 레코더는 평범한 보이스 레코더가 아닌 보이스 픽스(VoicePix™) 기술이 적용 새로운 개념의 제품이다.
특징을 간단하게 요약하면, 1.1" TFT LCD(65,000 컬러), 지원해상도 128 x 128, 2GB/4GB Flash Memory, 내장 Camera, DNSe 2.0 지원, AAA 배터리 2개, LP모드 적용시 최대 1040시간, (WMV, MP3만 지원), EmoDio 지원, Windows 2000, XP, VISTA에서 사용 가능하다.
그동안 삼성전자에서 출시한 보이스 레코더는 YV, BR, SVR 시리즈로 명시되어 VY-H200S, YV-150Z, YV-150X, YV-120V, YV-120H, BR-1320, BR-1640, SVR-S820, SVR-1330, SVR-B410 등 다양한 라인을 갖추며 출시했다. 하지만 CES 2009에서 선보인 보이스 레코더는 YEPP(옙)시리즈로 분류가 되었다는 것이 눈길을 끈다. 새로운 모습으로 나타난 YEPP YP-VP1(보이스 레코더)은 기존의 시리즈와 무엇이 달라졌는지 알아보자.
디지털 레코더 보이스픽스 VP1은 YEPP(옙)시리즈로 분류되어 박스 외형(포장 외관 크기 - 92 x 147 x 57mm)에서 최근 출시한 삼성전자의 P3(http://media.blogtimes.org/133)의 박스 외형과 비슷한 모습을 갖고 있다. 박스 외형에는 30시간의 배터리 사용시간, FM Radio, MP3 REC, Interview, Meeting 등 다양한 특징을 아이콘의 형태로 알기 쉽게 해놓았다. 측면에는 VP1의 Included Contents(구성품) Audio Cable, Phone Cable, USB Cable, 2 x AAA Batteries, Hand Strap, External Microphone, Phone Recording Adaptor, Earphones 등을 사진으로 알 수 있다.
박스를 개봉하면 위에서 언급한 제품들의 구성품들을 직접 확인 할 수 있고 YP-VP1의 구성품을 살펴보다 다양한 녹음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바로 폰케이블, 폰 레코딩 어댑터, 오디오 케이블을 이용해 주변의 다른 디지털 기기 소리나 전화음성을 녹음할 수 있다. YP-VP1은 내장배터리를 채용하지 않아 별도의 AAA 배터리 2개가 들어간다.
거의 풀패키지에 가까운 구성되어있지만 한가지 아쉬운 점은 이어폰은 상당히 고급스러웠으나 마이크의 경우 플라스틱의 재질로 되어있어 고급스러운 느낌을 느낄 수 없었다. 리뷰에 사용되는 YP-VP1 모델의 용량은 1GB이며, 국내 도입모델이 2GB와 4GB로 한정되어 있다.
VP1의 구성품을 포함한 박스 전체의 무게는 약 256g, VP1 디지털 레코더 본체의 무게는 약 61g(배터리포함-스펙상 60.6g), 본체를 제외한 Audio Cable, Phone Cable, USB, Hand Strap, External Microphone, Phone Recording Adaptor, Earphones 등 구성품의 무게는 약 117g이다. 제품 외관 크기는 34.7 x 109.6 x 15mm으로 들고 다니기에 부담없는 수준이다. YP-VP1은 블랙과 실버로 출시될 예정이며, 전체적인 디자인은 무난한 편이다.
4Way 방향(상, 하, 좌, 우) 버튼에 대각선(X)으로 4개의 기능키(시계 방향으로 메뉴 복귀, 서브 메뉴, 잠금, 전원)를 추가해 총 8방향으로 누를수 있는 메뉴버튼이 위치해 있다. 가운데 중심이 되는 키는 재생/일시정지/선택 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전면에 총 9개의 버튼이 자리잡고 있다. 버튼을 짧게 누르거나 길게 누르면 실행 또는 종료가 되거나 최상위 메뉴로 이동하는 등 다양한 특징을 갖고 있다.
뒷면에는 내장 카메라(카메라 해상도 208 x 200), 내장 스피커, 건전지 덮개가 위치해 있다, 뒷면을 기준으로 좌측면에는 내장마이크, 녹음(REC) 버튼, 폴더(Folder), 북마크(Bookmark), 구간 반복 (A↔B), 삭제 버튼이 위치해 있다. 그 반대편에는 마이크 모드 스위치(Interview, Meeting), USB 연결 단자가 위치해 있다.
VP-VP1에 내장된 LCD 화면(128 x 128 해상도)은 1.1인치의 작은 액정이지만 육안으로 확인하기 쉽다. 메뉴버튼을 누르면 모두 5개의 메뉴로 구성되어 음성녹음, 파일탐색기, 북마크, FM라디오, 설정과 같은 메뉴들을 제공한다.
음성녹음시 다음과 같은 메뉴를 제공한다.
- 녹음 품질 : LP, SP, HQ, SHQ, UHQ 모드로 지원하며, 제조사가 제시하고 있는 용량별 녹음음질에 따른 녹음시간은 다음과 같다.
2GB - LP모드 약 520시간, SP모드 약 130시간, HQ모드 약 65시간, SHQ모드 약 32시간, UHQ모드 약 21시간
4GB - LP모드 약 1,040시간, SP모드 약 260시간, HQ모드 약 130시간, SHQ모드 약 65시간, UHQ모드 약 43시간
- 음성 감지 녹음 : 음성이 들릴 경우에만 녹음이 진행되며 음성이 없으면 자동으로 멈춘다.4GB - LP모드 약 1,040시간, SP모드 약 260시간, HQ모드 약 130시간, SHQ모드 약 65시간, UHQ모드 약 43시간
- 잡음감소 : 주변이 시끄러운 경우에 사용하며, 잡음을 인위적으로 감소시킨다.
- AGC(Automatic Gain Control) : 마이크의 감도를 자동 조절하여 입력되는 소리의 크기를 일정하게 조절한다.
- 녹음 감도 : 녹음되는 음성의 감도를 효과적으로 조절 할 수 있다.
실제 이미지 파일 업로드
음성 녹음을 종료하면, 내장 카메라의 성능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인터뷰를 진행했던 사람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기능은 인터뷰를 진행하거나 수시로 기록해야 하는 신문사 및 잡지사 기자, 리포터, 작가, 형사, 변호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문득 이 기능을 사용하면 제품의 특징을 잘 나타낸 "File Search By Photos"라는 카피가 떠오른다.
필자도 많은 다수의 인터뷰를 진행하다보면 사람의 얼굴과 인터뷰 내용을 매치시키지 못해 곤란한 경우를 겪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은 기능은 인터뷰 요청했던 인물과 보이스 레코더 기능을 매치할 수 있어 유용하게 느껴진다. 별도로 사진 촬영 시 옵션에서 셔터음을 켜거나 끌 수 있다.
단점으로는 인터뷰를 끝냈을 때만 사진 저장이 가능하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사진을 먼저 촬영하거나 별도로 사진만 촬영하고 싶을 때 촬영할 수 있는 메뉴가 존재하지 않아 불편하게 느껴졌다. 내장 카메라의 해상도가 높지 않아 VP1 보이스 레코더로 사진 촬영하고 나서 별도로 활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기자들이 사용하게 될 경우 사진의 퀄리티를 중요시 해서 VP1의 사진촬영 해상도가 208 x 200에 불과하다는 점은 '옥의 티'로 생각된다.
인터뷰를 진행하고 내용정리를 위해서 녹음파일을 찾다보면, 자신이 녹음된 파일을 쉽게 찾기 어렵다. 그러나 YP-VP1에서 제공하는 파일 탐색기를 살펴보면 사진과 함께 나오기 때문에 무척 편리하다. 재생속도를 0.5배에서 2배까지 조절 할 수 있으며, 오토-리버스(Auto-Reverse)로 반복 재생이 가능하다.
보이스 레코더에서 중요한 부분은 녹음된 파일을 듣거나 저장된 MP3/WMV 파일에서 중요하거나 원하는 위치에서 재생하기 편해야 한다. 이 부분을 지원하기 위해서 VP1에서는 북마크 기능을 지원한다. 재생 중 원하는 위치에서 B/MARK를 길게 누르면 그 부분부터 재생해서 들을 수 있다.
이어폰을 안테나처럼 사용하는 FM 라디오 기능은 이어폰을 연결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고, 무난한 기능이다.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VP1의 설정메뉴에서 컨트롤을 해야 한다. 설정메뉴 활성화시 다음과 같은 메뉴를 제공한다.
- 날짜&시간 : 날짜와 시간을 수정할 수 있다.
- 화면 꺼짐 시간 : 15초, 30초, 1분, 3분 5분, 항상켜기로 설정 할 수 있다.
- 취침 예약 : 꺼짐, 15분, 30분, 60분, 90분, 120분으로 설정 할 수 있다.
- 언어 : 한국어, 영어, 중국어를 비롯한 총 31개 국어를 지원한다.
- 비프음 : 버튼의 소리를 켜고 끌 수 있다.
- 음량 제한 : 음량을 제한 할 수 있다.
- VoicePix : VoicePix 기능을 켜고 끌수 있다.
- 셔터음 : 사진 촬영시 소리를 조절 할 수 있다.
- LED 설정 : LED를 켜고 끌 수 있다.
- 설정 초기화 : 초기 출고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 시스템 정보 : 시스템 펌웨어 버젼과 메모리 남은 용량을 확인 할 수 있다.
YP-VP1은 재생 지원파일이 MP3와 WMV에 불과하지만 헤드폰이나 이어폰에 연결하면 MP3 플레이어로 활용할 수 있다. 음악 재생시 DNSe 음장 종류를 선택해서 들을 수 있고, 고금 복원 설정의 하나 값인 EQ를 지원한다. 핸드폰이나 MP3 Player, PMP와 같은 디지털 기기에서도 비슷한 음성 녹음 기능을 지원하지만 부족하게 느껴지는 이들에게 좋은 제품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MP3 Player 'P3'를 가지고 인터뷰시 사용해봤지만 VP1보다는 부족해 보였다. 취재를 자주 다니거나 중요한 대화를 녹음해야 할때, VP1을 사용해서 기록해 두면 좀 더 편리할 것이다. 필자와 같이 보이스 레코더의 사용빈도가 높은 사용자에게는 유용할 제품으로 눈여겨 봐야 할 것이다.
VP1의 주요 특징
- 녹음한 내용을 사진에 찍어 표시한다.
- 상황에 따라 녹음 모드를 지원한다. (Interview, Metting)
- 녹음과 사용을 장시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 풀패키지에 가까운 주변 구성품
- 외부 기기에 연결해서 녹음이 가능하다. (통화내용, 다른 MP3와 같은 디지털 기기의 음악 녹음)
- PC에 바로 연결해서 외장 하드디스크로 이용할 수 있다.
- Emodio를 연결해서 사용가능
- 가격미정
단점
- 사진 촬영은 인터뷰 종료 후에만 가능함
- VP1 PC관리용 프로그램이 없음
- 내장 카메라의 성능(Viewer이외 다른 용도로 활용이 어려움)
- 녹음한 내용을 사진에 찍어 표시한다.
- 상황에 따라 녹음 모드를 지원한다. (Interview, Metting)
- 녹음과 사용을 장시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 풀패키지에 가까운 주변 구성품
- 외부 기기에 연결해서 녹음이 가능하다. (통화내용, 다른 MP3와 같은 디지털 기기의 음악 녹음)
- PC에 바로 연결해서 외장 하드디스크로 이용할 수 있다.
- Emodio를 연결해서 사용가능
- 가격미정
단점
- 사진 촬영은 인터뷰 종료 후에만 가능함
- VP1 PC관리용 프로그램이 없음
- 내장 카메라의 성능(Viewer이외 다른 용도로 활용이 어려움)
'디지털/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미엄 노트북의 등장.... Xnote P510 노트북이 약 400만원??? (0) | 2009.02.12 |
---|---|
인텔사의 칩셋을 사용한 제품들이 MWC에 출현! (0) | 2009.02.12 |
2009년, 대격돌하는 스마트폰 vs 터치폰! (2) | 2009.02.12 |
MWC 2009에 공개된 풀터치스크린폰 '울트라터치(Ultra Touch)' (0) | 2009.02.11 |
3D CUBE 리눅스를 내장한 UMID M1 이번주 중 출시 (2) | 2009.02.09 |
경기불황에는 경차도 비껴가지 못한다. (0) | 2009.02.07 |
삼성전자, "LED TV용 초슬림 LCD패널로 업계를 주도" (0) | 2009.02.07 |
XFX 그래픽카드 국내 출시를 위해 AMD와 렉스테크놀러지가 뭉쳤다. (0) | 2009.02.07 |
기업용 스토리지 솔루션 컨스텔레이션 제품군 출시 (0) | 2009.02.07 |
휴대용기기를 위한 전용 모니터, SyncMaster Lapfit (0) | 2009.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