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품 리뷰

아이폰의 멀티터치... 이번엔 프라다폰2에서도 적용된다.

[IT News BlogTimes] 아이폰의 멀티터치... 이번엔 프라다폰2에서도 적용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 업계에서 꾸준히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국내에서 프라다폰2 리뷰를 담당하고 있는 외로운까마귀님(http://www.alonecrow.com/)을 만나볼 기회가 있어 프라다폰2를 잠시나마 만져보게 되었다.

필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제품인 프라다폰은 해외에는 2007년 1분기에 출시가 되었고 국내에 2007년도 2분기에 출시된 명품 브랜드로 LG전자와 PRADA 브랜드가 만나 터치폰을 출시하면서 세간의 이목을 한 몸에 받았다. 새롭게 돌아온 프라다폰2 KF900은 쿼티(QWERTY) 키보드, 2G->3G, 액티브 플래시 UI, 200만->500만 화소급 카메라의 스펙을 업그레이드하고 지상파 DMB 빠진채 선보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프라다폰2의 첫 느낌은 동일한 입력패드(QWERTY 방식)를 먼저 선보인 소니 에릭슨(Sony Ericsson) 엑스페리아(XPERIA) X1을 보는 것처럼 느껴졌지만 자세하게 뜯어보니 프라다폰의 느낌을 잃지 않기 위해서 노력한 흔적들이 옅보였다.

프라다폰2에서는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QWERTY 방식의 키패드와 전면에 달려있는 30만 화소의 웹캠(화상통화용), 그리고 멀티터치 기능이 먼저 눈에 들어왔다. 멀티터치 기능은 필자가 가장 원하고 아이폰에서 개인적으로 기술적으로 뛰어나다고 평가하는 기능이다. 프라다폰2에서는 아이폰과 같이 사진과 웹서핑시 멀티터치 기능으로 줌 인/아웃의 기능이 가능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멀티터치를 시연하는 모습


실제로 아이폰을 구매하기 위해서 올 4월까지 기다리던 중 외로운까마귀님을 만나 프라다폰2를 잠시 사용해보고 나서 그 생각을 접었다. 프라다폰은 몇 가지 단점이 존재하지만 그 부분을 감수하고 사용할 수 있을 정도였다. 프라다폰에서 아쉬웠던 기능을 채워준 제품이 프라다폰2라고 할 수 있겠다. 물론 프라다폰2가 타사의 제품보다 월등하게 뛰어난 제품은 아니다.

프라다폰2는 프라다폰1의 모티브 디자인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다. 프라다폰1에서는 오래사용하다 보면 도금 부분이 벗겨지는 문제점이 발생했지만 프라다폰2에서는 진화된 방법으로 도금처리가 됐다고 한다. 스피커 부분은 프라다폰1을 사용하고 있지만 먼지가 쌓여, 면봉이나 날카롭고 두꺼운 종이로 먼지를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프라다폰2에서도 동일한 디자인을 적용시켜 같은 문제점이 발생 할 것이다. 한가지 아쉬운 점은 신소재를 통해 스피커 부분을 덮었으면 좋았을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늑돌이님과 외로운 까마귀님이 꺼내신 모바일 기기들 (With 필자의 프라다폰)



입력 방식에 있어서 풀터치 스크린의 변화도 크게 없고, UI부분에서 액티브 플래시 UI를 적용했다. 최근 신제품들이 플래시 UI를 적용시켜 출시하고 있으며, 프라다폰2에서도 터치폰 사용자에게 좀 더 재미있는 느낌을 주기위해 적용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프라다폰2 메뉴 UI화면에서는 자동피봇이 되는 것에서는 눈길을 끌었고 터치가 편하도록 배치한 듯 보였다.

그립감은 상당히 우수했고, 키패드가 적용된 사이드 슬라이드(Side Slide) 방식은 손에 착 감기며, 사용 할수록 높은 만족감을 나타냈다. 사이드 슬라이드(Side Slide) 방식을 놓고, 외로운까마귀님(http://www.alonecrow.com/), 늑돌이님(http://www.lazion.com/)과 함께 고민을 해봤다. 필자와 늑돌이님은 왼손잡이라 슬라이딩을 하는데, 문제를 못 느꼈지만 외로운까마귀님은 오른손잡이라 키패드를 슬라이딩 하는데 문제가 발견되었다. 우린 함께 토론하게 되었고, '프라다폰2 디자이너가 왼손잡이였다'라는 우스갯소리의 가설과 아이폰 및 대부분의 모바일 폰이 시계반대 방향으로 로테이션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이 제품도 그렇게 되었을 것이라는 가설, 전면 카메라의 위치 때문이라는 가설 등 다양한 가설을 세우기 시작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러나 결국 토론은 토론으로 끝났다. 개발자의 생각을 듣지 못하는 한 우리가 결론을 내봐야 틀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시 본론으로 들어가서 적당한 크기와 적당한 두께로 그립감에서 프라다폰1보다 좋아졌다. 이번 프라다폰2와 블루투스로 연동되며 시계 기능을 겸하고 있는 프라다 링크(LG-LBA-T950)도 함께 봤다. 프라다폰2의 일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액세서리인데, LCD는 강화유리를 사용하여 충격 및 스크래치에도 강하다.

프라다 링크가 다른 폰과의 블루투스 연동은 되지 않지만 프라다폰2 이후로 블루투스를 내장한 LG제품에는 연동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외로운까마귀님) 예상하고 있다. 유럽에서 호평을 받은 만큼 프라다 링크만 따로 판매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물론 필자는 이 제품을 장시간 만진 것이 아니라서 단점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아직 메뉴부분에서도 최적화 되지 않았고, 정식으로 생산된 제품이 아닌지라 나쁘다라고 표현 할 수가 없었다. 한가지 아쉬운 점은 메뉴의 반응이 좀 느리다라는 것이였다. 플래시 기반의 UI를 채용한 제품들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문제점인데 정식으로 출시될 때는 꼭 수정되길 바란다.

아직도 프라다폰을 사용하고 있고 기대하고 있는 제품이라 개인적으로 선물 받고 싶은 선물 1위 제품을 꼽으라면 주저없이 선택하고 싶다. 그러나 프라다(PRADA)라는 이름으로 결국 프리미엄급 가격정책을 펼친다면 경제침체기에 있는 IT시장에서 얼마나 선전 할 수 있을지 걱정이 된다. 탄력적인 가격정책을 적용하길 기대하며, 앞으로 많은 정보가 공개되길 바란다.

프라다폰 1과 프라다폰 2의 비교사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log Journalist  : 오세경 기자 iblogtimes@naver.com)

  이 포스팅이 유익하셨다 [↓추천]을 구독을 원하시면   눌러주세요
블로거뉴스에 추천하기   블로그 코리아에 추천하기   올블로그에 추천하기   믹시에 추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