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휴대폰/모바일

2008년 UMPC 시장을 전망해 본다 [Aving News]

[디지털 칼럼 News IT 컬럼니스트 붸가짱]  2008년 UMPC 시장을 전망해 본다 [Aving News]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8년 UMPC 시장을 전망해 본다

[ 오세경 2008-01-03 ]

SEOUL, Korea (AVING) -- <Visual News> UMPC가 출시 된지 1년이 지나 2년이 가까워지고 있다. 향후 UMPC 시장의 득과 실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앞으로 전개될 UMPC 시장의 전망을 예상해본다.

우선 UMPC시장의 득과 실을 알아보기 전에 UMPC시장의 형성과정을 알아보자.

2006년 3월 초에 열린 'CeBIT(세빗) 2006'의 개막 행사장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의 오리가미(Origami) 프로젝트가 공식 신문인 세빗뉴스에 공개가 되면서 그 실체가 밝혀졌다. 당시 ‘오리가미 프로젝트'는 MS와 섬성전자, 인텔이 참여하면서 PC사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면서 지대한 관심을 받게 되었다.

오리가미는 이후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란 용어로 사용되었다. UMPC는 PDA와 노트북의 장점을 취합해 휴대가 간편한 디바이스가 되는 것이 기본 목표였지만, 향후 PC가 발전해야 할 목표 중 하나라고 보면 된다. 휴대용이라는 개념의 제품은 이전에도 PDA, 미니타블렛, 타블렛, 미니노트북, 서브노트북 등 다양한 제품들이 휴대 PC로 불렸으며 그 대표적인 제품이 도시바 리브레또의 U100과 소니의 UX시리즈였다. '

이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Intel Developers Forum(IDF) 2006 Spring에서는 다양한 회사의 UMPC가 대거 공개됐다. 국내에서는 삼성전자가 'Sense Q1'이라는 제품을 선보였고, 중국의 Founder社에서 'Mini-note'라는 제품을 선보였는데, 이 제품은 국내에서 대우루컴즈가 ODM방식으로 'M1'이라는 모델로 판매하고 있다. 또한, 대만의 'ASUS'社는 R2H라는 제품을 선보였다.

이후에는 VIA 또는 AMD의 칩셋을 채용한 UMPC를 출시 하게 되었는데 대표적인 기업으로 AMD LX800의 CPU를 사용한 라온디지털社의 'VEGA'와 VIA C7-M의 CPU를 사용한 AMtek(암텍)社의 'T700' 이 있다. 당시 국내 기업에서는 중소기업인 라온디지털社의 'VEGA'가 배터리 사용시간을 장점으로 한 휴대성을, 삼성전자社의 'Q1'은 성능과 함께 확장성을 장점으로 2006년 UMPC 시장을 양분했다.

2007년에 접어들면서 UMPC를 OEM, ODM으로 판매하는 업체가 늘어나면서 시장이 점차 활성화 되는 듯싶었으나 업계는 또 다른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UMPC가 서브 노트북과의 비교대상이 된 것이다. UMPC가 비록 Pentium III-1Ghz의 성능을 보유하긴 했지만 효율성 측면에서 서브노트북 대비 열세로 판단된 것. 하지만 2007년 UMPC의 2세대 제품인 삼성전자의 'Q1 Ultra', 고진샤의 'K600/K800', 후지쯔의 'U1010'과 같은 인텔 기반의 새로운 플랫폼을 가진 UMPC가 봇물처럼 터져 나왔고 삼성전자의 'Q1B', 성주컴퓨터의 'Tango Wings', 와이브레인의 'B1'이 잇달아 출시되며 다시 한번 UMPC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럼 이제 UMPC시장이 형성되면서 얻게 된 득과 실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UMPC시장이 형성되면서 얻게 된 이득은 무엇일까?

첫째 'UMPC 시장의 가능성'을 꼽을 수 있다. 영화를 보거나 광고를 보다 보면 손목시계로 PDA와 인터넷을 즐기며, 아이팟 정도되는 소형PC를 갖고 웹서핑을 하거나, 해킹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앞으로 PC는 점차 소형화와 경량화가 병행될 것이며 현재는 그 발전 과정 중에 있다. 조만간 생활용품이 점차 디지털컨버전스화 되면서 결합상품이 쏟아지게 될 것이다. 현재 UMPC는 통신단말기의 역할에 PC의 기능, PDA의 기능이 포함되고 있으며, 기능은 점차 다양해질 전망이다. 현재 Wibro 및 HSDPA의 통신서비스와 결합된 상품이 출시된 사례도 있다. 또한 Eee PC의 판매량이 35만대를 돌파했다는 것도 시장형성 측면에서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둘째는 'UMPC의 범용성'을 들 수 있다. UMPC는 PC의 기능에 충실하면서, PDA, PMP, 네비게이션, 미니게임기와 같은 휴대기기의 역할을 대신 할 수 있다는 범용성을 가진 기기이다. PC용 네비게이션 맵을 구입하여, 네비게이션으로 활용 할 수 있고, 통신서비스와 결합하면 통신기능을 추가 할 수 있다. 즉 전화통화 및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 할 수 있고, 화상채팅까지 UMPC로 이용할 수 있다. 마음만 먹으면, 일반 PC 및 노트북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비슷하게 구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PC의 보편화를 통한 접근성'이다. UMPC는 기본적으로 Windows XP 및 Windows Vista를 지원하기 때문에 Windows OS에 익숙한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익숙한 것이야 말로 가장 강력하다. 현재 PC 사용자의 약 80%이상이 Windows OS를 사용한다.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OS이기 때문에 쉽게 접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것이다.

그렇다면 UMPC시장이 형성되면서 얻게 될 수 있는 실은 무엇일까?

UMPC에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면서 컨셉(특징)을 상실했다. UMPC의 장점을 꼽으라고 하면 여러 가지를 댈 수 있다는 것 자체가 UMPC의 포지셔닝을 잃어버리는 결과를 초래했다.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지만 노트북이나 데스크탑의 장점과 PMP나 PDA만의 특징을 능가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UMPC가 성능, 배터리 사용시간, 휴대성 등 각 부문에서 강점을 갖고 있긴 하지만 일부 사용자층에서는 'UMPC의 컨셉이 애매하다'라고 표현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CPU 성능이 향상 되어야 하고, 무게는 좀 더 가벼워져야 하며, 배터리의 실제 사용시간이 최소 6시간은 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UMPC의 시장이 아직까지는 좁다’라는 것이다. 가능성은 있지만 시장자체가 활성화 되지 못했기 때문에 아직까지 한정된 사용자층(얼리어댑터, 파워유저)을 가지고 있다. 국내 UMPC의 판매량은 현재까지 약 10만대가 되지 않고 있다. 또한 최근까지 UMPC를 출시했거나 제품을 준비중인 업체가 대기업을 포함해 약 10여 개로 추산되고 있다. 이렇듯 아직까지 시장이 활성화 되지 못한 상황에서 가능성만 보고 시장에 뛰어들 경우 출혈경쟁으로 UMPC시장이 공멸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고진샤코리아의 이상협 부사장에 따르면 2008년 UMPC 시장은 약 8만대 정도로 예상되고 있으며, 인텔, AMD, VIA등 코어생산업체는 UMPC에 대응하는 CPU 및 시스템 플랫폼의 성능을 향상/신모델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고진샤코리아, 소니, 삼성 등의 선두 업체는 10인치 이하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와이브레인 및 신규업체들이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내년 한 해 동안은 다양한 제품이 출시돼 고객의 선택의 폭이 한층 넓어질 것으로 보여진다.

All Visual Internet News of Goods
오세경 객원기자( aving.net )

  <Copyright AVING. All rights reserved.>  

http://www.dgilog.com/358
Aving.net에서 원문 컨텐츠 보기
(편집 리뷰어 : 붸가짱™ seowebmaster@naver.com)



관련 글 링크



Dgilog.com의 컨텐츠는 원문과 저작자를 변경하시지 않은 상태에서 자유로이 퍼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원문의 내용이 Aving.net에 컨텐츠 제공 및 업데이트 될 수 있으니 되도록 '링크'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이 정보는 네이버카페 UMPCPortal에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