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News IT 컬럼니스트 붸가짱] BBC, 올해 5대 유망기술 선정
필자가 전자신문 계열사의 eBuzz와 인터뷰 내용과 부합되는 부분이 있어서 BBC에서 선정한 "08년 5대 유망 신기술 선정 Best 5"를 소개하려고 한다. BBC에서 밝힌 올해의 유망 기술로는 Rich Internet Application, UMPC, WiMAX, Mobile VoIP, IPTV의 각 분야 시장의 유먕 기술로 선정했다. 필자도 IPTV의 정보와 결합상품의 정보를 다루는 PCPINSIDE의 운영자와 정보 교류를 하고 있어 많은 정보를 얻고 있다. 유망 신기술 Best5를 소개하면서 언급을 하겠다.
Rich Internet Application(리치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기존의 Internet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꼭 Internet을 사용할 수 있는 유,무선 환경이 갖추어 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Internet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국내의 KT 메가패스, LG 파워콤, Hanaro 통신사등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비스를 사용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리치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이하 RIA)은 온·오프라인 환경에 관계없이 웹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 기술이다. 즉, 플래시 애니메이션 기술과 웹 서버 애플리케이션의 기술을 통합하여, 기존의 웹 HTML 언어를 사용한 페이지보다, 역동적이고, 인터랙티브한 웹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기술이다. 다양한 컴포넌트가 추가되어 FLASH(플래시)와 Flex(플랙스) 같은 멀티미디어 도구와 DB(데이터베이스)가 연동이 되는 단일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존의 웹에서는 볼 수 없었던 역동적이고 편리한 고객 중심의 웹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현재 쇼핑몰이나 포털 사이트를 중심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다.
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UMPC 유엠피씨)
현재 UMPC는 PMP, PDA의 성능보다 높지만 노트북의 성능보다 떨어지지만 휴대성을 강화한 휴대용 PC이다. 휴대용 PC라고 하지만, PMP 제품군 중 큰 제품과 크기가 비슷하다. 1세대의 UMPC는 입력장치의 부재, PC의 역활을 대신하기에 부족한 CPU, 배터리 성능으로 외면을 받았으나, 2세대로 넘어가면서 입력장치의 추가, 개선된 CPU의 성능과 이전에 비해서 향상된 배터리 시간으로 인하여, 점차 주목 받고 있다. 현재는 ASUS의 Eee PC가 35만대의 판매량을 돌파하며, UMPC 시장의 가능성을 밝혀주고 있고, 최근에 UMPC에서 사용 될수 있는 128GB 낸드 플래시 메모리카드를 출시하여, 상용화 및 보편화가 되면, 전력소모가 줄어들어 사용시간이 늘어날 것이다. 또한 애플社에서 Mcworld 2008에서 초소형 타블렛 노트북 또는 UMPC와 비슷한 크기의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하기 때문에 UMPC 시장의 발전 가능성은 그 어느때 보다 크다. 필자의 2008년 UMPC 관련 기사 인터뷰 '성능과 휴대성 높인 3세대 UMPC'기사에서도 나온다. UMPC 관련 대표적인 커뮤니티는 UMPCPortaL.net이 있다.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WiMax 와이맥스)
IEEE 802.16 TG를 중심으로 광대역 무선 표준화 작업을 진행함과 동시에, 무선 LAN을 대중화시키는데 결정적인 공헌을 했던 Wi-Fi Alliance 모델을 벤치마킹하기로 하고, 2001년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포럼이라는 산업 촉진 단체를 조직하면서 2004년 12월 현재 Intel, Cisco, Lucent, Siemens Mobile 등 유수의 181개 반도체/장비/서비스 업체들이 WiMax 포럼에 회원사로 가입해 있으며, 특히 최대 반도체 업체인 Intel이 WiMax를 전폭적으로 후원하고 있다. 최근 인포마 미디어앤드 텔레콤스는 시장조사를 통해서 2008년이 유럽 와이맥스 시장의 원년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메이져급 통신업체가 와이맥스용 주파수 확보에 나서고 있고, 미국에서는 스프린트와 인텔이 와이맥스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다. 국내에서는 WiMAX(Wibro=와이브로)의 형태로 서비스하고 있다.
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Mobile VoIP)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일반 전화망에서와 같이 음성통화를 가능하게 해 주는 VoIP 기술이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의 인터넷 전화는 끊임없는 발전을 통하여 품질 향상도 이뤄왔고, PC에서 PC 가 아닌 Phone에서 Phone 형태로도 사용되고 있어 사용의 편리성에 있어서도 발전 했다. VoIP는 지금까지 PSTN 망을 통해 이루어졌던 음성서비스를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존의 전화망에서 할 수 없었던 많은 서비스를 창출해 내었고, 향후 VoIP 전화기의 응용프로그램들이 다양하게 개발된다면 이제 단순히 전화를 거는 것을 떠나 데이터를 전달 받아 더욱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룰 수도 있을 것이다. 지난해 하반기 스카이프과 영국 네트워크업체 3과 손잡고 처음 선보인 모바일VoIP서비스가 올해에는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세계 1위 휴대폰업체 노키아는 모바일VoIP를 지원하는 휴대폰 신제품 4종을 출시했으며 경쟁업체도 서서히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 시장이 성숙하지 않았고 수익모델이 뚜렷하지 않다는 점이 숙제로 남아있다. VoIP 관련 커뮤니티는 네이버의 070com 커뮤니티가 있다.
Internet Protocol Television(IPTV)
초고속인터넷 망을 통해 방송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말한다. 인터넷방송과 다른 점은 케이블방송처럼 초고속인터넷 서비스에 셋탑박스를 연결해 집안의 TV로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는 점이다. 국내에서는 KT를 선두로 파워콤, 하나로텔레콤 등이 IPTV의 사업화를 모색하고 있다. 해외에서도 미국의 최대 유선통신 기업인 AT&T와 버라이존이 올해 내로 상용화 계획을 발표하고 대대적인 투자를 진행하는 등 여러 국가에서 상용화가 진전될 것으로
보이며 브로드밴드 인터넷 속도가 빨라지면서 인터넷TV 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다. 영국에서는 BT, 버진 미디어 등이 IPTV서비스를 개시했으며 이동통신사업자 O2도 연내 서비스에 돌입할 예정이다. BBC, ITV, 채널4 등 TV방송사는 조인트벤처를 설립해 공동으로 공중파 방송을 인터넷에서 방영하기로 했다. 대표적인 관련 사이트는 PCPINSIDE.com가 있다.
필자가 전자신문 계열사의 eBuzz와 인터뷰 내용과 부합되는 부분이 있어서 BBC에서 선정한 "08년 5대 유망 신기술 선정 Best 5"를 소개하려고 한다. BBC에서 밝힌 올해의 유망 기술로는 Rich Internet Application, UMPC, WiMAX, Mobile VoIP, IPTV의 각 분야 시장의 유먕 기술로 선정했다. 필자도 IPTV의 정보와 결합상품의 정보를 다루는 PCPINSIDE의 운영자와 정보 교류를 하고 있어 많은 정보를 얻고 있다. 유망 신기술 Best5를 소개하면서 언급을 하겠다.
Rich Internet Application(리치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RIA를 이용한 대표적인 사이트 - CGV 사이트 예매 시스템
기존의 Internet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꼭 Internet을 사용할 수 있는 유,무선 환경이 갖추어 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Internet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국내의 KT 메가패스, LG 파워콤, Hanaro 통신사등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비스를 사용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리치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이하 RIA)은 온·오프라인 환경에 관계없이 웹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 기술이다. 즉, 플래시 애니메이션 기술과 웹 서버 애플리케이션의 기술을 통합하여, 기존의 웹 HTML 언어를 사용한 페이지보다, 역동적이고, 인터랙티브한 웹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기술이다. 다양한 컴포넌트가 추가되어 FLASH(플래시)와 Flex(플랙스) 같은 멀티미디어 도구와 DB(데이터베이스)가 연동이 되는 단일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존의 웹에서는 볼 수 없었던 역동적이고 편리한 고객 중심의 웹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현재 쇼핑몰이나 포털 사이트를 중심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다.
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UMPC 유엠피씨)
현재 UMPC는 PMP, PDA의 성능보다 높지만 노트북의 성능보다 떨어지지만 휴대성을 강화한 휴대용 PC이다. 휴대용 PC라고 하지만, PMP 제품군 중 큰 제품과 크기가 비슷하다. 1세대의 UMPC는 입력장치의 부재, PC의 역활을 대신하기에 부족한 CPU, 배터리 성능으로 외면을 받았으나, 2세대로 넘어가면서 입력장치의 추가, 개선된 CPU의 성능과 이전에 비해서 향상된 배터리 시간으로 인하여, 점차 주목 받고 있다. 현재는 ASUS의 Eee PC가 35만대의 판매량을 돌파하며, UMPC 시장의 가능성을 밝혀주고 있고, 최근에 UMPC에서 사용 될수 있는 128GB 낸드 플래시 메모리카드를 출시하여, 상용화 및 보편화가 되면, 전력소모가 줄어들어 사용시간이 늘어날 것이다. 또한 애플社에서 Mcworld 2008에서 초소형 타블렛 노트북 또는 UMPC와 비슷한 크기의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하기 때문에 UMPC 시장의 발전 가능성은 그 어느때 보다 크다. 필자의 2008년 UMPC 관련 기사 인터뷰 '성능과 휴대성 높인 3세대 UMPC'기사에서도 나온다. UMPC 관련 대표적인 커뮤니티는 UMPCPortaL.net이 있다.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WiMax 와이맥스)
IEEE 802.16 TG를 중심으로 광대역 무선 표준화 작업을 진행함과 동시에, 무선 LAN을 대중화시키는데 결정적인 공헌을 했던 Wi-Fi Alliance 모델을 벤치마킹하기로 하고, 2001년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포럼이라는 산업 촉진 단체를 조직하면서 2004년 12월 현재 Intel, Cisco, Lucent, Siemens Mobile 등 유수의 181개 반도체/장비/서비스 업체들이 WiMax 포럼에 회원사로 가입해 있으며, 특히 최대 반도체 업체인 Intel이 WiMax를 전폭적으로 후원하고 있다. 최근 인포마 미디어앤드 텔레콤스는 시장조사를 통해서 2008년이 유럽 와이맥스 시장의 원년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메이져급 통신업체가 와이맥스용 주파수 확보에 나서고 있고, 미국에서는 스프린트와 인텔이 와이맥스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다. 국내에서는 WiMAX(Wibro=와이브로)의 형태로 서비스하고 있다.
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Mobile VoIP)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일반 전화망에서와 같이 음성통화를 가능하게 해 주는 VoIP 기술이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의 인터넷 전화는 끊임없는 발전을 통하여 품질 향상도 이뤄왔고, PC에서 PC 가 아닌 Phone에서 Phone 형태로도 사용되고 있어 사용의 편리성에 있어서도 발전 했다. VoIP는 지금까지 PSTN 망을 통해 이루어졌던 음성서비스를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존의 전화망에서 할 수 없었던 많은 서비스를 창출해 내었고, 향후 VoIP 전화기의 응용프로그램들이 다양하게 개발된다면 이제 단순히 전화를 거는 것을 떠나 데이터를 전달 받아 더욱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룰 수도 있을 것이다. 지난해 하반기 스카이프과 영국 네트워크업체 3과 손잡고 처음 선보인 모바일VoIP서비스가 올해에는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세계 1위 휴대폰업체 노키아는 모바일VoIP를 지원하는 휴대폰 신제품 4종을 출시했으며 경쟁업체도 서서히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 시장이 성숙하지 않았고 수익모델이 뚜렷하지 않다는 점이 숙제로 남아있다. VoIP 관련 커뮤니티는 네이버의 070com 커뮤니티가 있다.
Internet Protocol Television(IPTV)
초고속인터넷 망을 통해 방송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말한다. 인터넷방송과 다른 점은 케이블방송처럼 초고속인터넷 서비스에 셋탑박스를 연결해 집안의 TV로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는 점이다. 국내에서는 KT를 선두로 파워콤, 하나로텔레콤 등이 IPTV의 사업화를 모색하고 있다. 해외에서도 미국의 최대 유선통신 기업인 AT&T와 버라이존이 올해 내로 상용화 계획을 발표하고 대대적인 투자를 진행하는 등 여러 국가에서 상용화가 진전될 것으로
보이며 브로드밴드 인터넷 속도가 빨라지면서 인터넷TV 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다. 영국에서는 BT, 버진 미디어 등이 IPTV서비스를 개시했으며 이동통신사업자 O2도 연내 서비스에 돌입할 예정이다. BBC, ITV, 채널4 등 TV방송사는 조인트벤처를 설립해 공동으로 공중파 방송을 인터넷에서 방영하기로 했다. 대표적인 관련 사이트는 PCPINSIDE.com가 있다.
http://www.dgilog.com/357
(편집 리뷰어 : 붸가짱™ seowebmaster@naver.com)
(편집 리뷰어 : 붸가짱™ seowebmaster@naver.com)
Dgilog.com의 컨텐츠는 원문과 저작자를 변경하시지 않은 상태에서 자유로이 퍼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원문의 내용이 Aving.net에 컨텐츠 제공 및 업데이트 될 수 있으니 되도록 '링크'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이 정보는 네이버카페 UMPCPortal에 제공됩니다.)
'디지털/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Q1 Ultra Premuim 제품 스펙 발표 (4) | 2008.01.10 |
---|---|
와이브레인 B1 일본시장 출시예정 (1) | 2008.01.10 |
LG UMPC 08년 CES에 출품 (4) | 2008.01.06 |
e-detail社의 듀얼 디스플레이 Tablet PC (2) | 2008.01.06 |
E-Lead Electronic 社의 UMPC 'Noahpad' (2) | 2008.01.04 |
ASUS WiMax 지원 Eee PC 공개 준비중 (0) | 2008.01.03 |
성능과 휴대성 높인 3세대 UMPC (1) | 2008.01.02 |
Art Lebedev社의 컨셉 터치스크린 키보드 'Optimus Tactus' (6) | 2007.12.29 |
고진샤, UMPC L/V시리즈 새 라인업 공개 (2) | 2007.12.28 |
ASUS Eee PC 35만대 목표치 돌파 (2) | 2007.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