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휴대폰/모바일

[디지컬럼] UMPC 제조사의 말 못할 운영체제의 딜레마

[디지털 News  디지로그 블로거 붸가짱] [디지컬럼] UMPC 제조사의 말 못할 운영체제의 딜레마

Aving에 현재 비공개로 되어 있는 기사가 몇개 있다. 이 기사도 현재 비공개로 되어 있지만 게시물을 14일날 업로드를 하였는데 공개가 될지 어떨지 모르겠지만 추후 공개가 되면 원문의 링크를 공개하도록 하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UMPC 사용자들은 "왜 UMPC의 운영체제를 무료 운영체제인 리눅스 계열을 지원 하면 저렴하게 구입 할 텐데"라는 생각과 "Windows XP를 패키지로 판매 안하고, 왜 무거운 WIndows Vista를 설치하는가?"라는 생각을 많이 하고 있을 거라 생각한다. 그렇다면, 왜 UMPC 제조사들이 OS(운영체제)를 Vista를 선택하는지 알아보자.

 PC 제조사에서는 "더 이상 PC는 PC가 아니고 거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전기기다"라는 컨셉을 잡고 HTPC라는 것을 만들기 시작하면서, Microsoft에서도 멀티미디어 기능을 강화한 'Windows Media Center'를 출시하게 된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Windows Media Center의 기능을 포함한 Windows Vista가 출시가 되었다. 이는 거실로 PC라는 PC 제조사와 Microsoft사의 미래지향적인 전략을 세워 진행한 프로젝트라고 보면된다. 그러면서 Windows Vista가 출시가 되면서 2007년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기 시작한다.

 즉, OS의 비용을 XP보다 저렴하게 공급하기 시작 하였다. Microsoft사의 빌게이츠가 Vista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된 Vista를 대대적으로 홍보 하였지만 국내에서 목표했던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였다. Microsoft에서 기본적으로 Vista의 권장사양이 32비트(x86) 1Ghz이상의 CPU와 1GB Memory이상, Graphic card 128MB이상, 40GB이상의 HDD용량이 필요하다. 하지만 권장사항보다 높은 시스템 사양을 요구하기 때문에 최소 시스템 권장사항의 하드웨어를 가지고 WIndows OS인 Vista를 설치해서 사용하려면 답답하기 그지 없다. 현재의 시스템 사양을 가지고, Vista를 이용할 수 없다는 말은 즉, 사용자에게 이것을 사용하려면 스펙을 거기에 맞춰라는 말 밖에는 되지 않는다. 굳이 지금도 쓸만한데 돈을 들여가면서, 새로 구입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였기 때문에 Vista의 판매량은 Microsoft의 기대치를 여지 없이 무너뜨렸다. Vista를 설치 해본 사용자들은 알겠지만 이보다 월등한 사양이 되어야 Vista의 퍼포먼스를 충분히 활용 할 수 있다.

 최근에는 Vista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늘었지만, 그래도 현재는 XP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더 많다. 그렇기에 운영체제(OS)를 저렴하게 공급을 하게 되었고, 그 활로를 UMPC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필자가 생각는 UMPC에서 Windows XP와 Windows Vista를 비교해보면 UMPC에서 Vista는 오버스펙일 지도 모른다. UMPC의 CPU의 성능은 약 Pentium III 1Ghz의 성능과 Pentium IV 1Ghz정도의 성능이 나온다. 이런 성능을 가지고 Vista를 설치하는 것은 좀 우습다고 생각되지만, 기업에서 Windows OS(운영체제)를 UMPC에서 Vista를 제공하면, Xp보다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UMPC 제조사에서는 마케팅 측면에서 Vista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만일 "Xp를 탑재하고 80만원에 출시하는 것과 Vista를 탑재하고 75만원에 판매한다면 소비자는 어떤 것을 선택하겠는가?"

 필자도 UMPC 제조업체 관계자들과 이 문제에 관하여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현재 UMPC 제조사들은 중소기업이 대부분이다. 공통적으로 이야기를 하는 것은 "인력과 비용적인 측면에서 어렵다라고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이 말은 무엇이냐면, 중소기업의 인원은 최소한으로 꾸려간다. 그렇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리눅스 개발자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밝힌다. 아니면 "Vista를 탑재한 제품을 사서 XP를 지원하는 드라이버를 적용해서 XP를 사용한다면 금상첨화 아니겠는가?" 라는 생각을 하는 분들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는 Microsoft사의 입김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만일 Windows OS를 제조사에 제공하지 않는다라고 해보자. 그럴경우 개인이 WIndows XP를 개인적으로 구매해야 하는데 비용이 8~9만원 한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음성적으로 불법적인 루트로 XP를 사용하는 일이 많다.

 만일 이 부분을 Microsoft에서 제재를 한다면? 피해는 일반 사용자가 보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에 UMPC 제조사에서는 OS가 없이 판매를 하거나 리눅스를 탑재해야 하는 상황이 생길 경우, Windows OS가 없기 때문에 차후 소비자가 Windows를 추가적으로 설치 할 경우 1개의 시리얼키에 1PC에 해당하는 라이센스로 인하여, 소비자가 피해를 보기 때문에 제조사에서는 소비자에게 피해가지 않도록 구입하는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해본다.

 필자의 사견으로는 국내시장의 운영체제의 약 80%이상을 점유하며, 독점하고 있는 Microsoft사의 입김이 작용하여, UMPC 제조사의 말 못할 운영체제의 선택의 기로에서 딜레마에 빠진듯 보인다. 현재는 UMPC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UMPC에 리눅스를 설치하는 시도를 많이 하고 있고, 그 방법을 공유하고 있어서 차후 UMPC에서 OS가 빠진 제품이 출시가 되면 재미있는 상황이 벌어질 것 같다고 생각하며, 이만 글을 줄이고자 한다.

(이 정보는 네이버카페 UMPCPortal에 제공됩니다.)

 
(편집 리뷰어 : 붸가짱™ seowebmaster@naver.com)



관련 글 링크

2007/12/08 - [Digital 칼럼] - PC 최적화는 무엇이고, 왜 해줘야 하는가?
2007/12/07 - [Digital 칼럼] - [디지컬럼] UMPC 등장으로 인한 PMP의 딜레마
2007/11/18 - [Digital 칼럼] - [디지털 컬럼] UMPC의 미래 모습?
2007/10/29 - [Digital 칼럼] - [디지털컬럼2부] PC 기능을 가진 PDA, PMP 제품의 탄생
2007/10/25 - [Digital 칼럼] - [디지털컬럼 1부] PC의 진화
2007/10/20 - [Digital 칼럼] - [컬럼] 나에게 맞는 UMPC 구매요령
2007/10/04 - [Digital 칼럼] - [컬럼] UMPC 제조사 보유 기술력과 A/S의 상관 관계
2007/08/22 - [Digital 칼럼] - [디지털컬럼] UMPC의 출시로 인한 PMP의 딜레마?
2007/06/14 - [Digital 칼럼] - 붸가짱의 리뷰 이렇게 하면 객관적으로 쓸수 있다.
2007/06/12 - [Digital 칼럼] - [칼럼] VEGA2(Everun)을 알기 전에 알아야 할 것 -1부-


Dgilog.com의 컨텐츠는 원문과 저작자를 변경하시지 않은 상태에서 자유로이 퍼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내용이 업데이트 될 수 있으니 되도록 '링크'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