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붸가짱입니다. 마음속에 담아두었던 디지털 컬럼을 연재를 해보고자 합니다.
과거의 모습, 현재의 모습, 미래의 발전 모습등, 좀 더 발전된 모습을 예측하고 좀 더 발전적인
방향으로 제시가 될 수 있는 의견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이제 작성하는
디지털 컬럼에서는 존칭을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객관적인 모습으로 작성을 해보려고 하였으나
그렇지 못한 모습이 보이면 지적 해주시고, 의견은 최대한 수용하여, 다음편에서는 발전된 글로써
여러분들께 찾아 뵙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즐거운 시간이 되시길 바라며, 본문으로 들어가겠습니다.
PC의 진화
제 5세대(현재 - 초소형 PC의 등장)
Microsoft, INTEL, 삼성의 합동 프로젝트로 진행한‘오리가미(Origami) 프로젝트인 초소형 모바일PC
(UMPC)의 등장으로 7"를 기반으로 PC의 소형화 & 경량화가 이루어지면서 조금씩 성능이 향상이
되고, 앞으로 AMD사에서 ATI사를 인수함으로써 CPU개발사가 Graphic 코어를 내장해서 CPU와
GPU의 성능이 결합이 되어서 출시가 된다면, 휴대용PC의 시장은 큰 개혁의 변화 (제 5세대의 정착)를
맞이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처럼 PC는 기술이 진보 할수록 컴퓨터의 본체가 사리지고
기기들이 점차 소형화가 되어가고 있다. 컴퓨터 본체가 모니터와 결합이 되어서 출시된 일체형 PC가
대표적입니다. 이제 앞으로는 점점 크기에서 소형화가 이루어지면서 PC시장의 많은 영역을 잠식해
나갈 것이고 보여진다.
과거의 모습, 현재의 모습, 미래의 발전 모습등, 좀 더 발전된 모습을 예측하고 좀 더 발전적인
방향으로 제시가 될 수 있는 의견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이제 작성하는
디지털 컬럼에서는 존칭을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객관적인 모습으로 작성을 해보려고 하였으나
그렇지 못한 모습이 보이면 지적 해주시고, 의견은 최대한 수용하여, 다음편에서는 발전된 글로써
여러분들께 찾아 뵙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즐거운 시간이 되시길 바라며, 본문으로 들어가겠습니다.
PC의 진화
PC의 변천사 요약표(클릭하시면 크게 보입니다.)
[디지털컬럼 1부] PC의 진화
초기의 컴퓨터의 형태를 요약해서 보자면, 아래와 같다.
제 1세대(46년 이후 ~ 50년대후반 - 최초의 컴퓨터 출현)
1946년에 완성된 최초의 대형 전자식 디지털 컴퓨터인 에니악(ENIAC)은 높이 5.5m, 길이 24.5m,
중량 30톤, 17,000개의 진공관, 6000개의 스위치를 가지고 있었고, 1946년 초에 1초에 100만 개의
IBM 천공카드를 처리하며 첫 선을 보였다.
진공관 (이미지출처:네이버)
1946년에 완성된 최초의 대형 전자식 디지털 컴퓨터인 에니악(ENIAC)은 높이 5.5m, 길이 24.5m,
중량 30톤, 17,000개의 진공관, 6000개의 스위치를 가지고 있었고, 1946년 초에 1초에 100만 개의
IBM 천공카드를 처리하며 첫 선을 보였다.
제 2세대(50년대 후반 ~ 60년대 중반 - 프로그램 언어의 출현)
컴퓨터의 논리 회로의 소자로 트랜지스터가 사용 되었고, 트랜지스터는 진공관에 비하여 규모가
작고, 소비전력이 적으며, 가격이 싸고, 신뢰성이 향상이 되었고, 처리속도가 빨라지면서 컴퓨터
보급에 매우 큰 역할을 담당했다. 프로그래밍 언어로 포트란(FORTRAN), 코볼(COBOL),알골
(ALGOL)등의 고급언어가 출현하였다.
트랜지스터 (이미지출처:네이버)
컴퓨터의 논리 회로의 소자로 트랜지스터가 사용 되었고, 트랜지스터는 진공관에 비하여 규모가
작고, 소비전력이 적으며, 가격이 싸고, 신뢰성이 향상이 되었고, 처리속도가 빨라지면서 컴퓨터
보급에 매우 큰 역할을 담당했다. 프로그래밍 언어로 포트란(FORTRAN), 코볼(COBOL),알골
(ALGOL)등의 고급언어가 출현하였다.
제 3세대(60년대 중반 ~ 70년대 중반 - SoftWare의 중요성 대두)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IC)를 논리 회로의 소자로 이용하였고, 주기억 소자로 반도체가 채택되고,
동일한 기종 간에 호환성이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컴퓨터는 소형화 & 고속화되고, 성능이 향상 되었다.
집적회로 (이미지출처:네이버)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IC)를 논리 회로의 소자로 이용하였고, 주기억 소자로 반도체가 채택되고,
동일한 기종 간에 호환성이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컴퓨터는 소형화 & 고속화되고, 성능이 향상 되었다.
제 4세대(70년대 중반이후 ~ 현재)
집적회로의 집적도가 더욱 고도화도면서 논리 회로의 소자로 고밀도 집적회로(large scale IC,LSI)가
사용되었고, 1980년대에 들어와서는 초고밀도 집적 회로(very large scale IC,VLSI)가 개발되어
현재 활용되고 있다. 주기억 장치로 반도체 기억 소자가 널리 사용됨으로써 기억 용량이 확대되고,
입출력 장치가 다양화가 이루어졌고, 컴퓨터는 이후 휴대형기기로의 탈바꿈을 시작하였고, 이에
랩탑(LabTop-노트북), 휴대 PC까지 발전하고, 노트북 및 휴대 PC의 소형화, 경량화는 계속 진행되면서
PC의 기능을 일부 사용할수 있는 제품 PDA, PMP등을 출시하고, 휴대성이 강조된 제품들이 점차 보편화
되어, 그 인기를 바탕으로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 되었다.
초 고밀도 집적회로 (이미지출처:네이버)
집적회로의 집적도가 더욱 고도화도면서 논리 회로의 소자로 고밀도 집적회로(large scale IC,LSI)가
사용되었고, 1980년대에 들어와서는 초고밀도 집적 회로(very large scale IC,VLSI)가 개발되어
현재 활용되고 있다. 주기억 장치로 반도체 기억 소자가 널리 사용됨으로써 기억 용량이 확대되고,
입출력 장치가 다양화가 이루어졌고, 컴퓨터는 이후 휴대형기기로의 탈바꿈을 시작하였고, 이에
랩탑(LabTop-노트북), 휴대 PC까지 발전하고, 노트북 및 휴대 PC의 소형화, 경량화는 계속 진행되면서
PC의 기능을 일부 사용할수 있는 제품 PDA, PMP등을 출시하고, 휴대성이 강조된 제품들이 점차 보편화
되어, 그 인기를 바탕으로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 되었다.
제 5세대(현재 - 초소형 PC의 등장)
1세대의 대표적인 UMPC (이미지출처:네이버)
Microsoft, INTEL, 삼성의 합동 프로젝트로 진행한‘오리가미(Origami) 프로젝트인 초소형 모바일PC
(UMPC)의 등장으로 7"를 기반으로 PC의 소형화 & 경량화가 이루어지면서 조금씩 성능이 향상이
되고, 앞으로 AMD사에서 ATI사를 인수함으로써 CPU개발사가 Graphic 코어를 내장해서 CPU와
GPU의 성능이 결합이 되어서 출시가 된다면, 휴대용PC의 시장은 큰 개혁의 변화 (제 5세대의 정착)를
맞이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처럼 PC는 기술이 진보 할수록 컴퓨터의 본체가 사리지고
기기들이 점차 소형화가 되어가고 있다. 컴퓨터 본체가 모니터와 결합이 되어서 출시된 일체형 PC가
대표적입니다. 이제 앞으로는 점점 크기에서 소형화가 이루어지면서 PC시장의 많은 영역을 잠식해
나갈 것이고 보여진다.
(이 정보는 네이버카페 UMPCPortal에 제공됩니다.)
(편집 리뷰어 : 붸가짱™ seowebmaster@naver.com)
'휴대폰/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보는 SEK 2007 - 후지쯔 1부 - (1) | 2007.12.08 |
---|---|
[디지컬럼] UMPC 등장으로 인한 PMP의 딜레마 (1) | 2007.12.08 |
붸가짱의 AVING 사진 탐방기 (2) | 2007.11.29 |
[디지털 컬럼] UMPC의 미래 모습? (0) | 2007.11.19 |
[디지털컬럼2부] PC 기능을 가진 PDA, PMP 제품의 탄생 (2) | 2007.10.30 |
[컬럼] 나에게 맞는 UMPC 구매요령 (2) | 2007.10.20 |
[컬럼] UMPC 제조사 보유 기술력과 A/S의 상관 관계 (0) | 2007.10.16 |
UMPC 와이브레인 B1의 카트라이더 동영상 (0) | 2007.09.07 |
에버런 의 표준 / 가상해상도 비교 이미지 입니다. (0) | 2007.08.26 |
UMPC 에버런 미공개 우분투 설치 시도입니다. (2) | 2007.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