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ain QWERTY keyboard contains 56 keys and includes numeric's and a useful windows key. The shift, ctrl and alt keys are located to the left of the keyboard when in the portrait mode and are repeated on the top for use when in landscape mode. Key pitch is 7mm which is much less than half the standard 19mm key pitch and even less than the Sony UX at 8.6mm. its comparable with the type of thumbboards you find on smartphones and has a fairly hard click action which is there to prevent you pressing multiple keys. With a flat thumb you can easily cover 9 keys at a time so you have to bend the thumb and use the center tip of it, just behind the nail. People with long nails will have a problem because flattening the thumb results in less accuracy. The keyboard can actually be used in landscape mode and its extremely useful to have. If you browse regularly, you rarely have to type in more than two or three of the first characters of a URL until it is matched by the browser history. having the keypad there makes it really quick to do this. Quicker than using the TIP on a tablet PC and quicker than sliding out a keyboard on something like the Medion UMPC. When combined with the Windows key and the mouse, its also very quick to find folders and files but typing the first letter of the folder or file name. It does have limits though. Even in portrait mode where the resolution is a restrictive 480 pixels wide, its difficult to type more than a short email, IM or forum response. I found myself dropping capitalization and punctuation to speed up the operation. After a week, my typing rate wasn't going to get any better than 40% of my normal typing rate. That's comparable to a Sony UX or an experience T9 user.
QWERTY키보드는 56개의 키로 구성되어 있는데 숫자키와 윈도우 키도 포함하고 있다.
SHIFT, ALT키는 PORTRAIT모드시에는 키보드의 왼쪽에 위치한 것을 사용하게 되고 LANDSCAPE모드에서는 사용자를 위해 위쪽부분에 추가적으로 장착된 SHIFT, ALT키를 사용하게 된다..
키는 7밀리미터 정도의 피치를 가지는데 표준형의 19밀리미터 키피치의 반이 조금 안되는 크기이며, 심지어 소니의 ux시리즈에 장착된 8.6밀리미터 보다 오히려 덜 한 사이즈이다.(역자 질문: 피치가 뭐죠? -_-)
QWERTY키보드는 스마트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엄지손가락 키보드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키감은 조금 강한편인데 이는 잘못해서 다른키를 중복으로 누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인 것 같다.
손톱이 조금 긴 분들은 아무래도 입력시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QWERTY 키보드를 사용하시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다.
사실 에버런의 QWERTY키보드는 LANDSCAPE모드에서 사용되어지게 되는데 꽤 유용한 편이긴 하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많이 찾는 웹사이트는 URL의 첫 두, 세번 째 문자들 이상을 타입할 필요가 없기 마련인데.. 주소가 히스토리에 저장이 되서 자동 매칭이 되기 때문이다.(역자 덧붙임 : 그래서 더욱 QWERTY의 유용성이 빛 을 발하는 것 같습니다.)
타블렛 피시로 TIP를 사용하는 것 보다 더 빨리, Medion UMPC와 같이 기기에서 키보드를 슬라이딩 아웃해서 뽑아 사용하는 방식보다도 더욱 빨리 에버런 QWERTY키보드를 사용해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QWERTY는 또한, 폴더나 파일이름의 첫번째 문자열을 타이핑해서 원하는 폴더나 파일을 찾아내는 작업에 있어서도 유리한 편이다.. 물론 아무리 그래도 작업상의 한계는 있긴 하지만 말이다.
해상도가 480픽셀로 제한적인 portrait모드에서는 짧은 이메일 이상을 키보드로 작성하는 것에 무리가 있고, 쪽지나 포럼에 뎃글다는 정도로 유용한 편이다.
대문자나 구두법(문장부호등을 사용하는 것)을 사용해야 하는 작업에서 스피드를 내보려 햇지만 실패했다.
에버런의 키보드를 일주일 정도 사용해본 후에도 타이핑 속도는 평소의 40% 정도의 수준이었다.
이점은 소니의 UX시리즈나 t9유저로서의 경험에 비추어 보면 더욱 명확해 지는 것 같다.
Integrated into the keyboard layout is a new feature for UMPCs - an optical mouse. Its the first time I've ever used or even seen one and I have to say, as a mouse pointer fan, that its the best mouse pointer I've ever tested. Its quick to get used to, accurate and even feels nice to touch. It operates like a mini roller-ball and when you press it down, you get a left mouse click. Its faster, easier and more accurate than using a finger or pen and when used with the 'FN' key, it turns it into a scrollwheel. Its great! Oh, and while I'm talking about that FN key, let me mention that it modifies the action of about 10 buttons. For example it turns the optical mouse button into a right mouse button, it turns the volume rocker into a screen brightness rocker, it turns the mute button into a lock button, there's also a number of functions under the normal functions keys like LAN enable, WAN enable, rotate lock, LCD off and cursor/gamepad mode (where the cursor control can be used as an 8- way joystick and the 1-6 buttons correspond to joystick buttons.
키보드 배열에 포함된 옵티컬마우스(광마우스)는 UMPC의 새로운 모습이다. 이러한 형태의 마우스는 사실 처음 사용해봤으나, 마우스 포인터에 관심이 많은 나로서는 내가 지금까지 사용해본 것중 최고라 말할 수 있다..
에버런의 이 마우스는 사용하는데 있어 빠르고 정확한 퍼포먼스를 보여주었고 터치감도 좋았다.
마우스는 미니 롤러의 볼과 같이 움직였고 마우스를 누르면 왼쪽 마우스 클릭 기능이 수행되었다.
핑거 마우스나 펜마우스 보다 훨씬 빠르고 정확하며 사용하기 쉬웠다.
펑션키와 조합하여 사용하면 마우스로 스크롤 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매우 만족스럽지 않은가! 아! 펑션키에 대해 얘기하는 김에 펑션키를 통해 약 10개 의 버튼 기능이 확장된다는 점도 얘기하고 싶다.
예를 들어, 펑션키는 광마우스 버튼을 우클릭 버튼기능을 할 수 있게 만들어 주기 도 하고 볼륨키는 모니터 밝기 조절키 기능을 할 수 있게 바뀌기도 하며, 음소거 버튼을 잠금 버튼으로 바꿔주기도 한다.
또한 랜이나 WAN, 회전 잠금, 액정 오프, 커서와 게임패드 모드의 전환과 같은 일반적인 펑션키 기능들도 가지고 있다.
참고로 커서와 개임패드 모드의 전환기능과 관련하여 커서의 조작은 8방향 조이스틱으로 가능해지고 1에서 6의 숫자 버튼들이 조이스틱 버튼들의 기능을 하게 된다.
Before I talk about the internals, I'll just mention that the standard battery which at 166gms and 25W/hr is similar is weight and capacity to most 7" UMPC batteries. A 44W/hr battery is also available which appears to add about 4-5mm to the thickness and I estimate 80-100gm to the weight.
One question asked a lot is 'Is it pocketable.' Yes and No is the answer. It won't fit in your back-pocket or a shirt pocket but it will fit in a suit or coat pocket without much problem. it will fit in the smallest of gadget bags and although I'm no expert, most handbags.
내부에 대해 살펴보기 전에 필자는 잠시 표준형 베터리에 대해 얘기하려 한다.
표준형 베터리는 166gms와 25W/h의 스팩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대부분의 7인치 UMPC베터리의 성능과 무게와 비슷한 편이다.
44W/hr의 베터리도 있는데 이 베터리는 표준형 베터리에 비해 4~5밀리미터 정도 더 두꺼운 편이며 무게는 80~100그램 정도 나가는 것으로 보여졌다.(역자 의문 : gms는 뭔가요? Gm은 그램을 나타내는 것 같은데…gms도 네이버한테 물어보니 똑같이 그램으로 나오고…음…..그러면 표준형이 166그램, 대용량이 80~100그램 정도 무게가 나가는 걸로 해석되서 말이 안되고…흠..잘모르겠습니다. 고수분 있 으시면 저번처럼 뎃글로 알려주세요~)
에버런에 대해 제일 많이 묻는 질문중 하나가 주머니에 넣을 수 있느냐는 것이다.
대답은 예스 이기도 하고 노 이기도 하다.
즉 당신이 뒷주머니나 셔츠 윗주머니에 넣으려고 한다면 불가능할 것이고, 코트나 수트 주머니에 넣으려고 한다면 충분히 가능하긴 하다.
에버런은 작은크기의 보조가방에도 충분히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이긴 하지만, 그렇다고 핸드백에 넣기에는 좀 어색하다.
Boot-up, standby, hibernate speeds
Boot-up on a fairly clean device (about 5 or 6 extra background processes) takes 45 seconds to the login screen and 55 seconds to the welcome sound. Final user login takes about another 25 seconds. Compared to other devices its not bad and compared to Vista, its great! Hibernation takes an average 20 seconds in and about 30 seconds to resume (BIOS checks take 16 seconds) Standby is a quick 4 seconds (resume)
[부팅, 준비시간, 하이버네이트(최대절전모드를 얘기하는 듯) 스피드]
부팅 시간은 약 5개에서 6개의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만이 존재하는 깨끗한 상태에서 모니터에 로그인 메시지가 뜰때까지 45초 정도가 걸리고, 웰컴 사운드가 들릴때까지는 55초가 걸린다.
최종 유저의 로그인 정보가 뜰때까지는 25초 정도가 더 걸린다.
이정도의 스피드는 일반적인 다른 제품들과 비교해서는 나쁘지 않은 편이고 비스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제품들과 비교해보면 훌륭한 편이다.
최대 절전모드에서는 평균 20초 정도가 소요되고 재시작하기 위해서는 30초 정도가 소요된다. 바이오스 체크는 16초가 소요된다.
Battery life.
I haven't performed a full battery life test on this device yet as I'm told there are optimizations needed for the final production hardware. Even so, without any optimization at all I am getting 4 hours WiFi-on browsing usage out of the standard battery. As a Video-playback device or E-book reader, 6-hours on the SSD version should be no problem. In short, the battery life is very impressive and should be better on the final production devices. Real-World performance. Statistics are statistics. Lets talk about real-life scenarios now.
[베터리 타임]
필자는 에버런이 아직 양산단계의 하드웨어 상태이기 때문에 최적화가 필요하며 그로인해 아직, 풀베터리 타임을 체크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적화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에버런은 표준형 베터리 기준으로 4시간의 와이파이 브라우징 사용시간을 나타내 주었다.
비디오 플레이어나 이북 뷰어로서 사용하게 되면 SSD 기준으로 6시간은 문제없어 보인다.
간단히 말해서 베터리 타임은 현재로서도 매우 감명깊었고 최종 양산 단계에는 더욱 나아질 것이라 생각한다.
audio The built-in stereo speakers are quite impressive. There's very little bass as you'd expect but the volume, separation and clarity is good. Very similar to the Nokia N800. Don't expect to use this as a boogie box though. External speakers are a must-have for that but having linked it up to some for a test, it outshines the Q1P quite easily. I'd much rather have this driving my Hi-Fi than the Q1 especially as it has hardware bass and treble control which doesn't take up processing power. The built in mic is also fairly good and as a voice recorder, the Everun could find some use. The audio hardware is fairly clean (free of noise) which is typical of UMPCs.
[오디오]
에버런은 스테로오 스피커 일체형 하드웨어 구조이다.
스피커는 기대보다 베이스가 약한편이긴 하지만, 음량이나 음분리도, 해상도는 괜찮은 편이다. 노키아의 N800과 매우 유사한 편이라 할 수 있겠다.
당연히 부기박스(역자 주 : 외국 영화 보면 스피커가 장착된 더블데크등을 들고 다니면서 음악틀어놓고 모여서 춤추는 장면이 있는데 이때 사용하는 걸 얘기하는 것 같습니다.) 용도로 사용하는 일은 기대하지 않는게 좋을 것이다.
굳이 부기박스용도로 사용하려면 외부 스피커는 필수항목이 될 것이다.
테스트용으로 사용한 몇가지 스피커를 제외해야 하긴 하지만 말이다.
에버런의 스피커는 Q1P라는 스피커 정도는 무색하게 할 정도의 성능을 보여준다.
특히 하드웨어적인 베이스 부분과 프로세싱 파워와 충돌하지 않게 하는 잡음 컨트롤은 발군이다.
일체형인 마이크 역시 매우 깔끔한 성능을 보여준다. 보이스 레코더로서도 에버런은 훌륭한 제품이다.
에버런의 오디오의 하드웨어적 부분은 매우 깨끗한 편이어서 잡음부분은 확실히 해결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