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휴대폰/모바일

허니콤 태블릿 아이스크림 운영체제 나오면 계륵?


허니콤 태블릿 아이스크림 운영체제 나오면 계륵?

 

허니콤 태블릿의 글로벌 판매량이 미미한 가운데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변화가 감지돼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구글은 스마트폰과 태블릿 애플리케이션간 호환성을 강화하기 위해 아이스크림(Ice Cream) 운영체제를 선보이고, 타 플랫폼에 대항한다는 전략을 앞세우고 있다.

 

현재 국내외 시장에서 공개된 허니콤 태블릿은 LG전자 G슬레이트, 에이서 아이코니아탭 A500, 화웨이 미디어패드, 엔스퍼트 E401, 모토로라 줌, 삼성전자 갤럭시탭 10.1이 있다.

 

그런데 안드로이드 태블릿 간에 차별화 요소가 떨어지는 가운데 태블릿 구매자의 수요가 많지 않아 판매량도 급감하는 상황이다. 현재 LG전자의 G슬레이트는 두 번째 가격인하에 들어갔고, 모토로라의 줌도 100달러 인하를 단행했다. 그리고 에이서의 아이코니아탭은 대만 현지에서 TV홈쇼핑으로 판매되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그런데도 판매량이 호조세를 보이지 않고 있어 제조사의 속을 쓰리게 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진저브레드와 허니콤 운영체제가 통합돼 모바일(스마트폰&태블릿) 기기에서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가 곧 등장한다고 하니 기존의 허니콤 태블릿들은 어떤 사후지원을 받게 될게 될까. 벌써부터 걱정이 앞선다.

 

허니콤 태블릿을 출시한 제조사들은 판매량을 늘리기 위해 허니콤 운영체제를 아이스크림으로 바꿔줘야 할지도 모른다. 그래야만 소비자들이 지적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매체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허니콤 태블릿의 가장 큰 약점은 허니콤 애플리케이션의 부재이다.

 

제품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부족해 태블릿을 PMP처럼 동영상을 보거나 인터넷 웹 서핑용으로만 활용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지속되다 보니 태블릿만의 차별화된 요소를 소비자가 직접적으로 느끼기 어렵게 된다. 이는 소비자의 제품 만족도를 떨어뜨려 주변사람들에게 직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는 것이다. 결국 태블릿 판매량이 줄어들 수 있는 환경을 갖고 있다보니 허니콤 태블릿이 맥을 못추고 있는 것이다.

 

허니콤의 애플리케이션의 개수는 불과 수백개에 불과하다. 하지만 아이스크림 운영체제를 채택하면 이와 같은 문제는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검토해볼 필요성은 있다. 제조사들은 어떤 선택을 하게 될지 사뭇 궁금하다.